$\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의 건강검진 미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Non-Participation in Health Screen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1 no.4, 2017년, pp.89 - 104  

김석영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  이정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  안병기 (국립재활원) ,  김양균 (경희대학교 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determinants for non-participation in health screenings among the disabled. Methods : We used 2014-15 Korea Health Panel data and analyzed 1,073 people with disabilities older than 19 years to investigate the two-year health screening particip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애인의 건강검진 수검률 차이를 파악하고 장애인의 미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2104-2015년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2년간 장애인의 일반건강검진과 암건강검진 미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 특히, 일반건강검진 외에 장애인을 대상으로 암 건강검진 수검률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장애인의 장애등급 및 장애특성에 따른 수검률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검률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정책과 지원 확대가 필요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2014-2015년 한국의료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일반건강검진과 암건강검진 수검률을 파악하고 건강검진 미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료패널(Korea Health Panel, KHP) 자료를 사용했을 떄의 장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최근 2년 건강검진 수검률 파악을 위해 2014-2015년 한국의료패널(Korea Health Panel, KHP) 자료를 이용하였다. 한국의료 패널자료는 패널 참여에 동의한 가구 및 가구원의 인구·사회·경제적 특성뿐만 아니라 만성질환, 의약품, 외래, 입원, 응급의료서비스 등의 의료이용 현황, 민간의료보험 가입실태, 기타 부가조사 사항들이 포함되어 있어 개인 단위의 의료이용 행태를 분석하는데 용이한 장점이 있다[11]. 본 연구에서는 2015년 자료 기준으로 분석대상 가구원을 선정하였는데 활용 가능한 가구원은 총 18,130명이었고, 이 중 장애인은 총 1,165명이었으며, 이 중 19세 미만 장애인 92명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여 최종 분석 대상자는 총 1,073명이었다.
2016년 기준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 수는 몇명인가?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 수는 2016년 기준 약 250만 명으로 이는 전체 인구의 약 5%를 넘는 수준이지만[1], 2011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장애 관련 복지 지출 비중은 0.49%로 이는 경제협력 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평균인 2.
연령에 비례한 장애출현율이 특히 높은 연령대는 언제부터인가? 일반적으로 장애출현율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데 특히 40대 후반부터 급격히 증가하며, 65세 이상 노인은 청장년층에 비해 장애출현율이 매우 높다[3]. 장애인구가 고령층에 집중되어 있는 현상은 최근 우리나라의 인구고령화 속도와 만성 질환자 증가와 같은 사회현상을 고려하였을 때 장애인의 보건의료서비스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며 이로 인한 국가가 부담해야할 사회적 비용 역시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6), e-national Index, Disabled Status, [cited 2017 November 14].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 Detail.do?idx_cd2768 

  2. Y.H. Cho, T.Y. Kim, K.H. Song(2015),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Disabled Persons, Korea Disav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p.280. 

  3. J.E. Yoon, B.R.M. Lim, S.H. Ho(2014), Original Articles : Trends and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Rate in Korean National Health Screening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Vol.24(2);172-180. 

  4. H.J. Suh, S.W. Kim(2015), A Study on Applying Disability Impact Assessment for Health Screening Program,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19(2);75-98. 

  5. S.J. Eun, J.Y. Hong, J.Y. Lee, J.S. Lee, Y. Kim, Y.I. Kim, Y.S. Shin(2006), Differences in Medical Care Utilization Rates of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with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J Prev Med Pubilc Health, Vol.36(5);411-418. 

  6. Framework Act on Health Examinations, Act No. 13640, Dec. 29, 2015, [cited November 21],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78148&efYd20160630#0000 

  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17), 2017 General Health Examination Sheet,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p.4. 

  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16), 2015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pp.54-59. 

  9. J.H. Park, J.S. Lee, J.Y. Lee, J.Y. Hong, S.Y. Kim, S.O. Kim, B.H. Cho, Y.I. Kim, Y.S. Shin, Y. Kim(2006), Factors Affect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Mass Screening Participation in the Disabled, J Prev Med Public Health, Vol39(6);411-418.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5), Disabled persons, the rate of screening of health check is low, and medical use and medical expenses are higher. Press release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11.23., pp.1-12, [cited 2017 November 21]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27745&page2 

  11. J.C. Lee, K.H. Kim, H.N. Kim, N,S Kim(2012), Factors associated with diabetes outpatient use of tertiary or general hospitals as their usual source of care in Korea, J Korean Med Assoc, Vol.55(12);1215-1225. 

  12. R.M. Andersen, Newman(1973), J.F.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Health and Society, Vol.51(1);95-124. 

  13. H.J. Lee, H.J. Lee, B.Y. Jeon, Y.I. Jung(2009), Factors Related to Health Care Utilization in the Poor and the General Populatio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Vol.15(1);79-106. 

  14. H.Y. Song, J.W. Choi, E.C. Park(2015), The Effect of Economic Participatory Change on Unmet Needs of Health Care among Korean Adult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Vol.25(1);11-21. 

  15. M.R. Gil, C.G. Choi(2017), Exploring the Factors of Selecting National and Public Hospitals of Emergency Service Users, The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Vol.26(3);23-49.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6),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p.137. 

  17. B.Y. Jeon(2014), Factors affecting health care utilization and unmet health care needs of the disabled population in Korea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p.64-122. 

  18. Y. Kim, J.Y. Lee, B.S. Lee, W.H. Kim, J.S. Lee, N.J, Moon, K.S. Lee, J.H. An , H.S. Sim, J.H. Park, S.O. Kim, J.J. Lee, J.E. Lee(2005), Analysis of Actual Use of Medical Care Benefits for Disabled Persons and Study on strengthening health insuranc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p.65-84. 

  19. S.M. Havercamp, D. Scandlin, M. Roth(2004), Health Disparities Amo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dults with Other Disabilities, and Adults Not Reporting Disability in North Carolina, Public Health Rep, Vol.119(4);418-426. 

  20. L.I. Iezzoni, R.B. Davis, J. Soukup, B. O'Day(2003), Quality dimensions that most concern people with physical and sensory disabilities, Arch Intern Med, Vol.163(17);2085-2092. 

  21. H.Y. Lee, J.H. Park, Y. Kim(2012), Assessment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Korean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Journal of Critical Social Welfare, Vol.37;285-323. 

  22. M.K. Kim, W.J. Jung, S.J. Lim, S.J. Yoon, J.K. Lee, E.K. Kim, N.J. Ko (2010), Socioeconomic Inequity in Self-Rated Health Status and Contribution of Health Behavioral Factors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Vol.43(1);50-61. 

  23. S.O. Kim(2005), Choice of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6th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Conference, pp.8-10. 

  24. J.E. Shin(2013), Determinants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Adults with Disabilities : A Cas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2);549-577. 

  25. K.S. Moon, Y.K. Kim, H.J. Chang(2016), Determinants of the Use and Type of Comprehensive Medical Examination Servic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2);83-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