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건강검진 접근성 저해요인과 개선방안 도출에 대한 질적 연구
Accessibility Factors to Health Check-Ups for People with Disability: A Qualitative Study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30 no.3, 2020년, pp.335 - 344  

홍혜수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임상재활연구과) ,  임명준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자립생활지원기술연구팀) ,  김외숙 (국립재활원 재활병원부 사회복귀지원과) ,  최은숙 (국립재활원 재활병원부 내과) ,  김정환 (국립재활원 재활병원부 척수손상재활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hibiting access of people with disability to health check-ups as well as identify pertinent solutions for improvement. Methods: Twenty-three people with disability older than the age of 19 who took respective health check-ups within the...

주제어

표/그림 (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심현상이란 무엇인가? 중심현상(central phenomenon)은 인과적 조건과 맥락적 상황 속에서 참여자들에게 발생한 중심적인 사건이나 생각이다. 이번 연구의 참여자들은 평소 장애나 질병으로 인하여 의료기관 이용이 잦았고 과거에 건강검진을 1회 이상 받은 경험이 있었다.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은 어떠한 것을 규정하고 있는가? 국가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장애인건강권법)”을 제정하였다[11]. 2017년 12월 30일 시행된 이 법은 장애인의 건강권 보장을 위한 지원, 장애인 보건관리체계 확립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현재는 장애인건강권법을 근거로 다양한 사업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중앙장애인보건의료센터 지정에 이어 2020년 7월 국내 최초 장애인 건강검진센터 건립을 앞두고 있다.
질적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는 계량화하기 어려운 현상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목적으로 하며, 주로 인간의 경험이 이루어지는 특정한 맥락을 파악하고자 수행된다[15].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은 현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적합한 개념적 틀이 아직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아 변수들을 결정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질적 연구방법이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Oh SY, Kim SY, Lee SJ. A study on risk assuranc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role of private sector. Seoul: Korea Insurance Research Institute; 2018.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7.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3.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ion. Disability statistics at a glance 2019. Seongnam: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ion; 2019. 

  4. Yeo JY, Jeong HS. Determinants of health screening and its effects on health behaviors. Health Policy Manag 2012;22(1):49-64.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2.22.1.049. 

  5. Ryu H, Lee J. A policy alternatives on developing health care delivery system for disable person in the community.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03;17(1):5-16. 

  6. Suh HJ, Kim SW. A study on applying disability impact assessment for health screening program. J Rehabil Res 2015;19(2):75-98. DOI: https://doi.org/10.16884/JRR.2015.19.2.75. 

  7. Hong MH. Relationships of obesity, total-cholesterol, hypertension and hyperglycemia in health examinees with disabilities. J Korea Acad Ind Coop Soc 2016;17(10):591-59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10.591. 

  8. Yun JE, Lim B, Ho SH. Trends and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rate in Korean national health screening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Health Policy Manag 2014;24(2):172-180.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4.24.2.172. 

  9.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2017 Healthcare stat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eoul: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2019. 

  10. Cho MH, Shin DW, Park JH, Kim SY, Hwang I, Kim HH, et al. Research for the health care program and health promo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Korean J Fam Pract 2017;7(1):153-157. DOI: https://doi.org/10.21215/kjfp.2017.7.1.153. 

  11. Act of Health and Access to Medical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Law No. 13661 (Dec 29, 2015). 

  12. Lee JY, Jeong J, Kim YK, Jun EK, Kim SY, Kim HJ, et al. Has disabled access in healthcare institutions been increased?: a case study of Jongno-gu in Seoul, Korea. Health Policy Manag 2012;22(4):696-702.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2.22.4.696. 

  13. Kim SY, Lee JC, An BK, Kim YK. Factors associated with non-participation in health screen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Korean J Health Serv Manag 2017;11(4):89-104. DOI: https://doi.org/10.12811/kshsm.2017.11.4.089. 

  14. Kim SJ, Jung JS.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screening and the health type (physical activity, and etc) of the disabled by using the statistics of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J Korean Appl Sci Technol 2018;35(2):433-444. DOI: https://doi.org/10.12925/jkocs.2018.35.2.433. 

  15. Sherman E, Reid W.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ork.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16. Choi JY. Concepts and research method of grounded theory.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17. Corbin JM,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14. 

  18.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health check-up center model for the disabled. Seoul: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2017. 

  19. Kwon SJ. The convenience of the disabled is everyone's convenience. Mon Welf Trends 2002;(46):20-23. 

  20. Kwon SJ. Health care status and policy issues for the disabled. Health Welf Policy Forum 2015;(226):16-2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