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산하공공기관의 분류체계관리시스템 기능 설계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al Design of Classification Management System of Public Organizations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53, 2017년, pp.201 - 228  

오진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알엠소프트 기획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정부산하공공기관은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기록관리기준표를 도입하기 위해 분류체계를 정비하고 있다. 하지만 정비한 기록관리기준표를 탑재할 시스템이 부재하여 활용성에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고유의 미션을 가진 정부산하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기록관리의 토대가 되는 분류체계를 관리 할 수 있는 분류체계관리시스템 기능 설계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능 설계를 위해 5개 정부산하공공기관 기록물전문 요원과의 심층면담을 수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분류체계 등록 기능, 집합체 계층 구조 설정 기능, 기록관리기준 관리 기능을 설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public organizations have been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in order to introduce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archives. However, there is no system to mount the revised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and there is a proble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행정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목적별 분류체계가 이 기능과 유사하지만 목적별 분류체계는 기능별 분류체계만 매핑이 가능하다. 본 설계에서는 분류체계와 집합체의 매핑을 통해 보다 세분화된 분류가 가능하도록 기능 설계를 하였다. <그림 8>은 분류체계와 집합체를 매핑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 본 연구는 행정기관에 비해 기록관리를 위한 시스템 도입이 늦은 정부산하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기관의 기록관리 근간이 되는 분류체계를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 기능 설계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각종 행정정보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분류체계를 담을 수 있고, 케이스 업무, 프로젝트성 업무, 동시적 업무 등의 기록물 관리가 가능한 기록물철 계층구조를 설계하였으며, 기록관리기준표를 시스템으로 관리 할 수 있는 기능을 설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업무관리시스템과 기록관리기준표 제도가 도입되지 않은 정부산하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기관의 기록관리의 토대가 되는 분류체계를 관리 할 수 있는 분류체계관리시스템 기능을 설계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정부산하공공기관의 기록분류체계 현황을 토대로 기능요구사항을 분석하였고, 요구사항을 근거하여 분류체계관리시스템 기능 설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의 ‘집합체'는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가? 기록의 ‘집합체(aggregation)’는 연관 있는 기록들을 모아서 묶는 과정을 말하며, 다른 기록의 맥락과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각 주제의 생생한 기술적 묘사를 총체적으로 제공한다. 집합체의 구성은 동일한 업무처리나 절차, 업무분류, 주제영역이나 사안, 인물·장소·프로젝트·사건·고객·이벤트, 메타데이터, 출처·형식, 접근통제, 보유와 처분 조건에 따라 만들 수 있다 (DLM Forum 2010). 업무시스템의 속성에 따라 집합체의 속성이 고려되어야하며, 집합체의 형태와 크기, 관리방식을 정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저장소위치, 저장용량, 보안, 접근제한 및 기타 사항들이 함께 고려되어야한다.
ISO 15489에서 정의하는 분류란 무엇인가? 기록관리 국제표준 ISO 15489에서 정의하는 ‘분류(classification)’란 논리적으로 구조화된 규칙과 방법, 그리고 분류체계에 제시된 절차상의 규칙에 따라 만들어진 범주 속에 업무 활동과 기록을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하는 것을 말한다. ISO 15489에서 정의된 기록관리 프로세스를 고려한 Moreq 2010에서의 분류 정의는 업무 기능(function), 활동(activity), 처리(transaction) 를 분류체계3)에서 집합체나 기록(record)이 클래스(class)4)와 연관시키는 행위를 말한다.
기록을 분류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기록의 분류는 문헌 분류와 다르게 기록의 내용(contents)보다 기록이 생산된 맥락(context)을 기준으로 하며, 맥락의 핵심은 업무나 기능이 된다(설문원 2011). 이런 관점에서 기록을 분류하는 목적은 기록이 생성되었던 업무 프로세스에 기록을 링크시킴으로써 가장 확실한 업무 맥락을 제공하는데 있으며(DLM Forum 2010), 분류 행위는 기록의 업무 맥락을 잘 유지하고, 기록의 보존 및 최종관리를 위함이며, 무엇보다 처분 일정(disposal schedule)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국가기록원. 2014. 지방자치단체 기록관리기준표 표준. 

  2. 국가기록원. 2016. 2016년 정부산하공공기관 기록물관리 지침. 

  3. 국가기록원. 2017. 2017년 정부산하공공기관 기록물관리 지침. 

  4. 문찬일. 2016. 기초지방자치단체 기능분류체계(BRM)의 단위과제 구축 사례. 기록학연구, 49: 247-275. 

  5. 배성중, 김태영, 오효정, 김용. 2016. 교육대학교의 표준 기록관리기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2), 119-145. 

  6. 오진관, 조윤희, 임진희. 2016. 정부산하공공기관의 업무관리시스템 기능 사례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81-112. 

  7. 이미영. 2007. 기록관리기준 조사 및 작성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15, 185-218. 

  8. 이세진, 김화경. 2016. BRM 정비를 통한 기록관리기준표 개선사례. 기록학연구, 50, 273-309. 

  9. 서울시. 2013. 사업보고서, 2013 서울시 기능분류모델(BRM) 및 기록관리기준표 정비사업. 

  10. 설문원, 천권주. 2005. 전자기록철의 구조와 관리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2), 49-72. 

  11. 설문원. 2006. 공공업무의 체계적 기록화를 위한 보유일정표 설계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199-219. 

  12. 설문원. 2011. 예술기록의 분류와 정리에 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217-247. 

  13.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 참여정부의 전자정부 로드맵. 

  14. 정상희. 2016. 광역지방자치단체 단위과제 운영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9, 327-359. 

  15.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4. 전자기록관리의 이해. 한국국가기록연구원. 

  16. 한국기록관리학회. 2013.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 서울: 아세아문화사 

  17.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18. 한국수력원자력. 2015. 기록물관리기준 및 분류체계개발사업. 

  19. 행정자치부. 2006. 정부기능분류모델(BRM) 교육자료. 

  20. 행정자치부. 2006. 정부기능연계시스템 고도화 사업계획서. 

  21. 행정자치부. 2013. BRM시스템 교육교재-3.분류체계 관리. 

  22. DLM Forum. 2010. Modular Requirements for Records Systems. 

  23. Shepherd & Yeo. 2003. Managing records, UK: Facet Publishing. 

  24. Pearce-Moses, Richard. 2005. A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Archival Fundamentals Series II,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5.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http://www.archives.go.kr/next/manager/archiveStandard.do.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