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밀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 연구
A Study of System Design for Management the Confidential Records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52, 2017년, pp.277 - 313  

홍덕용 (부산광역시 수영구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밀기록물관리에 관한 규정이 제 개정되면서 비밀기록물의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게 되었지만 기록관리 현장에서 여전히 비밀기록물의 특성과 가치를 고려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비전자환경에서 관리하던 비밀기록물을 전자환경에서 처리하여 효율적으로 비밀기록물에 대한 장기 보존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공공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비밀기록물을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비밀기록물의 멸실과 훼손에 따른 정보손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인가 받은 이용자의 디지털 보안 환경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확보하여 비밀기록물에 대한 상용 관리체계 기반을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비밀기록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기록관리 국제표준에 맞는 시스템 구성 요구사항을 분석, 분석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한 시스템 설계 등 시스템에 관련된 사항과 시스템의 보안 및 암호화, 메타데이터, 비밀관리기록부 정리 및 출력에 대한 전체적인 설계 과정과 표준 관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enactment of regulations on confidential records management, the management of confidential records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However, there remains no management method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that takes the feature and values of confidential records into consider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비밀기록물을 관리하고 일반문서로 재분류되었을 때 직원들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시스템 설계가 필요하다.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과 『보안업무규정』 등을 통하여 비밀기록물관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고, 기록관리에 관한 선행연구를 하였다.
  • 구체적으로는 모든 공공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비밀기록물을 자체적으로 관리·활용할 수 있는 국가표준시스템을 개발하여 비밀기록물의 멸실과 훼손에 따른 정보손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인가 받은 이용자의 디지털 보안 환경에서 편리하게 비밀기록을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확보함으로써, 모든 기관에서 비밀기록에 대한 상용 관리·활용체계 기반을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의 기록관리 공공표준 비밀기록물 관리(NAK/S 20: 2016 v1.2)와 국가기록원 비밀기록물 관리 실무지침과 유형별 기록관리시스템 설계·구축과 시스템보안에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았다.
  • 이 조항은 종이기록물 보존, 업무 결과 중심의 관리에서 벗어나, 업무 전(全) 과정의 기록을 전자적으로 관리·활용하는 선진 기록관리체계로 전환을 목적으로 행정업무의 투명성 및 업무활동과 처리행위에 관한 증거와 정보를 전자기록형태로 획득,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 이에 시청각기록물의 디지털 변환을 통해 DB구축과 이용자의 직접적인 검색·활용을 통하여 기록물에 대한 보존과 활용에 대한 실제 사례를 기술하였다.
  • 이종열은 암호화와 접근제어 및 감사 기능을 활용한 복합적 DB보안시스템의 실태와 위험성에 대해 살펴보고 안전한 정보화 자원 보호를 위한 통합 DB보안 시스템의 구축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DB 암호화와 데이터베이스 접근제어 및 감사 기능을 가진 두 가지 보안 분야의 시스템을 상호 연동 하여 관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 하여 이를 통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비인가 사용자의 접근으로부터의 안전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기관에서 비밀기록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러한 상황에서 공공기관에서 비밀기록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는 보안업무 담당자가 바뀌어도 기록관리 표준과 보안규정에 맞게 관리가 가능하고 또한 비전자환경으로 관리하던 비밀기록물을 전자환경에서 처리하여 보다 적은 시간과 비용과 노력을 투입하여, 비밀기록물에 대한 장기보존 대책을 마련 할 수 있다. 이러한 비밀기록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비밀기록물에 대한 관리 활용의 장을 마련하여 기록관리업무에 상당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비밀기록물이란? 비밀은 그 내용이 누설되는 경우 국가안전보장에 유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국가기밀로서 비밀로 분류된 것을 말하며 비밀기록물은 공공기관이 생산한 문서·대장·카드·도면·시청각물·도서·전자문서 등의 기록물 중 비밀로 분류된 기록물 이라고 정의 내리고 있다(국가기록원 2012, 5). 2012년에 개정된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기록물관리기관의 장은 기록물이 전자적으로 생산·관리되도록 필요한 조치를 마련하여야 하며, 전자적 형태로 생산되지 아니한 기록물도 전자적으로 관리되도록 의무화되었다(공공기록물법 제6조).
공공기록물법 제6조의 목적은? 2012년에 개정된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기록물관리기관의 장은 기록물이 전자적으로 생산·관리되도록 필요한 조치를 마련하여야 하며, 전자적 형태로 생산되지 아니한 기록물도 전자적으로 관리되도록 의무화되었다(공공기록물법 제6조). 이 조항은 종이기록물 보존, 업무 결과 중심의 관리에서 벗어나, 업무 전(全) 과정의 기록을 전자적으로 관리·활용하는 선진 기록관리체계로 전환을 목적으로 행정업무의 투명성 및 업무활동과 처리행위에 관한 증거와 정보를 전자기록형태로 획득,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보안업무규정에서는 전자적 방법을 사용하여 비밀을 관리할 수 있다(보안업무규정 제21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강구민. 2014. 특수유형기록물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국가기록원. 2012. 비밀기록물 재분류 매뉴얼. 

  3. 국가기록원. 2016. 비밀기록물 관리(v1.2, NAK/S20 : 2016.). 

  4. 서영관. 1998. 시스템보안기법의 비교 연구.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신동헌외 2명. 2009. 시청각(사진/동영상)기록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과 운영사례연구. 기록학연구, 9, 33-50. 

  6. 위성현. 2012. 전자메일 기록관리시스템 설계 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종열. 2005. 보다 안전한 정보화 자원 보호를 위한 DB보안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임선화. 2004. 수집기록물관리시스템 모델링.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한국기록관리협회. 2009, 전자기록물의 이해. 서울: 조은글터. 

  10.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 Reference Model for an 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OAIS).(2002). CCSDS 650.0-B-1, Blue Book. 

  11. John Phillips. (2004). "E-Records Software Selection Guidelines." Proceedings of the ARMA International 49th Annual Conference. Long Beach. 

  12. Kate Cumming. (2005). "Metadata Matters." Managing Electronic Records. Ed. by Julie McLeod and Catherine Hare. London : Facet Publishing. 

  13. US Department of Defense. DoD5015.2-STD. (1997). Design Criteria Standard for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oftware App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