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명품과 배경음악이 충동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ckground Music on Impulsive Decision Making: When People are Exposed to Luxury Item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0 no.1, 2017년, pp.83 - 94  

장성진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한광희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상품과 배경음악이 사람들의 충동적인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지연 할인의 쌍곡선 함수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상품과 배경음악에 따라 유의미한 이원 상호 작용이 존재했다. 명품 조건에서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콘체르토 5번 장조 음악을 들었을 때, 20번 단조 음악을 들었을 때보다 충동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하지만 실용 상품에 노출된 참가자들에게선 음악의 종류에 따라 충동성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추가 연구를 통해 음악을 더 세분화하여 빠르기를 조절하여 그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동시에 정서가 위와 같은 결과를 매개 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정서의 매개효과와 빠르기의 주효과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빠르기와 장단조 조건 간의 유의미한 이원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알레그로(allegro) 빠르기에서는 장조음악일 때가 단조 조건일 때보다 충동성이 높은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안단테(andante) 빠르기에서는 장조 음악을 들었을 때가 단조 음악을 들었을 때보다 유의미하게 충동성이 낮게 나타났다. 우울한 정서를 예측 변수로 하고 미래 시간 길이 지각을 매개 변인으로 하여 추가 연구를 진행한 결과, 시간 길이 지각은 우울한 정서가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figured out that music modes and item types could affect people's urged decision making through a k-value which results from a delay discounting's hyperbolic function. Generally, high k-value is related to impulsive decision making. Concretely,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usain et al.(2002)의 연구 결과에 따 르면 모차르트 음악이 정서와 각성을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절된 정서가 충동성에 영향을 미친 것인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Yalch and Spangenberg(1988)의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배경음악이 있는 구매상황에서 쇼핑 센터에 머무른 시간이 길었다는 결과를 토대로 참가자들의 미래를 지각하는 정도의 차이가 지연할인을 매개하였는지 살펴보았다.
  • 또한 기존의 모차르트 효과 연구에서는 공간 지각 능력과 관련된 과제를 통해 학습 분야에 초점이 맞춰졌으며 실생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차르트 음악을 들은 참가자들의 어떤 정서가 조절되는지 명확히 밝히고 학습 분야가 아닌 실생활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 두 방법엔 장단점이 존재하지만, 기존 양자택일 방법에서는 현재 당장 5,000원 지급과 7일 후 5,000원 지급과 같은 보기를 통해 참가자들에게 금액에 대한 전형 적인 기준을 만드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산 값이 증가하더라도 참가자들이 원하는 금액을 직접 보고 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자유 보고에서 생기는 문제점은 k값이 0이 생기는 경우이며 그에 따라 발생하는 큰 분산이다.
  • Bschor, Bauler, Lewitzka, Skerstupetit, Muller -Oerlinghausen, and Baethge(2004)의 연구에서도 우울증 환자들이 정상인에 비해 시간을 과대평가하고 반대로 조증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시간을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명품과 배경음악이 사람들의 충동적인 의사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배경음악을 통해 조절된 참가자들의 정서가 이러한 충동적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 후 참가자들의 시간 지각 변수가 결과를 매개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 이에 따라 서론에서 언급한 Yalch and Spangenberg(1988), Panno 등(2014) 그리고 Nosweworthy 등(2009)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배경 음악에 노출된 참가자들이 시간을 왜곡하여 지각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지연할인 k 값의 차이가 나타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 3 을 설계 하였다. 또한 음계의 주효과는 실험 참가자 수 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하였기 때문에 실험3에서 재 측정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매장의 환경과 유사한 설계를 위해, 음악을 감상하면서 동시에 명품에 노출시켜 외적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또한 음계의 주효과는 실험 참가자 수 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하였기 때문에 실험3에서 재 측정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매장의 환경과 유사한 설계를 위해, 음악을 감상하면서 동시에 명품에 노출시켜 외적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설계를 위해 다양한 음악 가운데 명품 매장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클래식 음악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클래식 음악의 종류에 따라 사람들 간의 차이를 밝혀낸 다수의 연구가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로 모차르트 효과(Mozart effect)가 있다.
  • 사람들의 구매행위 즉, 쇼핑에 관여하는 많은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특히 배경음악과 정서, 시간지각에 관한 연구를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배경음악과 쇼핑에 대해 살펴본 Yalch and Spangenberg(1988)의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쇼핑상황에서 배경음악이 있을 때에 배경음악이 없을 때 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의도하지 않았던 구매를 하게 됨을 밝혀냈는데, 동시에 긍정적인 정서와 부정적인 정서 모두 배경음악이 없을 때보다 있을 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 (2014)의 연구 역시 도박게임을 통해 개인의 충동성을 측정하였다. 상품 구매 상황에서는 개인의 돈을 소비하거나 획득하는데 관련한 충동성이 실제 구매행동에서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본 연구에서는 상품 종류와 음악의 음계 두 요소들이 실제 제품 구매 상황에서 구매자가 경험할 수 있는 충동성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구매 상황과 관련된 충동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품 종류와 음악의 음계에 따라 Johnson and Bickel(2002)의 연구에서 사용한 지연할인을 사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연구문제를 통해 명품과 음악이 구매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동적 의사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이러한 충동적 의사결정에 매개할 것으로 기대되는 두 변인(정서와 시간 지각)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모차르트 효과 연구에서는 공간 지각 능력과 관련된 과제를 통해 학습 분야에 초점이 맞춰졌으며 실생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설 설정

  • Chua and Zou(2009)와 Gino et al.(2011)의 연구를 바탕으로 호화 상품에 노출되는 것은 사회적인 의사 결정뿐만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단기적인 가치에 더 집중하려는 경향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해보았다. 그 결과 명품에 노출된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지연할인의 정도가 높게 나타나며 기존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 둘째, 음계에 따라 충동적 의사 결정에서 차이가 나타난다면 이는 정서의 차이에서 나타난 결과인가?
  • 셋째, 참가자들의 시간 지각 정도가 정서가 충동적 의사 결정에 미친 영향을 매개하였는가?
  • 첫째, 명품에 노출된 참가자들이 배경음악의 음계에 따라 충동적 의사 결정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 퍼즐 과제를 실시한 후, 지연할인에 대한 설문으로 오늘의 참가비로 5,000원을 받을 수 있다고 가정하고 1주일, 1달, 3달, 6달, 1년 후에 참가비를 수령하게 된다면 얼마를 받아야 적합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답변을 하였다.
  • 퍼즐을 실시한 이후, K-POMS 설문 문항에 다시 답변하도록 하였으며 지연할인에 대한 설문으로 오늘의 참가비로 5,000원을 받을 수 있다고 가정하고 1주일, 1달, 3달, 6달, 1년 후에 참가비를 수령하게 된다면 얼마를 받아야 적합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답변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연할인이란 무엇인가? 앞서 언급한 지연할인(delay discounting)이란 사람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같은 가격의 상품의 가치를 절하하는 현상을 말한다(Benzoin, Rapport, & Yagil, 1989). 지연할인의 실험은 두 가지 옵션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게 한다.
Yalch and Spangenberg(1988)은 배경음악의 친숙도에 따른 시간지각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Yalch and Spangenberg(1988)은 배경음악의 친숙도에 따른 시간지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쇼핑 상황에서 친숙하지 않은 음악이 제시될 경우 쇼핑에 걸린 시간을 더 길다고 지각하였다. 시간과 관련하여 참가자들의 위험 감수 경향 (risk taking)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한 Panno, Pierro, and Lauriola (2014)는 미래의 다가올 나쁜 결과를 최대한 회피하려는 경향의 사람들을 평가 모드(assessment mode)라고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명품이라는 말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명품의 사전적 의미는 ‘뛰어난 물건(작품)’이다(Lee, 2013).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뛰어난 제품의 품질보다는 상표나 가격에 주된 초점을 두어 고가의 외국 유명 상표의 상품을 뜻하는 말로 사용한다. 이렇게 보면 우리나라에서만 명품이라는 용어가 고급 브랜드를 칭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Ha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 S. K. & Kim, M. S. (2008). The Study 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pp. 163. 

  2. Benzoin. U., Rapport A., & Yagil, J. (1989). Discount rates inferred from decisions: An experimental study. Management Science, 35(3), 270-284. 

  3. Berry, C. J. (1994). The idea of luxury : A conceptual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Bluedorn, A. C. (2002). The human organization of time: Temporal Realities and Experience. Stanford, CA : Stanford University Press. 

  5. Bramley, S., Dibben, N., & Rowe, R. (2014). The influence of background music tempo and genre on virtual roulette. Journal of Gambling Issues, 1-12. 

  6. Bschor, T., Ising, M., Bauler, M., Lewitzka, U., Skerstupeit, M., Muller-Oerlinghausen, B., & Baethge, C. (2004). Time experience and time judgement in major depression, mania and healthy subjects. A controlled study of 93 subjects. Acta Psychiatrica Scandinavia, 109, 222-229. 

  7. Chua, R.Y. & Zou, X. (2009). The Devil Wears Prada? Effect of Exposure to luxury goods on cognition and decision making, Harvard Business School Organizational Behavior Unit Working Paper, 10(34). 

  8. D'Arpizio, C., Levato, F., Zito, D., & De Montgolfier, J. (2015). Luxury goods worldwide market study. Bain & Company's report, December, 10. 

  9. Dixon, M. J., Harrigan, K. A., Santesso, D. L., Graydon, C., Fugelsang, J. A., & Collins, K. (2014). The impact of sound in modern multiline video slot machine play. Journal of Gambling Studies, 30(4), 913-929. 

  10. Gino, F., Schweitzer, M. E., Mead, N. L., & Ariely, D. (2011). Unable to resist temptation: How selfcontrol depletion promotes unethical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15(2), 191-203. 

  11. Han, S. J. (2007). Study 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based on purchase experience of luxury goods.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3), 137-149. 

  12. Henver, K. (1935). The affective character of the major and minor modes in music,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47(1). 

  13. Hilton, M. (2004). The legacy of luxury: Moralities of consumption since the 18th century. Journal of Consumer Culture, 4: 101. 

  14. Husain, G., Thompson, W. F., & Schellenberg, E. G. (2002). Effects of musical tempo and mode on arousal, mood, and spatial abilities. Music Percpeption, 20, 151-171. 

  15. Johnson, M. W. & Bickel, W. K. (2002). Within­subject comparison of real and hypothetical money rewards in delay discounting. Journal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77(2), 129-146. 

  16. Kim, E. J., Lee, S. I., Jeong, D, U., Shin, M. S., & Yoon, I. Y. (2003). Standardization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Edition of Profile of Mood States (K-POMS). Sleep Medicine and Pshysiology, 10(1), 39-51. 

  17. Lee, K., M. (2013). Dong-A new Korean dictionary (동아새국어사전), Seoul: Dong-A Publishing. 

  18. Mandel, N., Petrova, P. K., & Cialdini, R. B. (2006). Images of Success and the Preference for Luxury Brand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6(1), 57-69. 

  19. Mazur, J. E. (1987). An adjusting procedure for studying delayed reinforcement. Commons, ML.; Mazur, JE.; Nevin, JA, 55-73. 

  20. Mentzoni, R. A., Laberg, J. C., Brunborg, G. S., Molde, H., & Pallesen, S. (2014). Type of musical soundtrack affects behavior in gambling.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3(2), 102-106. 

  21. McNair, D. M., Lorr, M., & Droppleman, L. F. (1992). POMS manual - Revised manual for the profile of mood states. San Diego, CA: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s, 731, 732-733. 

  22. Noseworthy, T. J. & Finlay, K. (2009). A comparison of ambient casino sound and music: Effects on dissociation and on perceptions of elapsed time while playing slot machines. Journal of Gambling Studies, 25(3), 331-342. 

  23. Panno, A., Pierro, A., & Lauriola, M. (2014). Selfregulation predicts risk-taking through people's time horizo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9(3), 211-215. 

  24. Rock, D. W. (1987). The Buying impul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 189-199. 

  25. Schaefer, M. & Rotte, M. (2007). Thinking on luxury or pragmatic brand products: Brain responses to different categories of culturally based brands. Brain Research, 1165, 98-104. 

  26. Spenwyn, J., Barrett, D. J., & Griffiths, M. D. (2010). The role of light and music in gambling behaviour: An empirical pilo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8(1), 107-118. 

  27. Tsai, S. (2005). Impact of personal orientation on luxury-brand purchase value An international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arket Research, 47(4), 429-454. 

  28. Twenge, J. M., Catanese, K. R., & Baumeister, R. F. (2003). Social exclusion and the deconstructed state: time perception, meaninglessness, lethargy, lack of emotion, and self-awar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3), 409. 

  29. Thompson W. F., Schellenberg E. G., & Husain G. (2001). Arousal, Mood and Mozart effect. Psychological Science. 12, 248-251. 

  30. Verplanken, B., Herabadie, A. G., Perry, J. A., & Silvera, D. H. (2005). Consumer style and health: the role of impulsive buying in unhealthy eating, Psychology and Health, 20, 429-441. 

  31. Watson, D., Pennebaker, J. W., & Folger, R. (1987). Beyond negative affectivity: Measuring stress and satisfaction in the workpla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8(2), 141-158. 

  32. Yalch, R. F. & Spangenberg, E. (1988). An environmental psychological study of foreground and background music as retail atmospheric factors. AMA Educators' Conference Proceedings, 54, 106-1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