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미충족의료율과 추이
Unmet Healthcare Needs Status and Trend of Korea in 2015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7 no.1, 2017년, pp.80 - 83  

윤효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장성인 (연세대학교 보건정책 및 관리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reported unmet healthcare needs is an important indicator to measure the access problem in healthcare service. To examin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unmet needs in Korea, we used data from four source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국민건강영양조사 등 다양한 연구자료에서 미충족의료 경험 여부를 물음으로써 모집단의 경험률을 추정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이를 집적하고 비교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충족의료 경험을 설문한 여러 데이터들을 기술적으로 분석하고 비교하고자 한다. 한편, 선행연구들은 미충족의료의 증가와 관련하여 인종, 소득, 의료보험 보장 여부 등 다양한 요인을 꼽고 있으며[3-5], 특히 저소득계층의 경제적 부담으로 인한 의료서비스 제한은 의료 형평성 차원에서 자주 논의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충족의료의 정의는 ? 미충족의료는 의료서비스 접근도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이다[1]. 미충족의료는 의료서비스 이용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바와 실제 이용한 의료서비스 간의 차이로 정의되며[2], 미충족의료로 인해 자칫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 의료소비자의 신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민건강영양조사 등 다양한 연구자료에서 미충족의료 경험 여부를 물음으로써 모집단의 경험률을 추정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이를 집적하고 비교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 미충족의료에 대하여 설문 조사한 총 4가지 데이터는 무엇인가 ? 이 연구는 미충족의료에 대하여 설문 조사한 총 4가지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지역사회건강조사(Com-munity Health Survey, CHS), 한국의료패널(Korea Health Panel Survey, KHP)는 “최근 1년 동안 본인이 병·의원(치과 제외)에 가고 싶을 때 가지 못한 적이 있습니까?”라는 문항을 사용하여 개인 단위의 미충족의료 경험을 묻고 있으며, 미치료 원인을 경제적인 이유로, 시간이 없어서, 증상이 가벼워서 등 특정 요인에 한정하지 않고 있다[6-8]. 반면 한국복지패널(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S)의 경우 “조사연도 1년 동안 돈이 없어서 본인이나 가족이 병원에 갈 수 없었던 적이 있습니까?”라고 질문함으로써 개인이 아닌 가구 단위의 미충족의료 경험을 묻고 있으며 미치료 원인도 경제적인 이유로만 한정하고 있다[9].
미충족의료의 특징은 ? 미충족의료는 의료서비스 접근도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이다[1]. 미충족의료는 의료서비스 이용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바와 실제 이용한 의료서비스 간의 차이로 정의되며[2], 미충족의료로 인해 자칫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 의료소비자의 신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Newacheck PW, Hughes DC, Hung YY, Wong S, Stoddard JJ. The unmet health needs of America's children. Pediatrics 2000;105(4 Pt 2):989-997. 

  2. Carr W, Wolfe S. Unmet needs as sociomedical indicators. Int J Health Serv 1976;6(3):417-430. DOI: https://doi.org/10.2190/mcg0-uh8d-0ag8-vfnu. 

  3. Ayanian JZ, Weissman JS, Schneider EC, Ginsburg JA, Zaslavsky AM. Unmet health needs of uninsured adults in the United States. JAMA 2000;284(16):2061-2069. DOI: https://doi.org/10.1001/jama.284.16.2061. 

  4. Shi L, Stevens GD. Vulnerability and unmet health care needs: the influence of multiple risk factors. J Gen Intern Med 2005;20(2):148-154. DOI: https://doi.org/10.1111/j.1525-1497.2005.40136.x. 

  5. Feinberg E, Swartz K, Zaslavsky A, Gardner J, Walker DK. Family income and the impact of a children's health insurance program on reported need for health services and unmet health need. Pediatrics 2002;109(2):E29. DOI: https://doi.org/10.1542/peds.109.2.e29. 

  6. Kweon S, Kim Y, Jang MJ, Kim Y, Kim K, Choi S, et al. Data resource profil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t J Epidemiol 2014;43(1):69-77. DOI: https://doi.org/10.1093/ije/dyt228. 

  7. Kang YW, Ko YS, Kim YJ, Sung KM, Kim HJ, Choi HY, et al.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profiles. Osong Public Health Res Perspect 2015;6(3):211-217. DOI: https://doi.org/10.1016/j.phrp.2015.05.003. 

  8. Seo NK, Kang TW, Heo SI, Shin HS, Oh YH, Jung SH, et al. A report on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of 2015.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9. Lee TJ JH, Jung EH, Oh MA, Jeon JH, Park HJ, et al. A report o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of 2014.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10. Oh CM, Won YJ, Jung KW, Kong HJ, Cho H, Lee JK, et al.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3. Cancer Res Treat 2016;48(2):436-450. DOI: https://doi.org/10.4143/crt.2016.089. 

  1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 analysis of healthcare market competition in Korea.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1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urvey report on labor conditions by employment type. 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5. 

  13. Statistical Office of the European Communities. Self-reported unmet needs for medical examination by sex, age, detailed reason and income quintile. Luxembourg: EUROSTAT;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