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악 전치부 마모로 전방 유도가 상실된 환자에서 수직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vertical dimension increase in patient with loss of anterior guidance due to maxillary anterior teeth wear: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5 no.2, 2017년, pp.171 - 179  

김웅기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보철과) ,  염경연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보철과) ,  이용상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보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심하게 마모된 치열은 종종 그 원인이 다양하다. 과도한 마모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마모를 일으키는 원인을 명확히 진단하기란 쉽지 않다. 마모된 치열의 치료를 시작하기 전 세심한 검사와 수직고경을 결정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69세의 남환이 전반적인 치아 마모로 인한 기능적, 심미적인 불만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모델 분석과 진단 납형을 바탕으로 새로운 수직고경이 설정되었다. 임시 보철물이 장착되고 5개월 후 최종 보철물을 장착하였다. 새로운 수직고경을 설정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rely worn dentition is frequently multifactorial. It is crucial that the etiology of excessive wear be determined, but accurately diagnosing the factors responsible for tooth wear is often confusing. Before initiating the treatment of these cases, meticulous examination and determining vert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에서는 과도하게 마모된 상악 전치에 의해 전방유도가 상실됨에 따라 전반적인 치열의 마모가 진행된 환자의 전악 수복 치료를 진행하였다. 마모에 의한 수직고경의 감소 여부 파악이 필수적이었으며 수직 고경을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전치부에서 1.
  • 치아 마모에 의한 수직고경 감소 여부를 다양한 방법으로 진단 및 평가하여 새로운 수직고경을 설정하였다. 진단 납형 형성 및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여 장착 후 5개월의 관찰 기간을 거치면서 심미, 기능, 환자의 적응도 등을 판단하였고, 최종적으로 금속 도재관을 이용하여 전악구강 회복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을 얻었기에 증례 보고 하는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마모란? 치아마모(tooth wear)는 비우식성 치아 경조직 상실의 한 과정으로 교모(attrition), 마모(abrasion), 부식(erosion) 등의 형태로 치아 표면에 나타나게 된다.1 일생을 걸쳐 치아는 지속적인 마모의 과정을 겪게 되며, 이는 생리적인 것과 병적인 것으로 나누어볼수 있다.
병적인 마모는 무엇과 연관되어 있는가? 4 생리적인 마모의 정도는 여러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법랑질의 자연적인 연간 마모량은 Lambrechts 등5은 68 ㎛임을 보고하였다. 이에 비해 병적인 마모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생리적인 마모보다 더 빠른 속도로 치아 경조직이 상실되는 것을 의미하며6 치질의 과도한 손상으로 인한 대합치 정출, 치주환경의 파괴, 교합성 외상, 수직고경의 상실, 악구강계 질환 등과 연관될 수 있다.7
치아마모는 어떻게 나뉘는가? 치아마모(tooth wear)는 비우식성 치아 경조직 상실의 한 과정으로 교모(attrition), 마모(abrasion), 부식(erosion) 등의 형태로 치아 표면에 나타나게 된다.1 일생을 걸쳐 치아는 지속적인 마모의 과정을 겪게 되며, 이는 생리적인 것과 병적인 것으로 나누어볼수 있다.2,3 치아의 생리적인 마모는 점진적으로 발생하며 이는 치조골의 성장 및 치아의 정출로 보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tlett DW. The role of erosion in tooth wear: aetiology, prevention and management. Int Dent J 2005;55:277-84. 

  2. Smith BG, Bartlett DW, Robb ND. The prevalence, etiology and management of tooth wear in the United Kingdom. J Prosthet Dent 1997;78:367-72. 

  3. Gregory-Head B, Curtis DA. Erosion caused by gastroesophageal reflux: diagnostic considerations. J Prosthodont 1997;6:278-85. 

  4. Etman MK, Woolford M, Dunne S.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ooth and ceramic wear: in vivo study. Int J Prosthodont 2008;21:245-52. 

  5. Lambrechts P, Braem M, Vuylsteke-Wauters M, Vanherle G. Quantitative in vivo wear of human enamel. J Dent Res 1989;68:1752-4. 

  6. Verrett RG. Analyzing the etiology of an extremely worn dentition. J Prosthodont 2001;10:224-33. 

  7. Mulay G, Dugal R, Buhranpurwala M. An evaluation of wear of human enamel opposed by ceramics of different surface finishes. J Indian Prosthodont Soc 2015;15:111-8. 

  8. Johansson A, Haraldson T, Omar R, Kiliaridis S, Carlsson GE. A system for assessing the severity and progression of occlusal tooth wear. J Oral Rehabil 1993;20:125-31. 

  9. Mehta SB, Banerji S, Millar BJ, Suarez-Feito JM. Current concepts on the management of tooth wear: part 1. Assessment, treatment planning and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and the passive management of tooth wear. Br Dent J 2012;212:17-27. 

  10. Briggs P, Bishop K. Fixed prostheses in the treatment of tooth wear. Eur J Prosthodont Restor Dent 1997;5:175-80. 

  11. Sato S, Hotta TH, Pedrazzi V. Removable occlusal overlay splint in the management of tooth wear: a clinical report. J Prosthet Dent 2000;83:392-5. 

  12. Hemmings KW, Darbar UR, Vaughan S. Tooth wear treated with direct composite restorations at an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results at 30 months. J Prosthet Dent 2000;83:287-93. 

  13. Dahl BL, Krogstad O. The effect of a partial bite-raising splint on the inclination of upper and lower front teeth. Acta Odontol Scand 1983;41:311-4. 

  14. Ramfjord SP, Blankenship JR. Increas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n adult monkeys. J Prosthet Dent 1981;45:74-83. 

  15. Turner KA, Missirlian DM. Restoration of the extremely worn dentition. J Prosthet Dent 1984;52:467-74. 

  16. Park JH, Jeong CM, Jeon YC, Lim JS. A study on the occlusal plane and the vertical dimension in Korean adults with natural denti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5;43:41-51. 

  17. Jagger DC, Harrison A. An in vitro investigation into the wear effects of selected restorative materials on enamel. J Oral Rehabil 1995;22:275-81. 

  18. Lussi A. Dental erosion clinical diagnosis and case history taking. Eur J Oral Sci 1996;104:191-8. 

  19. Smith BG, Knight JK. An index for measuring the wear of teeth. Br Dent J 1984;156:435-8. 

  20. Wiley MG. Effects of porcelain on occluding surfaces of restored teeth. J Prosthet Dent 1989;61:133-7. 

  21. Jacobi R, Shillingburg HT Jr, Duncanson MG Jr. A comparison of the abrasiveness of six ceramic surfaces and gold. J Prosthet Dent 1991;66:303-9. 

  22.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 Elsevier Health Sciences; 2006. 

  23. Rivera-Morales WC, Mohl ND. Relationship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to the health of the masticatory system. J Prosthet Dent 1991;65:547-53. 

  24. Dahl BL, Carlsson GE, Ekfeldt A. Occlusal wear of teeth and restorative materials. A review of classification, etiology, mechanisms of wear, and some aspects of restorative procedures. Acta Odontol Scand 1993;51:299-311. 

  25. Abduo J, Lyons K. Clinical considerations for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review. Aust Dent J 2012;57:2-10. 

  26. Aglietta M, Siciliano VI, Zwahlen M, Bragger U, Pjetursson BE, Lang NP, Salvi GE. A systematic review of the survival and complication rates of implant 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with cantilever extensions after an observation period of at least 5 years. Clin Oral Implants Res 2009;20:441-51. 

  27. Zurdo J, Romao C, Wennstrom JL. Survival and complication rates of implant-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s with cantilevers: a systematic review. Clin Oral Implants Res 2009;20:59-66. 

  28. Pjetursson BE, Tan K, Lang NP, Bragger U, Egger M, Zwahlen M. A systematic review of the survival and complication rates of fixed partial dentures (FPDs) after an observation period of at least 5 years. Clin Oral Implants Res 2004;15:625-42. 

  29. Palmer RM, Howe LC, Palmer PJ, Wilson R.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of single Astra Tech 4.0 or 5.0 diameter implants used to support two-unit cantilever bridges: results after 3 years. Clin Oral Implants Res 2012;23:35-40. 

  30. Wennstrom J, Zurdo J, Karlsson S, Ekestubbe A, Grondahl K, Lindhe J. Bone level change at implant-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s with and without cantilever extension after 5 years in function. J Clin Periodontol 2004;31:1077-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