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동화를 활용한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 해결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ir Self-Esteem through Havruta Method Using Math Storybook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5 no.2, 2017년, pp.193 - 204  

임경미 (엔젤유치원) ,  안효진 (인천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5-year-old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ir self-esteem based on the Havruta method using math storybook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5-year-old students attending a kindergarten in the Incheon area: 20 students comprised the treatm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동화책을 활용한 교수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수학동화책을 활용한 교수법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우선, 유아들이 일상적인 생활에서 경험하는 문제 상황과 유사하게 나오는 상황 속에서 문제해결력이나 통찰력을 기르게 되고, 인간의 여러 가지 모습을 경험하게 한다[23]. 둘째, 동화 속에서 제시되는 그림은 유아에게 수학적 개념을 시각화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수학적 사고에 도움을 주기도 하고, 이를 통해 유아들이 수학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한다. 셋째, 수학적 용어를 동화 내용 속에서 자연스럽게 익히고 수학적 의사소통의 기회를 갖도록 돕는다[8]. 몇몇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수학 동화책을 활용한 교수법이 유아들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밝히고 있다[1, 17].
전통적인 수학교수 학습과정은 유아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수에 대한 암기나 계산하는 능력 정도를 수학적 능력으로 인식하였기 때문에 학습지를 통한 반복 훈련이 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전통적인 수학교수 학습과정은 학습의 주도권을 교사가 갖고, 유아는 수동적으로 학습을 따라가게 함으로써 유아들로 하여금 수학에 대한 불안감이나 회피성 등을 갖도록 하고, 수학에 대한 부정적 성향을 형성하게 하였다[15]. 그러나 현대 정보사회로 오면서 사회에서 요구하는 수학적 능력은 달라졌다.
토론 중심의 수학교수법은 무엇인가?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5]는 1990년대 초부터 토론중심 수학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토론 중심의 수학교수법은 학습자가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다양한 수학적 문제를 해결해보고, 자신의 생각을 조직적으로 정리해서 이야기를 하며, 학습자 스스로 수학적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토론 중심의 수학교수법은 수학교육의 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4, 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g, H. J. (2008). The effect of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storybook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 Cheon, S. S. (2012). If you are parents, do educate your children with Havruta. Goyang: Wisdomhouse. 

  3. Cheon, S. S. (2014). Encourage and ask like a Jewish mom. Seoul: Kukmin. 

  4. Chung, H. Y. (2013). Promoting mathematical discussion: Unpacking the pedagogy of an early childhood educator.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8(4), 181-204. 

  5. Han, D. K., & Kim, S. W. (2015). Possibility of design and application of social studies class based on Havruta learning. Journal of Social Studies Lesson Study, 3(2), 85-108. 

  6. Han, Y. M. (2009). Mathemat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oul: Changjisa. 

  7. Harter, S., & Pike, R. (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6), 1969-1982. https://doi.org/10.2307/1129772 

  8. Hwang, E. M., Cho, H. S., & Seo, D. M. (2011). Mathemat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Paju: Jungminsa. 

  9. Hwang, I. S. (2009). A study of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self-exp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based upon the integrated literature program centered fairy ta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Wanju, Korea. 

  10. Hwang, J. S. (1997). The effects of child-centered method on mathematical concepts, problem-solving performance and attiudes toward mathematics in five year-old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1), 55-83. 

  11. Im, D. N. (2007). A study on effect of story-reorganizing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to self-esteem improvement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12. Jang, Y. S. (2015). The effect of the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class Havruta discussion of the topic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3. Joung, S., & Choi, H. J. (2015). The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Israeli’s Havruta style on discussion ability and social problems-solv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7(1), 39-65. 

  14. Kent, O. (2010). A theory of Havruta learning. Journal of Jewish Education, 76(3), 215-245. 

  15. Kim, M. (2006). A study of change for mathematical disposition of a young child through investigation based number activ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6. Kim, O. (2011). Influence of reading activity program with application of picture book as bibliotherapeutic resource upon preschoolers'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gshin University, Seoul, Korea. 

  17. Kim, Y. O. (2004).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oncepts affected by the problem solving activities based on mathrelated storyboo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18. Kim, Y. S. (1999). A study of relation on the home environment variables and children’s self-esteem.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3(1), 69-98. 

  19. Lee, K. W., Hong, H. K., Shin, E. S., & Jin, M. H. (1997). Theory and practice for young children's mathematic education. Seoul: Changjisa. 

  20. Lee, S. Y. (2004). The effect of bibliotherapy program that used an illustrated story book on institutionalized children's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2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Introduction about Nurri-curriculum from 3 to 5 year old.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2. Mun, K. A. (2005).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program by picture book on preschooler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3. Na, K, O., & Kim, K. H. (2004). The study of the process of mathematics for young children. Soonchunhyang Journal of Humanities, 12, 21-41. 

  24.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2).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romoting good beginnings. Retrieved June 12, 2016, from http://www.naeyc.org 

  2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6. Ryu, H. S. (2003). The effect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of the traditional game based math a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7. Shin, G. R., & Kim, C. Y. (2016).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language ability, attention-deficit, and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Korean Education Inquiry, 34(3), 217-237. https://doi.org/10.22327/kei.2016.34.3.217 

  28. Walshaw, M., & Anthony, G. (2008). The teacher’s role in classroom discourse: A review of recent research into mathematics classroom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8(3), 516-551. https://doi.org/10.3102/0034654308320292 

  29. Ward, C. S. D. (1993). Developmental versus academic mathematics education: Effects on problem solving performance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 kindergarten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eorge Peabody College for Teachers of Vanderbilt University, Nashville, TN, USA. 

  30. Yuk, G. L. (2002). Analysis of picture books for children mathematics education and teachers' recognition on using picture boo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i 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