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특성과 수용자 관계성경험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social networking service characteristics and audience' relationship experiences on the degree of accepta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4, 2017년, pp.107 - 115  

정진택 (한국복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NS 특성요인과 수용자 관계성경험 인식이 SNS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가적으로 소셜미디어 특성과 수용자 관계성경험 인식중 SNS 수용의도에 더욱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SNS 특성요인으로 SNS 상호작용성과 SNS 의견교환 및 SNS 유용성을 선정하였으며, 관계성 경험요인으로 플로우와 애착성향을 선정하여 SNS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SNS 상호작용성과 SNS 의견교환 및 SNS 유용성 특성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은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SNS 관계성 경험 특성인 플로우와 애착성향은 SNS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SNS 특성보다 SNS 관계성 경험요인이 SNS 수용의도에 더욱 영향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NS 수용의도를 높이려는 커뮤니케이터들에게 어떤 SNS 특성요인을 강조해야 하는가뿐아니라 수용자들로 하여금 SNS를 이용하면서 어떤 경험을 해야하는 것이 중요한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SNS Factors and user awareness evaluate the relationship affect the degree of acceptance SNS. Additionally, the effect on the SNS uses the social media attributes and user relationship was confirmed what the critical factors appli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SNS charac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SNS 특성(SNS 상호작용성과 의견교환 및 유용성)에 대한 이용자들의 지각이 SNS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SNS 관계성 경험(SNS 플로우 경험과 애착 경험)에 대한 이용자의 지각이 SNS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SNS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SNS 특성과 관계성 경험중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SNS 특성과 수용자 관계성 경험 인식이 이들의 SNS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 이용을 주로 하는 평택소재 H대학과 천안소재 N 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21일까지 약 3주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SNS를 정보교환이나 의견표출의 공간이자 여론형성과 담론을 활성화시키는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서비스로 보았다[26]. 본 연구에서는 SNS 의견교환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형지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6개의 척도 문항을 사용하였다[28].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확산과 더불어 다양한 영역에서 그 영향력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성요인 중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용자들의 플로우 경험과 애착경험이 이들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특히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수용자와 미디어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얻게 되는 특성을 SNS 애착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상호작용성 특성의 중요성이 얼마 만큼인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 둘째, SNS 관계성 경험(SNS 플로우 경험과 애착 경험)에 대한 이용자의 지각이 SNS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SNS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SNS 특성과 관계성 경험중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SNS 특성요인보다 SNS 관계성 경험이 수용의도에 대한 영향력이 높은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즉, SNS 특성요인보다 SNS 관계성 경험이 수용의도에 대한 영향력이 높은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SNS에 대한 수용의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SNS 이용자 수를 높일 수 있는 전략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SNS 특성과 관계성 경험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이 SNS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목적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 셋째, SNS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SNS 특성과 관계성 경험중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SNS 특성요인보다 SNS 관계성 경험이 수용의도에 대한 영향력이 높은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SNS에 대한 수용의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SNS 이용자 수를 높일 수 있는 전략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구체적인 목적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특성(SNS 상호작용성과 의견교환 및 유용성)에 대한 이용자들의 지각이 SNS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SNS 관계성 경험(SNS 플로우 경험과 애착 경험)에 대한 이용자의 지각이 SNS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SNS 상호작용성 특성에 대한 인식은 SNS 수용의도에 정적인(positive)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SNS 의견교환 특성에 대한 인식은 SNS 수용 의도에 정적인(positive)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SNS 유용성 인식은 SNS 수용의도에 정적인 (positive)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이용자의 플로우 경험은 SNS 수용의도에 정적인(positive)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이용자의 애착경험은 SNS 수용의도에 정적인 (positive)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이용자의 SNS특성 인식보다는 관련성 경험이 SNS 수용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더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용성이란 무엇인가? 유용성은 특정 시스템의 이용이 자신의 직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정도를 의미한다[8]. 즉, 유용성은 시스템의 사용으로부터 이용자가 얻을 수 있는 실용적 가치를 있음을 의미한다.
온라인 공론장의 등장은 무엇을 말하는가? 이러한 추세는 기존의 일부 소수의 지식생산자가 여론을 주도하고 대중이 이들 의견 주도자의 생산 지식을 받아들이는 피동적 객체에서 직접 지식을 생산하고 전파하는 공급자의 주체로 변화시켰다. 온라인 공론장의 등장은 하버마스[1]가 제기한 바 있는 공론자의 개념이 온라인 공간으로까지 더욱 확대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SNS는 어떤 미디어 역할을 수행하는가? SNS는 시민들이 의견을 표현하고 매스 미디어들이 생산한 뉴스정보를 유통시키며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여론을 수렴하는 공론장 기능도 갖고 있다. 또한, 온라인상에서 개개인간 사회 연결망을 실현하고 확장시켜 사회 이슈의 전파와 담론 형성에 보다 효과적인 미디어 역할을 수행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Habermas, W. "Habermas and the Public Sphere". ed Craig Calhoun, The MIT Press, 1992. 

  2. Ji Hye Lee & Seung Yeob Yu, "Causal Model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SNS Participa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SNS Attachment Tendencies". The Korean Journal Advertising, Vol.27, No.2. pp.29-311 . 2016. 

  3. Liu, Yuping & L. J. Shrum. "What is interactivity and is it always such a good thing? Implications of definition, person, and situation for the influence of interactivity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Vol. 31, No. 4, pp. 53-64, 2002. 

  4. McMillan, Sally J. "Exploring models of interactivity from multiple research traditions: Users, documents, and systems", in Handbook of new media, L. Liverow and S. Livingstone, eds., London: Sage, pp. 162-182, 2002. 

  5. Heeter, C. Implications of new interactive technologies for conceptualizing communication. In J. L. Salvaggio & J. Bryant(Eds.), "Media use in the information age: Emerging patterns of adoption and consumer use", pp. 217-235, 1989. 

  6. Alex Newson, Deryck Houghton, "Justin Patten, Blogging and other social media, gower", 2008. 

  7. Cho H J, Park S A. "The using social media by political parties : Focused on agenda, resource, and spread strategies".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Vol. 46, No. 1, pp.113-139, 2012. 

  8. Ryu J H, Lee D H.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olitical communication in the micro-public sphere as social media: With the concept of network homogeneity". Vol. 55, No. 4, pp. 309-330, 2011. 

  9. HyunKi Shin JiSuk Woo, "An exploratory study on twitter as a sphere of political discussion : Content analysis of tweets during the 6 . 2 Local Election in 2010", Media and Society, Vol. 9, No. 3, pp.45-76, 2011. 

  10. David,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 3, No. 3, pp.319-340, 1989. 

  11. Lee, Woong-Kyu. "An Analysis of the Roles of Experience in Information System Continuance".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21, No. 4, pp.45-62, 2011. 

  12. In Seong Lee, Ki Ho Lee, Gi Woong Choi, Seung Hwa Yang, Seong Taek Lim, Seok Won Jeon, Jin Woo Kim, Se Joon Hong. "Emotional Attachment, Self-Connection, Social Enhancement, User Experience". Korean management review, Vol. 37, No. 5, pp.1171-1203, 2008. 

  13. Adams, D.A., R.R. Nelson & P.A. Todd.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 A replication. MIS Quarterly, 16(2), pp.227-248, 1992. 

  14. Agarwal R. & Prasad, J. "The role of innovation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voluntariness in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Decision science, Vol. 28, No. 3, pp.557-582, 1997. 

  15.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o", CA: Josey-Bass, 1975. 

  16. Csikszentmihalyi, M. "Emergent motivation and the evolution of the self".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Vol. 4, pp.93-119, 1985. 

  17. Csikszentmihalyi, M.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Basic Books, 1998. 

  18. Ghani, J, A., S. P. Deshpande, "Task Characteristics and the experience of optimal flow in Human-Comuputer Interaction", The Journal of Psychology, Vol. 128, No. 4, pp.381-391, 1994. 

  19. Trevino, L. K., & Webster, J., "Flow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 19, No. 5, pp.539-573, 1992. 

  20. Hoffman, D. L., & Novak, T. P.,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ments: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 60, July, pp.50-68, 1996. 

  21. Hsu, C., & Lu, H., "Consumer behavior in online game community: A motivational Factor Perspectiv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3, No. 3, pp.1642-1659, 2007. 

  22. Jeong Wan Do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 construct and consumers' buying intention over the internet, plus the Difference Test of Buying Behavior by Flow Type", Korean Management Review, Vol. 32, No. 1, pp.87-118, 2003. 

  23. Davis F D, Bagozzi R P, Warchaw P R.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 22, pp.1111-1132, 1992. 

  24. Koufaris, Marios,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flow theory to online consumer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3, No. 2, pp.205-223, 2002. 

  25.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1",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26. Sung Uk Yun & Won Jun Park. "The Affects of Mobile Phone Attachment upon Its Users' Emotional Responses: Centering on the anxiety, stress, and social avoidance of users of the past".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 21, No. 1, pp.243-275, 2007. 

  27. Min Jye, Choi & Seung Chan, Yang. "Internet, social media and journalism", Korea Press Foundation, 2009. 

  28. Kim H J, Choi H K, Kim S T, An M S, Lee Y M. "A study of innovation resistance among social media non-user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6, No. 4, pp.439-464, 2012. 

  29. Ji Hye Lee & Seung Yeob Yu. "Causal model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SNS particip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NS attachment tendencie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27, No. 2, pp.291-311, 2016 

  30. Choi S K, Kwak K T, Lee B G, "The study of influential effects of mobile SNS attachment and communication traits to the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and the SNS interaction".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 29, No. 1, pp.159-200, 2012. 

  31. Agarwal, R., Karahanna, E., "Time fil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Vol. 24, No. 4, pp.665-694, 2000. 

  32. Venkatesh, V. & Davis, F. D.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 46, No. 2, pp.186-204,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