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주 한옥마을 음식문화에 대한 소비자 요구도 및 만족도 분석 : Push-Pull factor theory를 적용하여
Analysis of consumers' needs and satisfaction related to food culture in Jeonju Hanok Village: Application of the Push-Pull factor theor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2, 2017년, pp.192 - 200  

나희라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은주 (경남대학교 식품영양생명학과) ,  양수진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연수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민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음식상품 특화 필요 지역인 전주 한옥마을의 방문객이 증가함에 따라 전주 향토 음식의 상품 개발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주 한옥마을 내 방문객의 음식 구매 현황과 방문 동기,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 내 건강한 음식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설문조사지를 이용하여 전주시 방문 경험이 있는 한국 성인 5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중 총 580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그 결과, 전주 한옥마을 방문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자 (n = 508)의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 구매경험은 '있다 (96.4%)'가 '없다 (3.6%)'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구매 음식 유형은 '전통 한식 (26.5%)', '외국 음식 (25.8%)', '한국 식재료를 포함한 외국 음식 (16.8%)' 순으로 나타나 전주 한옥마을 내에서 다양한 음식 상품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 구매 만족도 (3.35점)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만족 이유는 '음식이 맛있어서 (59.6%)',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어서 (29.8%)' 순으로, 불만족 이유는 '음식의 가격이 비싸서 (48.1%)', '음식이 맛없어서 (19.5%)'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방문객의 방문 동기를 추진 요인과 유인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추진 요인으로 '지역음식추구', '경험추구', '휴식추구', '친목추구'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유인 요인으로 '전통문화', '시설편리', '체험활동', '음식경험' 요인이 도출되었다. 추진-유인 요인 간의 상호연관성 분석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유인 요인인 '음식경험' 요인이 추진 요인인 '지역음식추구', '휴식추구', '친목추구' 요인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진-유인 요인과 방문 만족도간의 영향 관계 분석 결과, 모든 추진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인 요인은 '음식경험', '전통문화' 요인만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주 한옥마을 방문객의 음식 구매 만족도, 만족-불만족 이유를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문화 형성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 요인이 방문객의 내재적 방문동기 (추진 요인)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밝혀내었다. 이를 통해 전주 한옥마을의 음식 요인 관련 연구의 중요성을 시사하였으며 전주 한옥마을 음식 문화 포지셔닝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전주 한옥마을의 건강한 음식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visitors' food needs and identify the Push-Pull factor in Jeonju Hanok Village. Method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to survey Korean adults who visited Jeonju city. A total of 58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2,23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주 한옥마을의 음식 구매 현황을 파악하고 방문 동기에 음식 요인 변수를 추가하여 방문객의 추진-유인 요인을 분석하고 이들 동기와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방문객의 음식 구매 만족도와 만족-불만족 이유를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문화 형성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 요인이 방문객을 유인하는 주요 목적지 특성이자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밝혀내었다. 이를 통해 전주한옥마을 내 음식문화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전주 한옥마을 음식 문화 포지셔닝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전주 한옥마을의 건강한 음식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이를 통해 전주한옥마을 내 음식문화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전주 한옥마을 음식 문화 포지셔닝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전주 한옥마을의 건강한 음식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 목적지인 전주 한옥마을의 방문 추진-유인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기존의 추진-유인 요인 연구에 음식 관련 변수를 추가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주 한옥마을 방문객의 음식 구매 만족도, 만족-불만족 이유를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문화 형성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 요인이 방문객의 내재적 방문동기 (추진 요인)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밝혀내었다. 이를 통해 전주 한옥마을의 음식 요인 관련 연구의 중요성을 시사하였으며 전주 한옥마을 음식 문화 포지셔닝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전주 한옥마을의 건강한 음식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방문객의 음식 구매 만족도와 만족-불만족 이유를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문화 형성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 요인이 방문객을 유인하는 주요 목적지 특성이자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밝혀내었다. 이를 통해 전주한옥마을 내 음식문화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전주 한옥마을 음식 문화 포지셔닝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전주 한옥마을의 건강한 음식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 목적지인 전주 한옥마을의 방문 추진-유인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기존의 추진-유인 요인 연구에 음식 관련 변수를 추가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 최근 음식상품 특화 필요 지역인 전주 한옥마을의 방문객이 증가함에 따라 전주 향토 음식의 상품 개발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주 한옥마을 내 방문객의 음식 구매 현황과 방문 동기,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 내 건강한 음식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설문조사지를 이용하여 전주시 방문 경험이 있는 한국 성인 5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중 총 580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 추진유인 요인과 방문 만족도간의 영향 관계 분석 결과, 모든 추진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인 요인은 ‘음식경험’, ‘전통문화’ 요인만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주 한옥마을 방문객의 음식 구매 만족도, 만족-불만족 이유를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문화 형성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 요인이 방문객의 내재적 방문동기 (추진 요인)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밝혀내었다. 이를 통해 전주 한옥마을의 음식 요인 관련 연구의 중요성을 시사하였으며 전주 한옥마을 음식 문화 포지셔닝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전주 한옥마을의 건강한 음식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주가 세계에서 네 번째로 2012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음식 창의 도시’로 선정될 수 있었던 이유는? 전주시는 한식을 대표할 수 있는 지역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향토가정 음식에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세계에서 네 번째로 2012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음식 창의 도시’로 선정되었다.1,2 특히 전주 한옥마을은 2012년 ‘우수외식업지구 육성사업’에 선정되어 음식-문화관광 연계 산업의 특화 필요지역으로 평가되었다.
전주 한옥마을의 문화 이미지 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5%)’을 가장 많이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또한, 음식이 전주 한옥마을의 문화 이미지 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8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 요인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전주 한옥마을의 방문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기여한 전주시의 노력은? 1,2 특히 전주 한옥마을은 2012년 ‘우수외식업지구 육성사업’에 선정되어 음식-문화관광 연계 산업의 특화 필요지역으로 평가되었다.3 이에 전주시는 전주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문화관광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전주 대표 음식을 산업화, 브랜드화 하는 등 전주 향토 음식의 관광 상품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4 이처럼 전주 한옥마을은 전통문화 이미지와 문화관광상품의 경쟁력 강화로 인해 방문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5 국내의 대표적 방문 명소로 인식됨에 따라 관련된 연구 또한 많이 수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m JM. Jeonju is the taste: loosen your belt. Korea Economy Daily 2015 Nov 5; Sect. B: 2. 

  2. Kim GJ, Byun GI. A study on the strategic ways using DINESERV to promote Korean-style food depending on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based on visiting experiences of customers at Korean-style restaurants in Hanok Village, Jeonju City. J Foodserv Manage 2010; 13(1): 7-29. 

  3. Jeon HJ. Study on the effect of satisfaction on menu selection attributes of restaurant located in tourists attraction on intention to recommendation and revisit: focusing on the Hanok Village in Jeonju City. Korean J Tourism Res 2012; 26(6): 327-345. 

  4. Kang JH, Kang JH. The effect of healing food image and recognition of Jeonju native local food on purchase intentions. Korean J Tourism Res 2014; 29(3): 181-203. 

  5. Lee MH. Jeonju Hanok Village vacation search term 'top' [Internet]. Seoul: Naeil News; 2016 [cited 2016 Dec 19]. Available from: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207605. 

  6. Kim HO, Choi YK, Kim HI. 2015 Jeollabuk-do tourists survey. Jeonju: Jeonbuk Institute; 2015. 

  7. Jeonju Cultural Foundation (KR). 2015 traditional cultural cities research and recording project. Jeonju: Jeonju Cultural Foundation; 2015. 

  8. Min KH.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for Jeonju Hanok Village on the image of traditional cultures and satisfaction with traditional Korean restaurants. Korean J Culinary Res 2013; 19(5): 36-48. 

  9. Chan JK, Baum T. Motivation factors of ecotourists in ecolodge accommodation: the push and pull factors. Asia Pac J Tour Res 2007; 12(4): 349-364. 

  10. Mansfeld Y. From motivation to actual travel. Ann Tour Res 1992; 19(3): 399-419. 

  11. Dann G. Tourist motivation: an appraisal. Ann Tour Res 1981; 8(2): 187-219. 

  12. Uysal M, Jurowski C. Testing the push and pull factors. Ann Tour Res 1994; 21(4): 844-846. 

  13. Smith S, Costello C, Muenchen RA. Influence of push and pull motivation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within a culinary tourism event. J Qual Assur Hosp Tour 2010; 11(1): 17-35. 

  14. You X, O'leary J, Morrison A, Hong GS.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travel push and pull factors: United Kingdom vs. Japan. Int J Hosp Tour Adm 2000; 1(2): 1-26. 

  15. Baloglu S, Uysal M. Market segments of push and pull motivations: a canonical correlation approach. Int J Contemp Hosp Manag 1996; 8(3): 32-38. 

  16. Jang S, Cai LA. Travel motivations and destination choice: a study of British outbound market. J Travel Tour Mark 2002; 13(3): 111-133. 

  17. Prayag G, Ryan C.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sh' and 'pull' factors of a tourist destination: the role of nationality: an analytical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Curr Issue Tour 2011; 14(2): 121-143. 

  18. Kang YE, Yang BE. A study on satisfaction by visitors' pull factors and push factors: focusing on Yangdong Ethnic Village in Gyeongju. J Korean Soc Rural Plan 2011; 17(4): 1-11. 

  19. Yoon SM, Baek JA, Kim HR. A study on effect relationship between push-pull factors and satisfaction of tourist, visiting the cultural heritage: a case of Mt. Bukaksan Seoul Fortress. Korean J Tourism Res 2008; 23(3): 401-423. 

  20. Kim JH, Han JS.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commitment and satisfaction of tourist, visiting the museum: focused on push-pull factors. Korean J Tourism Res 2011; 26(1): 73-94. 

  21. Lee SY, Lee KJ.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motiv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auto-campers: focused on push-pull factors. J Hosp Tourism Stud 2014; 16(4): 26-48. 

  22. Jo IS, Kim KH. Study on tourists intention on revisitation using IPA technique: focused on Jeonju Hanok Village. Korean Bus Rev 2012; 27(1): 258-278. 

  23. Kim H, Chang HS, Hwang JS. A study of tourism motivation and destination choice attributes in tourism behavior: focusing on Ansan City. Korea J Tourism Hosp Res 2014; 28(1): 219-232. 

  24. Pyo SS. Tourist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ush and pull factors. Tourism Res 2012; 34: 115-138. 

  25. Lee JY, Kwon MY. Effects of involvement of food tourists' on participation in food tourism activities and behavioral intention. J Tourism Manage Res 2009; 13(2): 177-198. 

  26. Kim EH, Lee MA. A study on the consumer perception and factor analysis of food tourism.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1): 83-93. 

  27. Klenosky DB. The 'pull' of tourism destinations: a means-end investigation. J Travel Res 2002; 40(4): 396-403. 

  28. Han SI. An exploratory study of push and pull actors in local festival participants: the case of Andong Maskdance Festival. Korean J Tourism Res 2004; 18(3): 181-196. 

  29. Min DK, Kim BM. The factors for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visitors to Jeonju Hanok Village and the role of the image of the tourist spot. Northeast Asia Tour Res 2013; 9(2): 143-162. 

  30. Shim IB. A study on the analysis of attraction degree in Jeonju Hanok Village. J Tourism Manage Res 2012; 16(4): 185-203. 

  31. Ahn SS, Baek MK, Lee HJ. A study of the effect of the food factor on tourist's satisfaction on destination and destination loyalty in tourism industry. J Tourism Leis Res 2011; 23(3): 63-85. 

  32. Choi BG, Byun SN, Lee SE. A study on differences of push-pull motivation by tourists alternative evaluation patterns: focused on Jeju tourist. Korea J Tourism Hosp Res 2007; 21(3): 375-3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