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업자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the Unemployed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1 no.1, 2017년, pp.47 - 57  

김혜영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김희숙 (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unemployed.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207 unemployed individuals from G city those who were participating in activities in a job center.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3 to S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실업자를 대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존감, 문제중심대처, 가족지지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의 방향을 제시하며, 향후 지역 사회에서의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실업자의 자살생각 정도를 파악하고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실업자의 자살예방간호중재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실업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현재는 실업자로 재취업을 위해 일 지역 고용센터에서 이용하는 실업자를 대상으로 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 보았다. 대상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가족지지와 신체화 증상 이었고, 일반적 특성에서는 배우자의 소득과 자존감이 었다.
  • 이는 실업자들 이 가족지지와 같은 지지에 기반한 대처자원이 충분하 면 실업에 따른 부정적인 반응이 적을 수 있으며 자살 생각이 감소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실업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인한 자살생각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 족으로부터의 지속적인 지지가 중요함을 이해시키도록 교육 및 상담적 접근에 관심을 가지고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실업자의 자 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두 번째 요인은 신체화인데 이는 자살생각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업자의 자살생각 영향요인을 다각도로 살펴봄으로써 실업자의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자살예방 중재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의 지지는 스트레스 대처에 어떤 요인으로 작용하는가? 실업자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사건의 심각성에도 영향을 받지만 가족의 대처자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가족의 지지는 개인이 혼자 대처하기 쉽지 않은 스트레스 사건을 해결하도록 힘을 부여하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Beak, 2013).
실업은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연도별 자살률 추이를 살펴보면 1998년, 2003년, 2009년에 각각 전년대비 자살 증가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이 시기는 IMF 경제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등과 같은 경제적 위기 발생으로 자살률이 급격히 증가하였다(Kim, Jung, & Kum,2011). 실업은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생활사건으로 개인의 자존감을 약화시키고 우울감을 증대시켜 자살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Blakely, Collings, & Atkinson,2003). 많은 연구에서 자존감은 자살생각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으며 낮은 자존감은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보고 있다(Wilburn & Smith, 2005).
실업률이 증가하여도 실업을 경험한 모든 사람이 전부 자살을 생각하지는 않는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처방식은 무엇인가? , 2011), 실업을 경험한 모든 사람이 전부 자살을 생각하지는 않는다. 사람들은 실업이라는 위기상황에 직면했을 때, 이에 적응하기 위하여 나름의 대처방안을 찾게 되는데 이러한 대처방식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한다. 문제중심대처는 문제상황을 직면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통한 객관적인 문제해결방법으로(Choi & Chung,2004), 문제중심대처방식을 적게 사용할수록 자살생각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Nam, &Jung,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ak, K. D. (2013). A study on the impacts of support from society and family on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unemploy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il University. Gyeongsan. 

  2. Blakely, T. A., Collings, S. C. D. & Atkinson, J. (2003). Unemployment and suicide. evidence for a causal association?.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57(8), 594-600. http://dx.doi.org/10.1136/jech.57.8.594 

  3. Cha, M. J., Park, S. Y., Song, H. J., & Noh, Y. H. (2012). The effect of collectivism on anxiety perception and mental health in youth unemployment.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8(1), 27-51. 

  4. Choi, S. A., & Chung, H. H. (2004). The path analysis among dysfunctional attitude, stress perception, coping stress perception, coping style and stress-related disorder variable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5(2), 353-366. 

  5. Choi, S. M., Kang, T. Y., & Woo, J. M.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dified form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for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5(6), 541-553. 

  6.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http://dx.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7. Im, S. Y., & Kim, T. H. (2005). The effects of personality and family support on depression of unemployed youth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0(1), 51-7. 

  8. Jo, G. P. (2008). A study o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seeking anxiety test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6(2), 53-75. 

  9. Jo, S. H. (1999). Influencing factors on the probability of break-up in famil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employed breadwinn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13(1), 139-166. 

  10. Ju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The Journal of Yonsei University, 11(1), 107-130. 

  11. Jung, B. A. (2012). The effect of H-CIP career group counseling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job-seeking anxie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12. Jin, E. Y. (2006). The effect of the ways of coping with unemployment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nd suici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3. Kang, H. S. (1984).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4. Kim, H. S., Nam, C. Y., & Jung, H. O. (2016). Validation of a path model on the suicide ide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3), 381-394. http://dx.doi.org/10.5932/JKPHN.2016.30.3.381 

  15. Kim, E. J., & Choi, K. W. (2012). The relationships among job-seeking anxiet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5), 351-352. 

  16. Kim, H. S., Park, G. R., & Oh, S. T. (2014).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the unemployed. The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18(2), 34-43. 

  17. Kim, M. K. (2012).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family resilience, self-esteem and suicide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Welfare, 17(1), 61-83. 

  18. Kim, M. Y., Jung, K. H., & Kum, H. S. (2011). An exploratory study on economic crisis and suicidal rate: the focusing on gender, age, suicidal rate of 15 city and province. Kore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21(3), 273-302. 

  19. Koh, K. B., Park, J. K., & Kim, C. H. (2000).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4), 707-719. 

  20.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http://dx.doi.org/10.1017/s0141347300015019 

  21. Nakao, M., Yamanaka G., & Kuboki T. (2002). Suicidal ideation and somatic symptoms of patients with mind/body distress in a japanese psychosomatic clinic.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32(1), 89-90. http://dx.doi.org/10.1521/suli.32.1.80.22179 

  22. Park, B. K. (2006). Adolescent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suicidal ideation.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Social Work, 10, 41-76. 

  23. Park, E. O., & Choi, S. J. (2013).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2), 88-96. http://dx.doi.org/10.12934/jkpmhn.2013.22.2.88 

  24. Park, H. J. (2013).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ment stress and the suicidal ideation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25. Park, J. Y. (2010). Adolescent suicidal crisis and resil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6. Reynolds, W. M. (1987).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orid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27. Rosenberg, Morris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ew Jersey: Press. 

  28. Tak, J. K. (2010). Mental health change of various types of subgroups based on unemployment and reemployment status: a longitudinal Stud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5(4), 687-698. http://dx.doi.org/10.17315/kjhp.2010.15.4.007 

  29. Wilbum, V. R., & Smith, D. E. (2005). Stress,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in late adolescents. Adolescence, 40(157), 33-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