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층의 우울증 개선을 위한 감정 인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제안
A Proposal of Emotion Recognition Mobile Application to Improve Depression in Young Peop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2, 2020년, pp.594 - 606  

박재완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  최복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인지과학협동과정) ,  이상원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  이현주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는 것과 반대로 정신치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 정신건강을 스스로 돌보는 이는 소수에 불과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을 방치하지 않도록 자동 감정인식 시스템을 도입한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디자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제안한다. 먼저,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기존 앱의 사용성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청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우울증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퍼소나를 제작하였다. 우울증 개선 서비스 디자인의 필수 요소로 다이어리 작성 권장, 아바타 관리를 통한 본인의 감정 상태 인지, 인지체계 개선을 위한 감정 포인트 추적기능을 제시한다. 본 제안을 통해 우울증의 발전을 방지하고, 우울증에 대한 인식변화와 경도 우울증을 스스로 해소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정신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필요성 확산과 정신치료를 위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the contrary to the steady rise of social problems about depression, only a few take care of mental health themselves due to their negative perception of psychotherapy. In this study, we propose service design and user interface design of mobile applications that introduce an automatic emotional ...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31)

  1.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우울증과 충동성이 청소년들의 자살 행위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10, No.1, pp.286-297, 1991. 

  2. 김상아, 알코올과 우울증, 한국학술정보(주), 2006. 

  3. 정기일, 연병길, "입원된 주정의존증 환자와 그 부인의 정신증상," 신경정신의학, 제21권, 제3호, pp.487-494, 1982. 

  4. 이미리, "고 3 청소년의 일상 생활 활동 경험과 우울증 수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3-36, 1995. 

  5. 이헌정, "우울증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기대하며," 신경정신의학, 제57권, 제2호, pp.107-107, 2018. 

  6. 박정애, 최상은, "우울증 치료 시 항우울제 선택에 관한 비용-효과 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구 보건경제연구), 제16권, 제2호, pp.57-77, 2010. 

  7. A. Shrivastava, M. Johnston, and Y. Bureau, "Stigma of mental illness-1: Clinical reflections," Mens sana monographs, Vol.10, No.1, p.70, 2012. 

  8. 이종화,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및 건강증진행위,"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09-118, 2005. 

  9. 지영주, 김경남, "중년 여성 우울증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pp.715-724, 2018. 

  10. 이상복, 김소남,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및 우울의 관계,"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9권, 제2호, pp.196-204, 2013. 

  11. https://www.apa.org/topics/depression/, 2019.10.15. 

  12. 박언아, 건강증진 리서치 브리프,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7. 

  13. 박원명, 민경준, 우울증, 시그마프레스, 2012. 

  14. H. J. Lee, M. O. Seong, and Y. A. Sin,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of Urban Elderly Women," Journal of Welfare for theAged, Vol.22, pp.127-150, 2003. 

  15. M. S. Won, Comparison of health status, dietaryhabit, and diet quality between depressed womenand normal women: Based on the 2013 Korea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ongDuk Womens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pp.3-62, 2016. 

  16. 권명진, 김영주, "우울증 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융복합적 요인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6호, pp.309-316, 2016. 

  17. A. T. Beck, A. J. Rush, B. F. Shaw, and G. Emery,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Guilford, New York, 1979. 

  18. 원호택, 이상심리학 , 서울: 법문사, 1996. 

  19. 이희연, 하은혜, "청소년기 우울증상의 성차에 대한 인지적 왜곡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제13권, 제4호, pp.547-561, 2008. 

  20. 이순봉, 이영섭, 문지희, 노승아, 한국 정신 건강 서비스 개선을 위한 AI기술 도입 방안: 멘탈에 헤딩, LG Challenger, 2017. 

  21. X. Wang, C. Zhang, Y. Ji, L. Sun, L. Wu, and Z. Bao, "A depression detection model based on sentiment analysis in micro-blog social network," In Pacific-Asia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201-213, 2013. 

  22. 이정필, 류휘정, 장두성, 구명완, "DNN을 이용한 End-to-End 한국어 음성 감정 인식,"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8. 

  23. S. Alghowinem, R. Goecke, M. Wagner, G. Parker, and M. Breakspear, "Eye movement analysis for depression detection," In 201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IEEE, pp.4220-4224, 2013(9). 

  24. 우영섭, 박원명, "우울증의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제70권, 제2호, pp.239-242, 2005. 

  25. 주은선, 조영임, 김단비, 강유진, "우울증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505-526, 2017. 

  26. 정용준, 한아름, 신새론, 이수영, 김자형, "한국 성인에서 식이섭취와 우울증 유병의 관련성: 2010 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농촌의학.지역보건, 제41권, 제2호, pp.75-84, 2016. 

  27. 최용성, "도덕교육에서의 우울증 상담.교육," 윤리연구, 제112권, pp.159-197, 2017. 

  28. 최란, 임현우, 조선진, 방명희, 지유나, 이원철, "학교를 기반으로 한 청소년 우울증 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2권, 제1호, pp.57-65, 2015. 

  29. 임미화, 인지행동치료가 우울증입원환자에게 미치는 효과-우울,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0.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and J. Erbaugh,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4, No.6, pp.561-571, 1961. 

  31. 길태숙, 장석진, "리듬 액션 게임을 활용한 노인 대상 음악 치료에서 우울감,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게임 효과 분석,"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5권, 제3호, pp.93-10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