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살충동과 관련된 예측변인들의 구성요인의 영향력
Influence of Constructive Factors of Predictive Variable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 2019년, pp.634 - 647  

김지훈 (경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경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2차년도(2017년) 한국복지패널에 참여한 11,755명을 대상으로 자살충동에 관련된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자살충동에 관련된 예측변인들의 구성요인의 영향력을 통합적인 연구틀에서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SPSS 23.0 버전을 적용하여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들의 구성요인 간 다중공선성 진단 후,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의 구성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로지스틱 회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부장적인 역할이 증가할수록, 언어폭력이 증가할수록, 외로움을 더 느낄수록, 사람들이 자신을 차갑게 대할수록. 음주 후 블랙아웃(black-out)이 증가할수록 자살충동의 승산비가 증가하는 반면, 삶의 사다리 점수가 증가할수록 자살충동의 승산비가 감소하였다. 이를 근거로 자살충동을 축소 예방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 이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서 고려할 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structive factors of predictive variable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analyzing the influence of predictive variable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The 11,755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12th(201...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에 주목하여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자살충동과 관련된 주요 예측변인들의 구성요인의 영향력을 통합적인 연구틀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예측변인으로 성역할, 폭력행위, 외로움, 알코올남용 및 삶의 사다리 등의 구성요인이 자살충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로지스틱 회귀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2차년도(2017년) 한국복지패널에 참여한 11,755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자살충동과 관련된 주요 예측변인, 즉 성역할, 폭력행위, 외로움, 알코올남용 및 삶의 사다리 등의 구성요인의 영향력을 로지스틱 회귀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가 빈곤층, 근로빈곤층, 차상위층의 규모와 복지실태 변화를 동태적으로 파악하여 정책지원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문조사하여 구축된 한국복지패널 자료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한국복지패널 2017년 조사에 참여한 15,422명 중 “지난 한 해 동안 자살하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한 적이 한번이라도 있습니까?” 질문에 응답한 11,755명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충동이란? 자살의 연구는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는데, 통계학적 관점에서 자살과 관련된 실증연구는 직접적인 관찰과 검증의 어려움으로 인해 자살충동,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를 대리변수를 활용하여 진행되어 왔다. 자살충동이란 자살을 생각하기 시작하여 치밀하게 계획하고 치명적이지 않는 자살시도를 거쳐 자신의 삶을 종결하는 일련의 집합적 연속체이다[3].
자살원인을 명확하게 예측하고 예방하기 쉽지 않은 이유는? 이에 정부 차원에서 2018년 보건복지부에 자살예방정책과를 신설하고, 지난 5년간 자살사망자 전수조사를 DB화하여 지역별 자살특성에 대응한 전략적 자살예방사업을 추진하는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1]”을 발표하는 등 자살예방 대책수립과 자살원인을 규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자살은 개인 및 사회적 변인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자살원인의 실체를 명확하게 예측하고 예방하는 노력은 쉽지 않다[2].
다중공선성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주요 예측변인 간 영향력을 평균값이나 합산값을 투입하여 분석할 경우 한계점은? 하지만 자살과 관련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예측변인들의 구성요인 간 다중공선성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자살과 관련된 주요 예측변인 간의 관계를 척도의 평균값이나 합산값을 투입하여 그들 간의 영향력을 분석해왔다. 이로 인해 예측변인을 구성하는 개별요인에 대한 영향력이 척도 값에 가려져 과소평가 되거나 혹은 과대평가되어 자살과 관련된 예측변인에 대한 실체를 규명하기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자신의 삶의 의도적 종결과 관련된 중차대한 자살인 경우 자살과 관련된 예측변인들의 구성요인 간 다중공선성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자살과 관련된 예측변인들의 어떠한 구성요인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3)

  1. 보건복지부, 고용부, 교육부, 여가부, 행안부 등 관계부처합동,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 2018.1.23. 

  2. 남재일, "한국 신문의 자살보도의 담론적 성격,"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3호, pp.191-224, 2010. 

  3. 김지훈, 김경호, "자살생각과 자살계획에 관련된 유발변인의 영향력 분석: 심리상태와 가족관련 변인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제25권, 제4호, pp.246-272, 2013. 

  4. 이묘숙, "노인의 우울수준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및 생활만족도 조절효과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9권, pp.241-266, 2010. 

  5. 이은석, 이선장, "농촌지역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신체적 여가활동의 완충효과,"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제22권, 제2호, pp.35-54, 2009. 

  6. 배진희, "노인의 상실, 학대경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44권, pp.49-70, 2009. 

  7. 김정란, 김혜신, "가정폭력 및 학교폭력이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2호, pp.310-333, 2014. 

  8. A. Crosby, B. Han, L. Ortega, S. E. Park, and J. Gfroerer,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among adults aged $18^+$ years-United States, 2008-2009,"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Vol.60, No.13, pp.1-22, 2011. 

  9. K. Devries, C. Watts, M. Yoshihama, L. Kiss, L. B. Schraiber, N. Deyessa, L. Heise, J. Durand, J. Mbwambo, H. Jansen, Y. Berhane, M. Ellsberg, and C. Garcia-Moreno, "Violence against wome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suicide attempts: Evidence from the WHO multi-country study on women's health and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Social Science & Medicine, Vol.73, No.1, pp.79-86, 2011. 

  10. L. Eshelman and A. Levendosky, "Dating violence: Mental health consequences based on type of abuse," Violence & Victims, Vol.27, No.2, pp.215-228, 2012. 

  11. J. L. Alhusen, N. Frohman, and G. Purcell.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suicidal ideation in pregnant women,"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Vol.18, No.4, pp.573-578, 2015. 

  12. X. Dong, R. Chen, B. Wu, N. J. Zhang, A. C. Y. Mui, and I. Chi, "The association between elder mistreatment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mmunity-dwelling chinese older adults in the u.s," Gerontolgy, Vol.62, No.1, pp.71-80, 2015. 

  13. J. Zhang, Y. Lie, and L. Sun, "Life Satisfaction and Degree of Suicide Intent: A Test of The Strain Theory of Suicide," Comprehensive Psychiatry, Vol.74, pp.1-8, 2017. 

  14. A. Case and A. Deaton, Suicide, age, and wellbeing: An empirical investigation, NBER Working Paper, No.21279, 2015. 

  15. T. Troister, M. P. Davis, A. Lowndes, and R. R. Holden, "A five-month longitudinal study of psychache and suicide ideation: Replication in general and high risk university students," Suicide Life Threat Behavior, Vol.43, No.6, pp.611-619, 2013. 

  16. 김보미, 유성은,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들의 사회적 유대감, 정서조절과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권, 제3호, pp.731-748, 2012. 

  17. 강초롱, 조영태, "사회적 차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연령.경제상황에 따른 차별인지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제35권, 제3호, pp.1-27, 2012. 

  18. 이묘숙,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40권, 제3호, pp.231-259, 2012. 

  19. A. Stravynski and R. Boyer, "Loneliness in relation to suicide ideation and para-suicide: A population-wide study,"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ur, Vol.31, No.1, pp.32-40, 2001. 

  20. S. A. Kidd, "The walls are closing in, and we were trapped: A qualitative analysis of street youth suicide," Youth and Society, Vol.36, No.1, pp.30-55, 2004. 

  21. C. A. King and C. R. Merchant, "Social and interpersonal factors relating to adolescent suicidality: A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Vol.12, No.3, pp.81-196, 2008. 

  22. M. M. Pervin and N. Ferdowshi, "Suicidal ideation in relation to depression, loneliness and hopeless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Dhaka University,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 Vol.25, No.1, pp.57-64, 2016. 

  23. L. W. Li, H. Xu, Z. Zhang, and J. Liu, "An ecological study of social fragmentation,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suicide in rural china: 2008-2010," SSM-Population Health, Vol.2, pp.365-372, 2016. 

  24. N. D. L. Smith and I. Kawachi, "State-level social capital and suicide mortality in the 50 U. S. State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120, pp.269-277, 2014. 

  25. V. Lorant, A. E. Kunst, M. Huisman, M. Bopp, J. Mackenbach, and The Working Group, "A european comparative study of marital status and socio-Economic inequality in suicide,"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0, pp.2431-2441, 2005. 

  26. M. Strobe, W. Strobe, and G. Abakoukin, "The broken heart: Suicidal ideation in bereavement,"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62, No.11, pp.2178-218, 2005. 

  27. S. U. Lee, S. W. Roh, Y. E. Kim, J. I. Park, B. Y. Jeon, and I. H. Oh, "Impact of disability status on suicide risks in south korea: Analysi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hort data from 2003 to 2013,"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Vol.10, No.1, pp.123-130, 2017. 

  28. A. Cleary, "Suicidal ac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performance of masculinitie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74, No.4, pp.498-505, 2012. 

  29. D. Coleman, "Traditional masculinity as a risk factor for suicidal ideation: Cross-sectional and prospective evidence from a study of young adults," Journal of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Vol.19, No.3, pp.366-384, 2015. 

  30. J. Pirkis, M. J. Spiial, L. Keogh, T. Mousaferiadis, and D. Currier, "Masculinity and suicidal thinking,"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Vol.52, No.3, pp.319-327, 2017. 

  31. 윤명숙, "알코올중독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음주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8권, pp.113-140, 2011. 

  32. M. Pompili, G. Serafini, M. Innamorati, G. Dominici, S. Ferracuti, G. D. Kotzalidis, G. Serrs, P. Girardi, L. Janiri, R. Tatarelli, L. Sher, and D. Lester, "Suicidal behavior and alcohol abus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7, pp.1392-1431, 2010. 

  33. W. C. Kerr, M. S. Kaplan, N. Huguest, R. Caetano, N. Giesbrecht, and B. H. McFarland, "Economic recession, alcohol, and suicide rates: Comparative effects of poverty, foreclosure, and job los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52, No.4, pp.469-475, 2017. 

  34. 강준혁, 이혁구, 이근무, "자살관념 극복에 관한 연구: 자살 고위험집단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3호, pp.103-134, 2015. 

  35. 배지연, "노인자살에 관한 사례분석: 신문기사 내용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23권, pp.65-82, 2004. 

  36. Y. Gvion and A. Apter, "Aggression, impulsivity, and suicide behavior: A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Vol.15, No.2, pp.93-112, 2011. 

  37. I. Orbach, M. Mikulincer, P. Sirota, and E. Gilboa-Schechtman, "Mental pain: A multidimensional operationalization and definition," Suicide Life Threat Behavior, Vol.33, No.3, pp.219-30, 2003. 

  38. K. A. Van Orden, T. K. Witte, L. M. James, Y. Castro, K. H. Gordon, S. R. Braithwaite, D. L. Hollar, and T. E. Joiner,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varies across semesters: The mediating role of belongingness," Suicide Life Threat Behavior, Vol.38, No.4, pp.427-35, 2008. 

  39. H. Hendin, Recognizing a suicide crisis in psychiatric patients, In Wasserman D, & Wasserman C, editors, Oxford Textbook of Suicide Prevention, A Global Perspective Oxford University Press, pp.327-31, 2009. 

  40. E. D. Klonsky and A. M. May, "Differentiating suicide attempters from suicide ideators: A critical frontier for suicidology research," Suicide and Life-Threaening Behavior, Vol.44, No.1, pp.1-5, 2014. 

  41. T. W. Bender, K. H. Gordon, K. Bresin, and T. E. Joiner, "Impulsivity and suicidality: The mediating role of painful and provocative experience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129, No.1-2, pp.301-307, 2011. 

  42. S. P. Whiteside and D. R. Lynam, "The five factor model and impulsivity: Using a structural model of personality to understand impulsivity," Personal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No.4, pp.669-689, 2001. 

  43. S. M. Allessi and N. M. Petry, "Pathological gambling severity is associated with impulsivity in a delay discounting procedure," Behavioral Processes, Vol.64, No.3, pp.345-354, 2003. 

  44. P. Baud, "Personality traits as intermediary phenotypes in suicidal behavior: Genetic issues,"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Part C, Vol.133(c), No.1, pp.34-42, 2005. 

  45. S. B. Mee, B. G. Bunney, W. F. Hetrick, S. G. Potkin, and C. Reisl, "Assessment of psychological pain in major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45, No.11, pp.1504-1510, 2011. 

  46. Y. Levi-Belz, Y. Gvion, N. Horesh, T. Fischel, I. Treves, E. Or, O. Stein-Reisner, M. Weiser, H. S. David, and A. Apter, "Mental pain,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medically serious suicide attempts: A case-control study,"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Vol.18, No.1, pp.74-87, 2014. 

  47. M. T. Berlim, B. S. Mattevi, D. P. Pavanello, M. A. Caldieraro, M. P. A. Fleck, L. R. Wingate, and T. E. Joiner, "Psychache and suicidality in adult mood disordered outpatients in Brazil," Suicide Life Threat Behavior, Vol.33, No.3, pp.242-248, 2001. 

  48. L. C. Konick and P. M. Gutierrez, "Testing a model of suicide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Suicide Life Threat Behavior, Vol.35, No.2, pp.181-192, 2005. 

  49. Y. Levi, N. Horesh, T. Fischel, I. Treves, E. Or, and A. Apte, "Mental pain and its communication in medically serious suicide attempts: An impossible situat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111, No.2-3, pp.244-250, 2008. 

  50. J. Frattaroli, " Experimental disclosure and its moderators: A metaanalysis," Psychol Bull, Vol.132, No.6, pp.823-865, 2006. 

  51. N. Horesh, G. Zalsman, and A. Apter, "Suicidal behavior and self-disclosure in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92, No.12, pp.837-842, 2004. 

  52. L. S. Barnes, R. M. Ikeda, and M. Kresnow, "Help-seeking behavior prior to nearly lethal suicide attempts," Suicide Life Threat Behavior, Vol.32, No.s1, pp.68-75, 2001. 

  53.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ng suicide: A global imperat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2014. 

  54. D. L. Best and J. E. Williams, Gender and culture, In D. Matsumoto(Ed.), The handbook of culture and psycholog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pp.195-222, 2001. 

  55. K. Kendler, L. Thornton, and C. Prescott, "Gender differences in the rates of exposure to stressful life events and sensitivity to their depressogenic effect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58, No.4, pp.587-593, 2001. 

  56. I. Niehaus, "Gendered endings: Narratives of male and female suicides in the South African Lowveld," Culture, Medicine, and Psychiatry, Vol.36, No.2, pp.327-347, 2012. 

  57. 조흥식, 김혜련, 신혜섭, 김혜란, 여성복지학, 학지사: 서울, 2000. 

  58. D. S. Eitzen and M. B. Zinn, "The missing safety net andfamilies: A progressive critique of the new welfare legislation," Journal of Sociology and Social Welfare, Vol.27, No.1, pp.53-73, 2000. 

  59. M. E. Beutel, E. M. Klein, E. Brahler, I. Reiner, C. Junger, M. Michal, J. Wiltink, P. S. Wild, T. Munzel, K. J. Lackner, and A. N. TibubosEmai, "Loneliness in the general population: Prevalence, determinants and relations to mental health," BMC Psychiatry, Vol.17, No.1, pp.1-7, 2017. 

  60. R. F. Baumeister and M. R. Leary,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Psychol Bull. Vol.117, No.3, p.497, 1995. 

  61. D. H. Silvera and C. R. Seger, "Feeling good about ourselves: Unrealistic self-evaluations and their relation to self-esteem in the United States and Norwa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35, No.5, pp.571-585, 2004. 

  62. D. Mellor, M. Stokes, L. Firth, Y. Hayashi, and R. Cummins, "Need for belong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5, No.3, pp.213-218, 2008. 

  63. L. Andersson, "Loneliness research and intervention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ging and Mental Health, Vol.2, No.4, pp.264-274, 1998. 

  64. R. Mushtaq, S. Shoib, T. Shah, and S. Mushta,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psychiatric disorders and physical health? A review on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loneliness,"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Vol.8, No.9, pp.1-4, 2014. 

  65. D. Perlman, "European and canadian studies of loneliness among seniors," Canadian Journal on Aging, Vol.23, No.2, pp.181-188, 2004. 

  66. L. C, Hawkley and J. P. Capitanio, "Perceived social isolation, evolutionary fitness and health outcomes: A lifespan approach," Philosophical Transaction of The Royal Society B, Vol.370, No.1669, 2015. 

  67. A. M. H. Eisses, H. Kluiter, K. Jongenelis, A. M. Pot, A. T. F. Beekman, and J. Ormel, "Risk indicators of depression in residential h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19, No.7, pp.634-640, 2004. 

  68. H. Cantril, The pattern of human concerns,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Press, 1965. 

  69. 김지훈, 김경호,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이 가정폭력에 미치는 영향: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448-461, 2013. 

  70. D. J. Bem, "Exotic become erotic: A developmental theory of sexual orientation," Psychological Review, Vol.103, No.2, pp.320-335, 1996. 

  71. D. L. Snow, T. P. Sullivan, S. C. Swan, D. C. Tate, and I. Klein, "The role of coping and problem drinking in men's abuse of female partners: Test of a path model," Violence and Victims, Vol.21, No.3, pp.267-286, 2006. 

  72. V. Tzouvara, C. Papadopoulos, and G. Randhawa, "A narrative review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loneliness,"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Vol.20, No.7, pp.329-334, 2015. 

  73. 김지훈, 강욱모, 문수열,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 인식과 사회적 자본 형성간의 관계분석: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40권, 제3호, pp.25-5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