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듈형 제품의 옵션 수가 소비자의 과잉혼란 지각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Study on Perceived Overload Confusion due to Modular Product's Option Siz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4, 2017년, pp.275 - 284  

김건 (한국기계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선택사항이 있는 모듈형 제품은 제품 구조나 배열 변경의 용이성을 장점으로 소비자들의 제품선택 폭을 확대해주고 맞춤형 제품의 구매기회를 제공해 준다. 또한 생산자로서의 소비자 역할을 수행케 함으로써 구매 후 부조화 감소와 제품 사용과정에서의 이용만족도도 높여 준다. 하지만 과도한 모듈화 또는 선택사항의 증가는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정보량 과다에 따른 소비자의 과잉혼란을 유발하여 구매결정의 연기 및 포기하는 부정적 결과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택 사항 즉 옵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과잉혼란의 지각 정도가 소비자들의 심리적 성향인 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 등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듈형 제품의 옵션 수에 따른 과잉혼란 지각정도가 이들 세 가지 변수의 영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3가지 조절효과 가설을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향상초점 소비자에 비해 예방초점 소비자가 옵션 수 확장에 따른 과잉혼란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친숙도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이들 두 변수 모두 그 정도가 낮은 그룹이 높은 그룹에 비해 옵션 수 확장에 따라 과잉혼란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dularity has merits in modifiability of product structure management and product arrangement. This feature helps consumer to expand the selection of products and to get customized products. Also consumers are drive satisfaction and reduce a post-purchase dissonance from role in a 'prosumer'. But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대안의 수에 따른 소비자 반응에 조절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되는 여러 영향 요인들 중 소비자의 정보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되는 ‘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개인적 성향이 옵션 수 변경 상황에서 과잉혼란의 지각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대량고객화 체제가 부상하며, 다양한 모듈형 제품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모듈형 제품의 마케팅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모듈형 제품의 옵션의 수에 따라서 소비자가 지각하는 과잉혼란이 소비자의 개인적 성향에 따른 차이점이 존재하는가에 대해 검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부품 옵션의 취사선택이 가능한 G사의 모듈형 스마트폰을 실험의 매개체로 활용해 10개 이상의 옵션이 제시된 상황 A와 4개의 옵션이 제시된 상황 B의 2가지 상황을 피험자 간 설계(Between subject design)로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다양한 측면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구조가 ‘옵션 수’와 동일한 ‘대안 수’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에 부품 옵션의 취사선택이 가능한 G사의 모듈형 스마트폰을 실험의 매개체로 활용해 10개 이상의 옵션이 제시된 상황 A와 4개의 옵션이 제시된 상황 B의 2가지 상황을 피험자 간 설계(Between subject design)로 진행하였다. 충남 소재 대학의 강의시간을 통해 실시된 본 실험에서는 실험 실시 전 각 강의별 재적 인원을 파악하여 A안과 B안의 응답 수를 동일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변인들의 설문문항구성은 먼저 종속변수인 과잉혼란에 대해서는 Walsh et al[15], Walsh and Mitchell[14], 문선정[36]의 연구를 토대로 ‘1)내가 필요로 하는 모듈 부품이 어떤 것인지 제대로 찾기가 힘들 것 같다.

가설 설정

  • 제품친숙도는 Russo and Johanson[38], Park and Lessing[23]의 연구를 기초하여 ‘1)나는 모듈형 제품들에 대해 들어봤다.2)나는 모듈형 제품이 어떤 제품인지 알고 있다.3)나는 다른 모둘형 제품들을 사용해 보았다.
  • 각 변인들의 설문문항구성은 먼저 종속변수인 과잉혼란에 대해서는 Walsh et al[15], Walsh and Mitchell[14], 문선정[36]의 연구를 토대로 ‘1)내가 필요로 하는 모듈 부품이 어떤 것인지 제대로 찾기가 힘들 것 같다.2)선택할 수 있는 모듈 부품이 많아 혼란스러울 것 같다.3)부품 정보의 검색에 혼란이 예상된다.
  • 2) 나는 모듈형 제품 사용 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있다.3) 나는 모듈형 제품을 사용하는데 자신이 있다.”의 3문항을 7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 2)선택할 수 있는 모듈 부품이 많아 혼란스러울 것 같다.3)부품 정보의 검색에 혼란이 예상된다.’의 3가지 문항을 7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 또한 스마트폰이라는 특정 제품 유형에 한정되어 연구가 진행되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일정 부분 한계점이 존재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현재 개발 중인 모듈형 스마트폰에 대한 미래의 구매상황을 가정하여 실험이 진행되었다. 이에 소비자들이 실제 제품의 사용 후에 느낄 수 있는 구매 후의 만족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품친숙도란 무엇인가? 제품친숙도(product familiarity)는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제품에 대한 경험과 지식 정도’라고 정의된다. 제품친숙도가 높을수록 제품속성 파악이 용이하며, 제품 간의 비교 및 중요도 분석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23][24].
제품친숙도가 높은 소비자가 그렇지 못한 소비자에 비해 가지는 장점은 무엇인가? 특히 제품친숙도를 구성하는 지식과 경험은 정보처리에 있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학습가속화가설(Enrichment Hypothesis)에 의하면 제품에 대한 사전지식과 이용경험이 많을수록 정보처리와 이해가 용이하다[23-25]. 따라서 제품친숙도가 높은 소비자는 그렇지 못한 소비자에 비해 제품속성을 더 쉽게 파악하고 관련 정보를 평가하고 이해함에 있어 효율적이다[24-29]. 이러한 선행문헌들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품 친숙도 자체만으로 소비자들의 정보처리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자기효능감에 대해 어떠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는가? 전통적 자기효능감은 직무수행성과 및 학습수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정보처리능력과 인터넷 활용능력과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들(eg.[31][32])이 수행되고 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개인들은 정보탐색, 통합, 이해하는 능력이 자기효능감이 낮은 개인들에 비해 효율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 Joseph. Pine, Mass customization: the new frontier in business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Press, 1993. 

  2. J. Lampel and H. Mintzberg, "Customizing customization," MIT Sloan Management Review, Vol.38, No.1, p.21, 1996. 

  3. J. H. Gilmore and B. J. Pine, "The four faces of mass customiz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75, pp.91-101, 1997. 

  4. Q. Tu, M. A. Vonderembse, T. S. Ragu Nathan, and B. Ragu­Nathan, "Measuring modularity based manufacturing practices and their impact on mass customization capability: a customer driven perspective," Decision Sciences, Vol.35, No.2, pp.147-168, 2004. 

  5. K. Ulrich, "The role of product architecture in the manufacturing firm," Research policy, Vol.24, No.3, pp.419-440, 1995. 

  6. 이승규, 박태훈, 김경태, "제품 아키텍처의 진화와 경쟁전략," 한국경영과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pp.24-36, 2008. 

  7. 전성률, "옵션프레이밍 방식이 소비자의 제품옵션 선택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제14권, 제2호, pp.69-94, 1999. 

  8. Stephen J. Hoch, Eric T. Bradlow, and Brian Wansink, "The variety of an assortment," Marketing Science, Vol.18, No.4, pp.527-546, 1999. 

  9. MacDuffie, John Paul, Kannan Sethuraman, and Marshall L. Fisher, "Product variety and manufacturing performance," Management Science, Vol.42, No.3, pp.350-369, 1996. 

  10. K. Lancaster, "The economics of product variety: A survey," Marketing Science, Vol.9, No.3, pp.189-206, 1990. 

  11. J. Berger, M. Draganska, and I. Simonson, "The influence of product variety on brand perception and choice," Marketing Science, Vol.26, No.4, pp.460-472, 2007. 

  12. J. Baron and I. Ritov, "Reference points and omission bia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9, No.3, pp.475-498, 1994. 

  13. V. W. Mitchell and V. Papavassiliou, "Marketing causes and implications of consumer confusion,"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Vol.8, No.4, pp.319-342, 1999. 

  14. Walsh, Gianfranco, and Vincent-Wayne Mitchell, "The effect of consumer confusion proneness on word of mouth, trust, and customer satisfac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44, No.6, pp.838-859, 2010. 

  15. G. Walsh, T. Hennig-Thurau, and V. W. Mitchell, "Consumer confusion proneness: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and applicatio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Vol.23, No.7-8, pp.697-721, 2007. 

  16. V. W. Mitchell, G. Walsh, and M. Yamin, "Towards a conceptual model of consumer confusion," NA-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32, 2015. 

  17. E. T. Higgins, "Beyond pleasure and pain," American psychologist, Vol.52, No.12, p.1280, 1997. 

  18. E. Crowe and E. T. Higgins, "Regulatory focus and strategic inclinations: Promotion and prevention in decision-making,"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69, No.2, pp.117-132, 1997. 

  19. R. Zhou and M. T. Pham, "Promotion and Prevention across Mental Accounts: When Financial Products Dictate Consumers& Investment Goal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1, No.1, pp.125-135, 2004. 

  20. R. S. Friedman and J. Forster, "The effects of promotion and prevention cues on creat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1, No.6, pp.1001-1013, 2001. 

  21. 박기경, 류강석, 박종원 "소비자의 조절초점, 상품구색의 크기, 그리고 선택모드가 금융상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제30권, 제4호, pp.1-19, 2015. 

  22. C. Liu and S. Forsythe, "Sustaining online shopping: Moderating role of online shopping motives," Journal of Internet Commerce, Vol.9, No.2, pp.83-103, 2010. 

  23. C. W. Park and V. P. Lessig, "Familiarity and its impact on consumer decision biases and heuristic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8, No.2, pp.223-230, 1981. 

  24. J. W. Alba and J. W. Hutchinson, "Dimensions of consumer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3, No.4, pp.411-454, 1987. 

  25. E. J. Johnson and J. E. Russo, "Product familiarity and learning new inform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1, No.1, pp.542-550, 1984. 

  26. Higgins, Edward Tory, "Knowledge activation: Accessibility, applicability, and salience," Social psychology: Handbook of basic principles, pp.133-168, 1996. 

  27. Richard L. Celsi and Jerry C. Olson "The role of involvement in attention and comprehension process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5, No.2, pp.210-224, 1988. 

  28. Ann E. Beattie, "Effects of Product Knowledge on Compaison, Memory, Evaluation, and Choice: a Model of Expertise in Consumer Decision-Making," NA-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09, 1982. 

  29. M. Brucks, "A typology of consumer knowledge content," NA-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3, 1986. 

  30.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191, 1977. 

  31. M. S. Eastin and R. LaRose, "Internet self efficacy and the psychology of the digital divide,"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Vol.6, No.1, 2000. 

  32. M. H. Hsu and C. M. Chiu, "Internet self-efficacy and electronic service acceptance," Decision support systems, Vol.38, No.3, pp.369-381, 2004. 

  33. Steven P. Brown, Shankar Ganesan, and Goutam Challagalla, "Self-efficacy as a moderator of information seeking effective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6, No.5, p.1043, 2001. 

  34. M. J. Tsai and C. C. Tsai, "Information searching strategies in web-based science learning: The role of Internet self-efficacy,"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Vol.40, No.1, pp.43-50, 2003. 

  35. GARCIA, Teresa; PINTRICH, Paul R. Student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 LISREL Model, 1991. 

  36. 문선정, 강보현, 이수형, "소비자 혼란이 분노를 통해 구전, 신뢰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 성향과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저널, 제13권, 제1호, pp.113-141, 2011. 

  37. 유창조, 안광호, 박성휘, "온라인 구전정보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Asia Marketing Journal, Vol.13, No.3, pp.209-231, 2011. 

  38. J. E. Russo and E. J. Johnson, "What do consumers know about familiar products?," NA-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07, 1980. 

  39. 배재권, "소셜커머스 서비스의 재구매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4권, 제2호, pp.199-224, 2013. 

  40. 유재홍, 최새솔, 최문기, "IT융합제품 잠재구매자의 외부정보원천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217-233, 2011. 

  41. 송경숙, "와인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431-446, 20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