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지원 대상자 선정을 위한 정량평가 모형개발
Developing a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 for Screening the Research Grant Applicatio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4, 2017년, pp.541 - 549  

유진만 (충남대학교 무역학과) ,  한인수 (충남대학교 경영학과) ,  오근엽 (충남대학교 무역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액연구 지원방식에 대한 정량평가 방법을 연구하고, 효율적인 평가방법을 확립하기 위한 모델을 만들었다. 첫째, 기존의 평가 시스템을 분석하여 몇 가지 문제점과 과제를 발견했다. 둘째, 정액연구 지원방식에 대한 정량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20만개 이상의 데이터와 모델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셋째, 제안된 모델을 시험하여 최적의 모델을 찾았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에 따라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quantitative screening methods for the Grant Funding system and seeks for the efficient evaluation of a number of proposals. We search foreign cases of Grand Funding, but we found no appropriate model for using in Korea. Thus, we had to develope our own model for bet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방법은 나름대로의 장단점이 있을 수 있지만, 어느 경우든 정량평가는 필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정액연구 지원선정을 위한 정량평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 결국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인 정량평가 모형은 이들 점수를 어떻게 배분하는 것이 최적 모형이 될 수 있는가를 정하는 데 있다. 단, 현재의 연구 평가 분위기에서는 연구재단 등재지에 출간한 숫자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등재지에는 1의 계수를 곱한다.
  • 다음은 과거 정성평가에 의한 선정 자료를 이용하여 업적 평가요소의 가중치를 산정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한다. 그럼으로써 구체적인 정량평가 모형을 개발한다. 끝으로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로짓회귀 분석을 통해 업적평가 요소별 영향력을 조사하고 개발된 정량평가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정량평가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평가모형에서 각 평가요소의 가중치를 이용한 평가 총점을 설명변수로 넣고 선정, 비선정을 종속변수로 하여 로짓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액연구에 대한 기존의 심사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요건심사->전공심사->종합심사의 3단계로 이루어지는 현재의 평가 시스템 중 일부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또한 3개 방법에 대한 선정확률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총점, 저자수 감안, 국제학술지 우선 등의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기는 힘들었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연구성과 항목에 어떤 점수를 주었을 때 최고확률이 많이 나타나는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인문사회 분야의 정액연구 지원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정량 평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과다한 지원과제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업무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해서는 학문분야별 전문가에 의한 정성적인 평가가 있기 전에 정량평가를 통한 예비선정절차가 필요하다는 인식위에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정량 평가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정량평가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각 등급별 학술지와 전문도서에 적절한 가중치(weight)를 주어 가중평가지수(WEI, Weighted Evaluation Index)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특정의 연구자가 연구신청을 했을 때 각 연구실적에 따라 선정될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를 분석하고 동시에 평가모형의 타당성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로짓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5 혹은 2, 전문도서는 2점 혹은 3점으로 시뮬레이션을 하다보니 경우의 수가 16 개가 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들에 대해서 각각 선정확률을 계산한 후가장 높은 선정확률의 경우를 보고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인문사회 분야의 정액연구 지원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정량 평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과다한 지원과제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업무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해서는 학문분야별 전문가에 의한 정성적인 평가가 있기 전에 정량평가를 통한 예비선정절차가 필요하다는 인식위에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정량 평가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정량평가 모형을 구성하는 업적 평가요소를 확정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정량평가는 선정자의 2배수로 한다. 3배수는 선정율을 감안할 때 선정 대상자 축소라는 의미가 작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액연구 지원의 목적은? 둘째, 정액연구 지원은 연구자의 연구비 관리 부담을 줄여주자는 목적을 지닌다.
정액연구의 장점은? 첫째, 정액연구는 소액연구의 성격을 가지는데 이는 주어진 연구지원 예산으로 보다 많은 연구자들에게 연구비를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액연구지원으로 인해 한국연구재단이 겪고 있는 문제는?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정액연구지원은 많은 의의를 가지고 있고 연구자들로 부터도 환영받고 있는 제도이지만 지원 대상 선정을 담당하는 한국연구재단에게는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우선 과도한 수의 연구비 신청이 이루어지고 있고 선정과 관련된 관리적 업무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의 한국연구재단의 지원 선정 절차에 의하면 연구지원자가 제출한 계획서를 평가하여 선정하는 절차는 [표 1]과 같이 3단계로 이루어지고 있다(‘2015년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신청요강’,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서옥이, 박귀순, 신숙경, 이성종, 이원근, 이윤희, "한국형 그랜트 지원방식 도입에 따른 선정평가 효율화를 위한 정량적 가이드라인 수립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16권, 제2호, pp.424-443, 2013. 

  2. 이희상, 기초연구사업 평가시 정량지표 도입을 통한 객관성 강화 방안, 한국연구재단, 2011. 

  3. 한국연구재단, 사업 신청요강, 2015. 

  4. 홍종선, KCI기반 Kor-Factor평가지표 개발 및 시범적용, 한국학술진흥재단, 2007. 

  5. P. D. Batista, M. G. Campiteli, O. Kinouchi, and A. S. Martinez, "Is it possible to compare researchers with different scientific interests?," Scientometrics, Vol.68, pp.179-189, 2006. 

  6. J. E. Hirsch, "An index to quantify an individual's scientific research output," PNAS, Vol.102, No.46, pp.16569-16572, 2005. 

  7. J. E. Hirsch, "Does the h index have predictive power?," PNAS Vol.104, pp.19193-19198, 2007. 

  8. J. E. Hirsch, "An index to quantify an individual's scientific research outpu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effect of multiple coauthorship," Scientometrics, Vol.85, No.3, pp.741-754, 2010. 

  9. H. Marsh, U. Jayasinghe, and W. Nigel, "Improving the Peer-Review Process for Grant Applications Reliability, Validity, Bias, and Generalizability," American Psychologist, Vol.63, No.3, pp.160-168, 2008. 

  10. National Science Foundation, Proposal and Award Policies and Procedures Guide, 2013. 

  11.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Grant Policy Manual (GPM),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3. 

  12. http://www.nsfc.gov.c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