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의 융합적 관계
Convergent Relationships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Adolescen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4, 2017년, pp.79 - 87  

장미영 (진주보건대학교) ,  강균영 (경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 외모만족도,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의 융합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 다. 연구대상은 J시 소재 2개 중학교 재학생 158명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외모만족도, 자존감, 문제해결력,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자료수집은 2016년 9월 26일부터 10월 1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외모만족도,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 정도는 중간이상이 었고, 문제해결력은 외모만족도(r=.602 p<.001), 자존감(r=.88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제해결력을 높이기 위해 외모만족도,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grasping the convergent relationship among the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158 students of two middle schools in J city. The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problem-solving ability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외모만족,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 정도와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을 증진 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외모만족과 자존감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외모만족도, 자존감 및 문제해결 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아, 외모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결과 청소년의 문제해결력은 외모만족도, 자존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 외모만족도, 자존감 및 문제 해결력의 관계를 파악하여 외모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의 문제해결력과 자존감이 상호 긴밀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은 사소한 일이든, 중대한 사건이든 사람들에게 신체적, 심리적 인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19]. 그러나 자존감이 높고,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문제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동기가 발휘되어[20] 문제 상황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성공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21].
청소년들에게 외모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이 시기 청소년은 급격한 신체적 성장과 2차 성징이 나타나고, 외모에 대한 관심이 커서 신체이미지에 의존하여 자신과 타인을 지각하게 된다[1,2]. 이처럼 청소년들에게 외모는 자기개념 형성과 자신을 나타내는 척도로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3], 자기확립, 자존감과 개인 생활 및 학교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4].
청소년기는 어떠한 시기입니까?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성장·발전하는 전환기로, 신체적 성숙뿐만 아니라 심리적·사회적·정신적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이다[1]. 더불어 부모로부터 정서적으로 독립하기를 원하며 자기다움을 찾으려하는 반드시 거쳐야할 단계로 자아정체성의 확립, 자신의 신체 이미지 등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가 된다[1]. 이 시기 청소년은 급격한 신체적 성장과 2차 성징이 나타나고, 외모에 대한 관심이 커서 신체이미지에 의존하여 자신과 타인을 지각하게 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v050ma713a2 

  2. I. S. Song, A study on the self-concept in human, Hakjisa, 1998. 

  3. H. S. Kang, K. H. Lim, “The Influenc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if Jeollanam-do,”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4, No. 1, pp. 481-500, 2013. 

  4. S. C. Jang, M. H. Song, “Relationship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Vol. 11, No. 3, pp. 115-133, 2004. 

  5. H. M. Kim, The effects of the appearance satisfaction improvement counseling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1. 

  6. J. A. Lee, "Sociocultural Influences on Body-appearance Satisfaction of 4th, 6th and 8th Grade childre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 11, pp. 77-97, 2005. 

  7. M. H.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in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 59, No. 8, pp. 97-109, 2009. 

  8. J. S. Kim, A comparative study on body perception, self-esteem, and dietary life between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9. 

  9. H. O. Shin, H. J. Cheon, “The Effect of Body Satisfaction, Appearance Interests, and Appearance complex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Vol. 14, No. 2, pp. 1-17, 2008. 

  10. T. A. Myers and J. H. Crowther, “Social Comparison as a Predictor of Body Dissatisfaction: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 118, No. 4, pp. 683-698, 2009. 

  11.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12. Y. H. Kang, S. H. Park, “Relationships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Adolesc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6, pp. 211-218, 2014. 

  13. S. A. Park, Y. B. Kang, "The Effects of High School Girls' Perceive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eer Support on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Forum for Youth Culture," Vol. 46, pp 65-89, 2016. 

  14. I. S. Lee, K. L. Lee, “The Relationship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School Maladjustmen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 21, No. 1, pp. 11-22, 2008. 

  15. S. Y. Oh, "The Effect of Body Image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to Adolescent's Stress,"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3, pp. 82-89, 2013. 

  16. S. harter, "Cause and Consequences of Low Self-Estee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R. F. Baumeister(ed). Self-esteem: The Puzzle of Low Self-Regard, Plenum Press, 1993. 

  17. A. K. Kim, “Social Behavior in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Relationships to Communication with Parents, Self-Estee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 22, No. 3, pp. 271-295, 2001. 

  18. M. J. Kang,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of adolescent, Sogang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1999. 

  19. C. S. Lee, S. J. Kim, Y. R. Kweon, B. Y. Kim, "Effects of a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Vol. 19 No. 4, pp. 400-410, 2010. 

  20. J. H. Lee, Y. T. Cho, "The Analysis on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Self-Esteem, Problem-Solving Ability, Stress,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of the Adolescents,"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 10, No. 2, pp. 123-141, 2006 

  21. J. S. Jeong, Effect of resilience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chool adjustment and stress cop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7. 

  22. J. C. Hong, “Relevant study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beauty awareness of B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5, pp. 135-143, 2016. 

  23. P. F. Secord, S. M. Jourard, “The Appraisal of Body-Cathexis: Body-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Vol. 17, No. 5, pp. 343-347, 1953. 

  24. M. O. Kim, A stud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body image among university student, Changwon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1997. 

  25.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6. Y. S. Cho,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attachment to adolescent'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ies, Kookmin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1998. 

  27. P. P. Heppner, C. H. Peterson,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29, No. 1, pp. 66-75. 1982. 

  28. J. L. Lee, The effect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 T. on the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tyl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Kun-kuk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1. 

  29. E. H. Park, H. R. Park,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obesity stress among women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9, pp. 479-487, 2015. 

  30. A. R. Koh, Y. J. Kim, “The Effects of Egocentrism, Self-Consciousness, Body Cathexis on Adolescence Cloth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 20, No. 4, pp. 667-681, 1996. 

  31. I. J. Chung, J. Y. Lee, "The Impact of Obesity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on Self-Esteem in Adolesce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Mental Health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Vol. 38, pp. 60-80, 2011. 

  32. E. H. Wee, "Body Comparison and Body Satisfaction Influence on Adapt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mong Adolescent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53, No, 2, pp. 201-219, 2015. 

  33. E. S. Jung, K. H. Le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teeth awareness and satisfaction on self-este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2, pp. 315-324, 2015. 

  34. I. A. Park,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emotional problem, smart phone dependency and school life adjustment-from a perspective of choice theor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5, pp. 263-268,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