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제 청도리 동곡마을 도요지 출토 도자기의 고고화학적 특성 분석
A Characteristics Analysis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the Ceramics Excavated from Kiln Site in Dongkok-Town, Gimje in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3 no.2, 2017년, pp.131 - 147  

박영아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김규호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전유리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김나영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김제 동곡마을 도요지에서 출토된 15~17세기 분청사기와 백자에 대하여 색도와 비중 및 흡수율, 미세구조 관찰 등의 물리적 특성, 태토와 유약의 조성에 대한 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물리적 특성에서 가마운영 상황과 제작 시기에 따라 제작기술이 점차 발전되는 변화가 관찰된다. 원료적 측면에서 동곡마을 도요지는 동일기반암에서 생성된 점토를 사용하여 도자기 종류, 생산 가마, 시기 등에 따라 원료를 정제하거나 융제를 첨가하는 등의 제작기법에서 차이를 보인다. 백자는 분청사기와 비교하여 착색제 함량이 평균적으로 1.3% 이상 적고 융제 성분 $K_2O$ 함량이 1.2% 가량 많은 편으로 같은 온도에서 더 쉽게 자화될 수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와 같은 특성은 생산 시기가 늦어질수록 분명하게 나타난다. 유약은 자기 종류가 아닌 생산 시기에 따라 16세기 이후에는 MgO, $TiO_2$, MnO, $P_2O_5$ 등의 함량이 적게는 3배, 많게는 10배 이상 줄어들어 사용 원료에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unchong and Whiteware pottery excavated from the kiln site in Dongkok-Town, Gimge. Scientific analysis i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body and glaze. The physical properties indicate the gradual 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제 청도리 동곡마을 도요지는 어떤 곳인가? 김제 청도리 동곡마을 도요지는 분청사기에서 백자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자기를 생산하던 가마터 중 하나이다. 도요지 주변으로는 약 10기 이상의 도요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유적은 11세기에서 19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요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Jeonju National Museum,1997).
분청사기 장식기법의 변화는 무엇인가? 분청사기는 고려말기 왜구의 침입으로 인해 많은 청자 가마터가 파괴되어도 공들이 내륙으로 피신하면서 전국적으로 제작이 급증하였으나, 경기도 광주에 분원이 운영되기 시작하면서 분청사기의 생산량은 격감되었다. 장식기법은 초기의 상감, 인화기법이 쇠퇴하면서 일부 지역에서 철화, 귀얄, 담금 기법이 발전하였다. 이후 16세기 전반에 들어와서 귀얄과 담금기법은 서서히 백자 장식에 흡수되면서 분청사기는 자연스럽게 소멸되어 한정된 시기에 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려말기 분청사기 제작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그리고 1420년 후반부터 표면에 백토 분장하여 시문한 분장회청사기, 즉 분청사기가 제작되었다. 분청사기는 고려말기 왜구의 침입으로 인해 많은 청자 가마터가 파괴되어도 공들이 내륙으로 피신하면서 전국적으로 제작이 급증하였으나, 경기도 광주에 분원이 운영되기 시작하면서 분청사기의 생산량은 격감되었다. 장식기법은 초기의 상감, 인화기법이 쇠퇴하면서 일부 지역에서 철화, 귀얄, 담금 기법이 발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an, M.S., 2006, A scientific provenance study for Goryeo Celadon excavated from seabed. Docto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58-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Hwang, H.S., Kwak, E.K. and Lee, D.H., 2011, Microstructural study and firing temperature presume from Mt. Gyeryong Hakbong-ri kiln.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7(1), 13-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Jeon, Y.R., 2008,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pottery from Gwangdae-ri site in Cheongyang Chungcheongnam-do, Korea.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Jeonju National Museum, 1997, Kiln site in Chollabuk-do province. Research Report of Jeonju National Museum, 3. (in Korean) 

  5. Jung, D.S., 2010, An essay on material ingredient and firing temperature of White porcelain in Chosun Dynasty -Focusing on Yanggu white porcelain. Studies in Humanities, 25, 217-2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ang, K.S., 1998, Celadon Buncheong whiteware. in Lee, G.B.(ed.), Hanguksa Shimin Gangjwa. Ilchokak, Seoul, 23. (in Korean) 

  7. Kang, K.I., 2003, Whiteware from the official kiln of Choseon Dynasty period in Beoncheon-ri, Gwangju.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2(1), 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ang, K.I., 2005, Report on the excavation of the kiln site at Guseongri, Gokseong. Research Report of the Jeonna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Korea, 18, 201-219. (in Korean) 

  9. Kang, K.I. and Jung, C.J., 1997, Body composition and firing temperature of ancient pottery excavated in Chonnam provinc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6(1), 15-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C.W., 2005, A study on Buncheong porcelain -For the areas of Jeollanam-do and Jeollabuk-do-. Art Journal, 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N.Y. and Kim, G.H., 2007, The provenance and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of the white porcelain in the Gyeongsangnam-do by neutron activation analysi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1, 89-1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oh, M.J., 2006, The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raw materials on hard and soft whiteware at excavated kilns in Gyongsangnam-do, Korea.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oh, M.J., Kim, J.T., Koh, K.S. and Kim, G.H., 2006, The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raw materials on hard and soft whiteware at excavated kiln in Dudong-ri Gyeongsangnam-do,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8, 75-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oh, M.J. and Kim, G.H., 2008, Characteristics analysis of on blackware and whiteware at excavated kiln in Gilmyeong-ri Pocheon-si Gyeonggi-do,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2, 43-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B.H. and So, M.G., 2013, Compositional and microstructural analyses of grayish-blue-powdered celadon in Yeongseo region in Gangwon-do:by Wonju Beopcheon-temple site.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6(3), 211-2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B.H. and So, M.G., 2014, A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and firing temperature of white wares from the Guyre-2ri kiln sites, Wonju.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0(3), 249-2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B.H. and So, M.G., 2015, Material characteristics of white wares from Yeongdong province, Gangwon-do: Gangneung and Donghae kiln site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1(3), 181-1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S.G., Kim, K.H. and Kim, J.K., 2008, Variation of rare earth element patterns during rock weathering and ceramic processes: A preliminary study for application in soil chemistry and archaeology. Jour. Petrol. Soc. Korea, 17(3), 133-1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S.G., Lee, K.Y., Yoon, Y.Y., Yang, M.K., Kim, K.H., Lee, S.J. and Ahn, S.D., 2010, Geochemical application for clarifying the source material of the earthenware: A preliminary study for archaeological application of geochemical tool. Jour. Petrol. Soc. Korea, 19(3), 181-1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Y.E., 1998, Compositional and microstructural study of Choson Punchong. Docto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44-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Y.E. and Koh, K.S., 1997, Compositional and microstructural study of Punchong from Hakbongni, Kongju.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6(1), 3-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Y.E. and Koh, K.S., 1998, Scientific study of Punch'?ng and whiteware from Ch'unghyodong, Kwangju (I).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2(3), 251-2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Y.E. and Koh, K.S., 2002, A microstructural study on firing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Punch'?ng from Ch'unghyodong, Kwangju.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6(2), 125-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Mun, C.S. and Choi, T.H., 2003, Ceramic engineering 1 - Basic-. Dooyangsa, Seoul, 183-210. (in Korean) 

  25. Prudence, M.R., 1987, Pottery analysi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Chicago and London, Chicago. 

  26. Taylor, S.R. and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Geoscience texts. Blackwell, Hoboken, 312. 

  27.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1454, 151. (in Chinese character) 

  28. Wood, N., 1999, Chinese glazes - Their origins, chemistry and recreation.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hiladelphia, 27-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