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녹산동 조질청자의 고고화학적 분석
An Analysis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the Low-grade Celadons Excavated at Noksan dong, Busan in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4 no.5, 2018년, pp.345 - 358  

남경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김규호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 녹산동 가마터에서 출토된 12세기 조질청자를 중심으로 가마터 4기에서 출토된 35점을 분석 시료로 선정하고 색도, 비중 및 흡수율, 미세구조 관찰과 태토와 유약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청자의 태토 색도는 가마에 상관없이 모두 비슷했으며 4 5호 가마 출토 선정 도편은 2 3호보다 명도가 어둡고, 채도는 회색계와 갈색계로 구분된다. 유약은 적색과 황색의 기여도가 높은 편이다. 선정된 도편의 기공률은 회색계 8.8%이고 갈색계 16.1%로 태토 색상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태토와 유약의 주성분은 청자의 전형적인 성분 범주에 속하지만 $TiO_2$의 함량이 차이가 있다. 2 3호 가마와 4 5호 가마 청자의 가시적 차이는 사용 원료보다 수비 및 번조공정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Fe_2O_3$$K_2O$의 함량 차이는 공정 과정에서 배합기술의 변화를 시도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녹산동 청자는 초벌과정 없이 태토에 유약을 바른 후 한 번에 구웠던 제작 공정으로 인하여 태토가 충분히 자화되지 못했으므로 양질의 청자를 제작하기 위하여 가마별로 공정 차이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ow-grade 12th-century celadons, which were excavated from a kiln site in Noksan-dong, Busa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body and the glaze are evaluated through scientific analyses. All the selected celadon shards ha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진과 부안으로 대표되는 양질청자 뿐만 아니라 그 외 지방가마에서 출토된 조질청자 연구는 고려시대 청자제작의 상황을 종합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써 본 연구에서는 부산 녹산동 조질청자의 제작기술을 과학·기술적인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질적 차이를 보이고 있는 원인을 규명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또한 녹산동 2∼5호 청자가마터 내 요업시기에 따른 원료에 대한 상호 유사성 및 차별성을 파악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산 녹산동 청자가마터에서 주로 생산된 청자는 어떤 청자인가? 조질청자는 생산된 기종과 기형에서 흑유자기를 동반 생산한 계통과 품질이 매우 낮은 계통, 그리고 강진의 양질청자를 모방한 계통으로 구분된다(Lee,2004; Kim, 2006; Kang, 2016). 부산 녹산동 청자가마터는 초벌과정이 생략되고 철화를 시문한 청자가 주로 생산되며 품질이 낮은 청자라는 점을 볼 때, 고려 중기 강진과 부안지역의 가마로부터 영향을 받아 지방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조성한 요업단지로 추정된다(Foundation of East-AsiaCultural Properties Institute, 2012).
이번 실험에서 4호 가마의 청자가 다른 가마들의 청자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유약은 대부분의 도편에서 잔존하는 석영과 150∼600 ㎛크기의 장석이 소량 관찰된다. 유약이 완전히 유리질화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가마의 청자보다 anorthite가 많이 보인다.
녹산동 청자가마터가 입지한 곳은? 물, 연료, 원료가 비교적 풍부하고 고려시대 김해부의외곽지대로 13조창 중 하나인 석두창과의 해상교통이 편리한 곳에 입지한 녹산동 청자가마터는 도기가마 1기, 도기폐기장 1개소, 자기가마 4기, 자기폐기장 5개소, 기와가마 1기 요업시설로 추정되는 수혈 및 주혈군이 함께 조사되었다. 자기가마 4기의 폐기장에서 출토된 유물의 양식적인 특징 등에 따라 12세기 전엽~중엽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시기에 운영된 가마터에 해당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ng, B.S., 1993, A technic historical study on the Koryo Celadon.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5-21. (in Korean) 

  2. Chang, N.W., 2003, Study of mid Koryo celadons. Docto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Foundation of East-Asia Cultural Properties Institute, 2012, The excavation report of cultural relics in the Noksan-dong kiln site of celadon in Busan.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Gyeonggi Provincial Museum, 2008, Analytical of the royal kiln complex at Gwangju in Gyeonggi province. 

  5. Han, M.S., 2006, A scientific provenance study for Goryeo celadon excavated from seabed. Docto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ang, K.I., 2010,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kiln structure and color of Goryeo celadon. 12th Koryo celadon Academic Seminar, Gangjin, August 16. (in Korean) 

  7. Kang, K.I., 2016. Recent technological change of Goryeo celadon in Gangjin area. Study of ceramic art, 25. (in Korean) 

  8. Kim, J.A., 2006, A scientific analysis study on Koryo Celadon in the 11-12C.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J.M., 2004, The system and dating of low-grade Celadons in the 11th to 12th Centuries AD. Art History, 18, 149-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J.M., 2012, Distribution and character of production kiln sites in early Goryo celdon. History and Discourse : Journal of Historical Review, 63, 151-1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Y.E., 1998, Compositional and microstructural study of Choson Punchong. Docto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44-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Y.E., 2013, The color of the Goryeo celadon: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of pi-saek celadon. Information Art, 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Y.E., Kim, G.H. and Koh, K.S., 2005, A scientific study of early Koryo and whiteware.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2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Y.S., 2001, Analytical and statistical study on the raw materials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Mun, C.S. and Choi, T.H., 2003, Ceramic engineering 1 -Basic-. Dooyangsa, Seoul. (in Korean) 

  16. Prudence, M.R., 1987, Pottery analysi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Chicago and London, Chicago. 

  17. Wood, N., 1999, Chinese glazes -Their origins, chemistry and recreation.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hiladelphia, 27-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