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카리 수전해에서 전극 형상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the Shape of Electrodes in Alkaline Water Electrolysis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8 no.2, 2017년, pp.121 - 128  

최수광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  김종수 (한국기계연구원) ,  한진목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  윤성호 (금오공과대학교) ,  김세웅 (금오공과대학교) ,  정영관 (금오공과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an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the shape of electrodes in alkaline water electrolysis, two kinds of stack with circular and square electrode array are used to visualize both for behaviors of hydrogen bubble around the electrodes and for measurements of hydrogen production from these two stac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전해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추론되고 있는 수전해 전극 둘레에서 생성된 수소와 산소의 기포의 영향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포 거동에 많은 차이를 보일 것으로 사료되는 원형과 사각형의 전극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나열되어 있는 유동가시화용 수전해 스택과 수소생산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전해 스택들을 제작하여 수소 기포가 수전해 효율에 미치는 영향과 알카리 전해질의 농도가 기포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알카리 수전해 스택 내부의 전극 둘레에서 생성된 수소와 산소의 기포가 수전해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포의 거동이 크게 차이가 나는 원형과 사각형의 전극 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나열되어 있는 유동가시화용 스택과 수소생산용 스택을 제작하여 수전해 효율에 미치는 수소 기포의 영향과 KOH 알카리 전해질의 농도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생에너지원의 단점은 무엇인가?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에 이용되는 태양 에너지나 바람과 같은 재생에너지원들은 전력부하의 변동에 대응하는 에너지 공급의 안전성 결여와 그 에너지를 대량으로 장시간에 걸쳐 보관할 수 있는 저장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알카리 수전해란 무엇인가? 알카리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알카리 수전해에서는 스택의 내부에 공급된 전기에 의해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알카리 수용액으로 부터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수소와 산소가 생산되며, 이 수소와 산소가 전극 밖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전극의 둘레 표면에 미세한 수소기포가 발생된다. 많은 수소 기포들은 전극 둘레에 부착되어 일정한 크기의 부력을 갖는 기포의 크기로 성장한 후에 전극의 둘레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며, 전극들 사이의 유로에 채워져 있는 전해질 용액을 통과하여 수전해 스택의 상부로 이동하는 2상 유동(two phase flow)을 한다.
수전해 스택의 설계에서 전해질 농도에 대한 최적화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전해질 농도의 증가로 인한 전해질의 점도 증가가 전극 둘레에서 생성되는 수소 기포의 배출을 억제하고, 수소 기포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기하학적 구조의 전극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므로 전해질의 농도가 크게 증가할 경우 전해질의 점도가 증가하여 수소 기포의 배출을 지연시키며, 전극 둘레에 부착되어 있는 수소 기포는 전극으로 전해질의 공급과 전극으로부터 수소 배출 등의 물질전달을 방해하므로, 전극에서 물질전달이 줄어들게 되어 수전해 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P. R. Wilson and R. C. Bowman Jr, "Operation of a PEM fuel cell with LaNi4.8Sn0.2 hydride beds", J. Alloys and Compounds, Vol. 446, 2007, pp. 676-680. 

  2. Y. Jung, S. Kim, K. Kim, S. Choi, T. Jang, and C. Hwang, "A study on the hydrogen supply for variation in output from a metal hydride canister",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0, No. 3, 2009, pp. 218-223. 

  3. D. Park and Y. G. Jung, "Study on the reaction conditions for H2 generation reactor with NaBH4 and Load following ability for Fuel Cell application", 2013 3rd Internatinal Conference on Mechanical Industrial and Manufacturing Technologe, 2013, pp. 676-680. 

  4. H. H. Jo, B. J. Jang, and J. Y. Songt, "A study on the channel design of bipolar plate of electrolytic cell by flow dynamic simulation in the two phase flow system", J. of the Korean Oil Chermists' Soc., Vol. 27, No 4, 2010, pp. 415-420. 

  5. H. H. Jo, S. H. Lee, B. J. Jang, and J. Y. Songt, "A study on the bipolar plate of electrolytic cell of hydrogen gas generation system by numerical system", J. of the Korean Oil Chermists' Soc., Vol. 27, No. 1, 2010, pp. 61-69. 

  6. D. Park, K. Cha, H. Jo, and Y. Jung, "Study on Optimization of Operation in household Fuel Cell System",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3, No. 1, 2012, pp. 598-603. 

  7. D. Park, H. Lee, Y. Jung, B. Kim, and H. Choi, "The study on the combination of PEMFC stacks", International Conference of Future Environment and Energy 2011, pp. 110-113. 

  8. C. M. Hwang, D. Park, and Y. Jung, "Effect of double porous layer on a polymer electrolyte Unitized Regenerative Fuel Cell",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4, No. 4, 2013, pp. 320-325. 

  9. A. Kato, M. Masuda, A. Takahashi, T. Ioroi, M. Yamaki, and H. Ito, "Durability investigation of a PEM-type unitized reversible cell", ECS Transactions, Vol. 25, 2009, pp. 1271-1278. 

  10. C. M. Hwang, M. Ishida, H. Ito, T. Maeda, A. Nakano, A. Kato, and T. Yoshida "Effect of titanium powder loading in gas diffusion layer of a polymer electrolyte unitized reversible fuel cell", J. of Power Sources, Vol. 202, 2012, pp. 108-113. 

  11. Y. Jung et al, "Hydrogen Energy", A-JIN Press, 2005, pp. 13. 

  12. D. H. Park, H. J. Lee, H. J. Ko, K. H. Kim, S. W. Kim, and Y. G. Jung, "A Study on the hydrogen flow at a separator",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2011, pp. 374-375. 

  13. D. H. Park, H. J. Lee, K. H. Kim, and Y. G. Juan, "A study on the Bubble stream in the Separators",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2012, pp. 246-247. 

  14. D. H. Park, J. M. Han, S. W. Kim, and Y. G. Jung, "Numerical Analysis on Bubble growth in the separator",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2012, pp. 244-245. 

  15. Y. Jung, J. Han, and C. Hwang, "The bubble size Effect on the Numerical Analysis of the flow in the Separator of water electrolysis",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2013, pp. 208-210. 

  16. Y. Jung, J. Han, and C. Hwang, "The Comparison between Numerical Analysis and Experiment on the Flow in Electrolysis separator with Array type flow channels",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2013, pp. 238-240. 

  17. Y. Jung and J. Han, "Study on the Hydrogen Production according the Flow patterns in Electrolysis",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2015, pp. 181-184. 

  18. C. Ryu, J. Kim, D. Park, and Y. Jung, "A Study on the hydrogen flow at a separator ",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3, No. 5, 2012, pp. 538-544. 

  19. Y. Jung, "Study on the Behaivor of Bubbles in Array Type Flow Channels",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4, No. 1, 2013, pp. 84-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