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카라인 수전해 시스템 성능 특성 및 안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Characteristic and Safety of Alkaline Water Electrolysis System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8 no.6, 2017년, pp.601 - 609  

박순애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  이은경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  이정운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  이승국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  문종삼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  김태완 ((주)주진테크) ,  천영기 ((주)주진테크)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gen is a clean, endlessly produced energy and it is easy to store and transfer. So, hydrogen is regarded as next generation energy. Among various ways for hydrogen production, the way to produce hydrogen by water electrolysis can effectively respond to fossil fuel's depletion or climate chan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전해 시스템 후단에서 생산되는 수소는 100% 순수 수소가 아니다. 따라서 수소 내부에 불순물을 일부 포함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시료를 채취하여 순도시험을 수행하고 시스템의 효율을 보정하고자 하였다.
  • 본 실험을 통해 수전해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 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전해 시스템의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국내 수전해 시스템의 성능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보급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수전해 시스템의 성능과 안전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평가 항목인 시스템 효율, 수소 가스 순도, 압력 등을 도출하고 안전성능 평가 실증 실험시, 압력 및 투입되는 전력량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연계 수전해 수소 제조 시스템의 안전기준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전해 시스템의 정확한 효율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수소의 순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전해 시스템이 정격조건에 도달한 후 0.
  • 본 연구에서는 수전해 안전성능 평가 장치를 통해 효율, 발생 수소의 품질 등 수전해 시스템의 안전 성능 실증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전해 시스템으로는 알칼리 전해액(수산화칼륨 수용액, KOH)을이용하여 90℃ 이하에서 물을 전기분해하는 알칼리 수전해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 수소 발생 압력에 따른 수전해 시스템의 안전성능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3 bar, 5 bar, 7 bar의 압력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효율 측정 및 발생 수소의 순도 측정 실험에 대한 실험조건(system pressure, electric energy, time 등)을 명확하게 확립한 후 실험을 진행하여 정량적인 데이터를 얻고 이를 활용하여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30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결과는 무엇인가? 이에 전 세계 각국에서는 기후변화협약, 도쿄의정서, 신 기후변화체제 협상 등을 추진하며 적극 대응하고 있고 특히, 국내에서는 신정부 출범과 함께 탈 원전, 탈 석탄발전을 목표로 2030 신재생에너지 정책 등을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에너지 패러다임이 나무와 석탄 중심으로 돌아가던 탄소 중심 경제에서 석유, 메탄을 거쳐 수소 중심 경제로 변화 하고 있다2). 수소는 청정하며 무한생산 가능한 에너지일 뿐 아니라 저장 및 수송이 용이하기 때문에 차세대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3-5).
수전해 방식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수전해 방식은 사용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 수전해법(alkaline electrolysis, AE), 양이온 교환막 전해법(proton exchange membrane electrolysis, PEM) 및 고온 수증기전해법(high temperature electrolysis, HTE)의 3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수전해 기술별 특징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12,13).
수소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의 예는 무엇이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가장 기대되는 방식은 무엇인가? 수소는 탄화수소나 물로부터 수증기 개질, 부분 산화, 자열 개질, 직접분해, 열화학분해, 생물학적 분해, 광화학적 분해, 전기분해 등의 방법을 통해 수소를 추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는 데 이 중에서 순수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제조하는 방식이 에너지 고갈 및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대되어 진다6-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R. W. Fri and M. L. Savitz, "Rethinking energy innovation and social science", Energy Research & Social Science, Vol. 1, 2014, pp. 183-187. 

  2. A. Alaswad , A. Baroutaji, H. Achour, J. Carton, A. I. Makky, and A. G. Olabi, "Developments in fuel cell technologies in the transport sector",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41, No. 37, 2016, pp. 16499-16508. 

  3. K. L. Kovacs, G. Maroti, and G. Rakhely, "A novel approach for biohydrogen pro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1, No. 11, 2006, pp. 1460-1468. 

  4. K. Zeng and D. Zhang, "Recent progress in alkaline water electrolysis for hydrogen production and applications", Progress in Energy and Combustion Sciencem, Vol. 36, No. 3, 2010, pp. 307-326. 

  5. I. Dincer, "Green methods for hydrogen pro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7, No. 2, 2012, pp. 1954-1971. 

  6. K. Mazloomi and C. Gomes, "Hydrogen as an energy carrier: Prospects and challenge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16, No. 5, 2012, pp. 3024-3033. 

  7. M. Wang, Z. Wang, X. Gong, and Z. Guo, "The intensification technologies to water electrolysis for hydrogen production-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29, 2014, pp. 573-588. 

  8. R. Fernandez-Saavedra, M. B. Gomez-Mancebo, C. Caravaca, M. Sanchez, A. J. Quejido, and A. Vidal, "Hydrogen production by two-step thermochemical cycles based on commercial nickel ferrite: Kinetic and structur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9, No. 13, 2014, pp. 6819-6826. 

  9. A. A. Ismail and D. W. Bahnemann, "Photochemical splitting of water for hydrogen production by photocatalysis: A review",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Vol. 128, 2014, pp. 85-101. 

  10. J. Pacheco, G. Soria, M. Pacheco, R. Valdivia, F. Ramos, H. Frias, M. Duran, and M. Hidalgo, "Greenhouse gas treatment and H2 production, by warm plasma reform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40, No. 48, 2015, pp. 17165-17171. 

  11. Y. Wang, S. Wang, G. Zhao, Y. Guo, and Y. Guo, "Hydrogen production by partial oxidation gasification of a phenol, naphthalene, and acetic acid mixture in supercritical water",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41, No. 4, 2016, pp. 2238-2246. 

  12. B. G. Kim, G. S. Shin, K. S. Chio, and H. M. Kim, "A Theoretical Study on Proton Exchange Membrane Electrolyzer", Journal of Automotive Engineering, 2011, pp. 38-42. 

  13. M. H. Seo, H. S. Hong, K. H. Kang, J. M. Kim, S. K. Lee, and Y. S. Yun, "Development of preparation technology of materials for high temperature electrolysis", Journal of Korea New & Renewable Energy, 2007, pp. 61-64. 

  14. K. Moon and D. Pak, "The Characteristics of Hydrogen Production According to Electrode Materials in Alkaline Water Electrolysis",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ol. 24, No. 2, 2015, pp. 33-39. 

  15. F. ezzahra Chakik, M. Kaddami, and M. Mikou, "Effect of operating parameters on hydrogen production by electrolysis of water",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42, No. 40, 2017, pp. 25550-25557. 

  16. S. M. M. Ehteshami, S. Vignesh, R. K. A. Rasheed, and S. H. Chan, "Numerical investigations on ethanol electrolysis for production of pure hydrogen from renewable sources", Applied Energy, Vol. 170, 2016, pp. 388-393. 

  17. T. H. Lee, "Overview and prospect of the water electrolytic device technology", Journal of the Electric World, 2015, pp. 14-17. 

  18. M. H. Sellami and K. Loudiyi, "Electrolytes behavior during hydrogen production by solar energy",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70, 2017, pp. 1331-1335. 

  19. S. K. Mazloomi and Nasri Sulaiman, "Influencing factors of water electrolysis electrical efficiency",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16, No. 16, 2012, pp. 4257-4263. 

  20. Z. Dobo, and A. B. Palotas, "Impact of the voltage fluctuation of the power supply on the efficiency of alkaline water electro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41, No. 28, 2016, pp. 11849-118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