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의 농산물 및 환경시료에서 노로바이러스와 위생지표세균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norovirus and indicator microorganisms from agricultural products and environmental sampl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2, 2017년, pp.123 - 131  

강지현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심혜미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광엽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로바이러스는 국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유행성 바이러스성 위장염을 일으키고 있다. 노로바이러스 저감화사업단(NOROTECL)의 1중 2세부과제에서는 농산물의 노로바이러스 오염 원인을 추적조사하여 노로바이러스 전파를 예방하고 저감화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2015년 1월부터 11월 사이에 노로바이러스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80개 농산물, 80개 토양, 78개 인체분변, 3개 가축분변, 80개 농업용수, 80개 하천수 시료를 대상으로 노로바이러스, Male specific coliphage (MSC), 위생지표세균(Coliform, E. coli) 세 가지 검사를 통해 오염현황을 조사하였다. Semi-nested PCR과 DNA sequencing을 통해 18개의 Genogroup I과 3개의 Genogroup II 노로바이러스가 총 18개의 시료에서 발견되었다. Genogroup이 확정된 노로바이러스에 대하여 RT-PCR을 진행하였다. 대장균군과 대장균은 농산물에서 68%와 1%, 토양에서 88%와 7.5%, 인체분변에서 44%와 12.8%, 가축 분변에서 67%와 67%, 농업용수에서 74%와 30%, 하천수에서 96%와 51%의 검출율을 각각 나타냈다. MSC 결과에서는 14개의 시료가 양성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rovirus causes frequent epidemic viral gastroenteritis in Korea. The team for the control of noroviral foodborne outbreaks (NOROTECL) executed a project to trace the cause of norovirus contamina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environmental samples to reduce norovirus outbreaks in Korea. Betwe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로바이러스는 국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유행성 바이러스성 위장염을 일으키고 있다. 노로바이러스 저감화사업단(NOROTECL)의 1중 2세부과제에서는 농산물의 노로바이러스 오염 원인을 추적조사하여 노로바이러스 전파를 예방하고 저감화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2015년 1월부터 11월 사이에 노로바이러스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80개 농산물, 80개 토양, 78개 인체분변, 3개 가축분변, 80개 농업용수, 80개 하천수 시료를 대상으로 노로바이러스, Male specific coliphage (MSC), 위생지표세균(Coliform, E.
  • 또한, 노로바이러스 분포와 위생지표 세균 분포에 대한 지역별, 계절별, 대상별로 오염지도를 작성하여 각 시료별 오염현황에 대한 유행패턴을 비교분석하였다. 전체 실험 결과 환경적 영향 등 관련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유의성을 도출하기 위해 통계적 방법으로 주산지 농산물과 주변 환경의 노로바이러스 및 위생지표세균의 오염현황 상관성 분석을 함으로써 농산물의 노로바이러스 오염원인을 추적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로바이러스 저감화, 예방, 및 제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노로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로바이러스란 무엇인가? 노로바이러스는 칼리시바이러스과(Caliciviridae)에 속하며 약 7.7 kb의 외피가 없는 외가닥(single stranded) RNA 바이러스이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장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로 비세균성 장염의 약 90% 이상의 발병원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주 증상으로는 오심, 구토, 설사, 복통을 유발하나 대부분의 경우 증상은 경미하고 1-2일 지나면 자연 회복되며, 잠복기는 24-48시간이다(1-6).
노로바이러스 감염의 주 증상은 무엇인가? 7 kb의 외피가 없는 외가닥(single stranded) RNA 바이러스이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장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로 비세균성 장염의 약 90% 이상의 발병원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주 증상으로는 오심, 구토, 설사, 복통을 유발하나 대부분의 경우 증상은 경미하고 1-2일 지나면 자연 회복되며, 잠복기는 24-48시간이다(1-6).
노로바이러스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노로바이러스는 유전학적 면역학적으로 매우 다양한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다. 노로바이러스는 크게 5가지의 genogroup (GI-GV)으로 구분된다(7). 이중 GI, GII, GIV 유전자형은 인간에게 급성장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바이러스이며 분자생물학적, 역학적, 계통학적으로 매우 상의하여 유전자 염기서열에 따라 유전자형 GI은 14 아형, 유전자형 GII은 17 아형으로 모두 31가지의 유전자 타입(Genotype)으로 분류 되고 있다(8-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Norovirus and foodborne disease, United States, 1991-2000. Available form: www.cdc.gov/eid. Accessed Jan. 2005;11(1):95-102. 

  2. Ho ZJM, Vithia G, Ng CG, Maurer-Stroh S, Tan CM, Loh J, Lin TPR, Lee JMV. Emergence of norovirus GI.2 outbreaks in military camps in Singapore. Int. J. Infect Dis. 31: 21-30 (2015) 

  3. Green J, Henshilwood K, Gallimore CI, Brown DWG, Lees DN. A nested reverse transcriptase PCR assay for detection of small roundstructured viruses in environmentally contaminated molluscan shellfish. Appl. Environ. Microbiol. 64: 858-863 (1998) 

  4. Brugha R, Vipond IB, Evans MR, Sandifer QD, Roberts RJ, Salmon RL, Caul EO, Mukerjee A. A community outbreak of food-borne small round-structured virus gastroenteritis caused by a contaminated water supply. Epidemiol. Infect. 122: 145-154 (1999) 

  5. Fankhauser RL, Monroe SS, Noel JS, Humphrey CD, Bresee JS, Parashar UD, Ando T, Glass RI. Epidemiologic and molecular trends of "Norwalk-like viruses" associated with outbreaks of gastroenteritis in the United State. J. Infect. Dis. 186: 1-7 (2002) 

  6. Glass RI, Noel J, Ando T, Fankhauser R, Belliot G, Mounts A, Parashar UD, Bresee JS, Monroe SS. The epidemiology of enteric caliciviruses from humans: A reassessment using new diagnostics. J. Infect. Dis. 181: 254-261 (2000) 

  7. Shin SB, Oh EG, Lee HJ, Kim YK, Lee TS, Kim JH. Norovirus quantification in oysters crassostrea gigas collected from Tongyeoung,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7: 501-507 (2014) 

  8. Vinje J, Green J, Lewis DC, Gallimore CI, Brown DWG, Koopmans MPG. Genetic polymorphism across regions of the three open reading frames of "Norwalk-like viruses". Arch. Virol. 145: 223-241 (2000) 

  9. Paik SY. Research on the contamination levels of norovirus in food catering facilities.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Osong, Korea. pp. 1-150 (2009) 

  10. Wollants E, Coster SD, Van Ranst MV, Maes P. A decade of norovirus genetic diversity in Belgium. Infect. Genet. Evol. 30: 37-44 (2015) 

  11. Kageyama T, Shinohara M, Uchida K, Fukushi S, Hoshino FB, Kojima S, Takai R, Oka T, Takeda N, Katayama K. Coexistence of multiple genotypes, including newly identified genotypes, in outbreaks of gastroenteritis due to norovirus in Japan. J. Clin. Microbiol. 42: 2988-2995 (2004) 

  12. Kim NH, Park EH, Park YK, Min SK, Jin SH, Park SH. Study on norovirus genotypes in Busan, Korea. J. Life Sci. 21: 845-850(2011) 

  13. Shin SB, Oh EG, Yu HS, Lee HJ, Kim JH, Park KBW, Kwon JY, Yun HD, Son KT. Inactivation of a norovirus surrogate (Feline calicivirus) during the ripening of oyster kimch. Korean J. Fish Aquat. Sci. 43: 415-420 (2010) 

  14. Kim KY. Research on the contamination levels of norovirus in food catering facilities.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Osong, Korea. pp. 1-98 (2009) 

  15. Ha JH, Lee JS, Joo IS, Lee HJ, Ha SD. Comparison Study on Viabilities of Human Norovirus and Norovirus Surrogates. Safe food, Seoul, Korea. pp. 19-25 (2014) 

  16. Gould LH, Walsh KA, Vieira AR, Herman K, Williams IT, Hall AJ, Cole D. Surveillance for foodborne disease outbreaks- United States, 1998-2008. MMWR Morb. Mortal. Wkly. Rep. 62: 1-34 (2013) 

  17. Eric CM, Peter KC, Angela WLL, Ann HW, Wilina WLL. Atypical norovirus epidemic in Hong Kong during summer of 2006 caused by a new genogroup II/4 variant. J. Clin. Microbiol. 45: 2205-2011 (2007) 

  18. Kim BJ. Correlation between norovirus detection and indicator organisms presence in agricultural produce, growing soil, feces, agricultural water, and river water. MS thesis, University of Dongguk, Gyeongju, Korea (2015) 

  19. Choi WS. Development of protocol for the detection of foodborne virus in food.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Osong, Korea. pp. 1-90 (2004) 

  20. Lu QB, Huang DD, Zhao J, Wang HY, Zhang XA, Xu HM, Qu F, Liu W, Cao WC. An increasing prevalence of recombinant GII norovirus in pediatric patients with diarrhea during 2010-2013 in China. Infect. Genet. Evol. 31: 48-52 (2015) 

  21. Mathijs E, Denayer S, Palmeira L, Botteldoorn N, Scipioni A, Vanderplasschen A, Dierick K. Novel norovirus recombinants and of GII. 4 sub-lineages associated with outbreaks between 2006 and 2010 in Belgium. Virol. J. 8: 1 (2011) 

  22. Hoa-Tran TN, Nakagomi T, Sano D, Sherchand JB, Pandey BD, Cunliffe NA, Nakagomi O. Molecular epidemiology of noroviruses detected in Nepalese children with acute diarrhea between 2005 and 2011: Increase and predominance of minor genotype GII.13. Infect. Genet. Evol. 30: 27-36 (2015) 

  23. Shin CS. A study on the technology for enhancing water hygiene in water pipe and supplying. Kwater, Daejeon, Korea. pp. 1-82 (2014) 

  24. Jheong WH, Kim JM, Jang SJ, Park JY, Oh JH, Choi HJ, Yang SY, Park SJ, Seo EY. A study on the bacteriophages as indicators of viruses in water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p. 1-98 (2008) 

  25. Alderisio KA, Wait DA, Sobsey MD.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le-specific RNA coliphages in a New York City reservoir." Watershed Restoration Management New York City Water Supply Studies. JJ McDonnell, DL Leopold, JB Stribling & LR Neville. 133-142 (1996) 

  26. Lee HT, Kim HY, Park HJ, Cho YE, Ryu SY, Lee KJ, Jung JS, Ko GP. Evaluation of Influent Water Quality Using Indicator Microorganisms in Lake Shiwha. J. Environ. Health Sci. 34: 86-94 (2008) 

  27. Leclerc H, Edberg S, Pierzo V, Delattre JM. Bacteriophages as indicators of enteric viruses and public health risk in groundwaters. J. Appl. Microbiol. 88: 5-21 (2000) 

  28. Fonager J, Hindbaek LS, Fischer TK. Rapid emergence and antigenic diversification of the norovirus 2012 Sydney variant in Denmark, October to December, 2012. Euro Surveill. 18: 1-24 (2013) 

  29. Ham HJ, Oh SA, Kim CK, Jang JI, Jo SJ, Choi SM.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human noroviruses genogroup I and genogroup II detected in acute gastroenteritis patients in Seoul. J. Environ. Health Sci. 38: 57-65 (2012) 

  30. Hedlund KO, Rubilar-Abreu E, Svensson L. Epidemiology of calicivirus infections in Sweden, 1994-1998. J. Infect. Dis. 181: 275-280 (2000) 

  31. Ho ECM, Cheng PKC, Lau AWL, Wong AH, Lim WWL. Atypical norovirus epidemic in Hong Kong during summer of 2006 caused by a new genogroup II/4 variant. J. Clin. Microbiol. 45: 2205-2011 (2007) 

  32. Kim EJ, Kim MS, Chae YZ, Cheon DS. Prevalence of human noroviruses detected from outbreaks of gastroenteritis patients in Seoul, Korea. Korean J. Microbiol. 48: 102-108 (2012) 

  33. Oh SA, Park SH, Ham HJ, Seung HJ, Jang JI, Suh SW, Jo SJ, Choi SM, Jeong HS.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norovirus and rotavirus in outbreak of acute gastroenteritis in Seoul. J. Bacteriol. 43: 307-316 (2013) 

  34. Kim NH, Park EH, Park YK, Min SK, Jin SH, Park SH. Study on Norovirus Genotypes in Busan, Korea. J. Life Sci. 21: 845-850 (2011) 

  35. Lopman BA, Adak GK, Reacher MH, Brown DW. Two epidemiologic atterns of norovirus outbreak; surveillance in england and wales, 1992-2000. Emerg. Infect. Dis. 9: 71-77 (2003) 

  36. Hedlund KO, Rubilar-Abreu E, Svensson L. Epidemiology of calicivirus infections in Sweden, 1994-1998. J. Infect. Dis. 181:275-280 (2000) 

  37. Kim YJ, Lee MG, Kam SK. Characteristics of norovirus occurrence in Jeju. J. Env. Sci. Intern. 23: 219-229 (2014) 

  38. Wobus CE, Thackray LB, Virgin HW. Murine norovirus: A model system to study norovirus biology and pathogenesis. J. Virol. 80: 5104-5112 (2006) 

  39. Moon A, Ahn J, Choi WS. Elution buffers for human enteric viruses in vegetables with applications to norovirus detection. J. Food Hyg. Saf. 28: 1229-1153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