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두경부암 병기 설정의 최신 변화: AJCC 암 병기설정 매뉴얼8판
Update of Head and Neck Cancer Staging in the 8th Edition Cancer Staging Manual of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원문보기

대한 두경부 종양 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v.33 no.2, 2017년, pp.9 - 15  

홍현준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국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두경부종양 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cently released the $8^{th}$ edition of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Staging Manual introduces significant modifications from the prior $7^{th}$ edition. In this paper, the contents of the new changes in the decision of cancer of the head and neck is sum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spx) 되면서 새로운 개념이 기존의 병기체계에 도입되었으며, 이로 인해 기존의 암 진료에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본 종설에서는 새롭게 변화된 사항 중에 두경부암 병기 결정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내용에서 두경부암 중, 피부암과 갑상선암의 병기 결정의 변화는 제외하였다.
  • 적절한 임상 및 병리학적 병기를 결정하는 것은 암의 진단, 치료와 연구의 중요한 과정이다. 해부학적 구조와 함께 기타 예후를 결정하는 인자를 포함한 기준에 기초하여 유사한 그룹화를 통해 병기를 분류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예후를 예측하는 것이 병기 결정의 목적이다. 수년간 대표적인 병기 결정 기준으로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Staging Manual 이 사용되어왔다(Table 1).

가설 설정

  • *Mucosal extension to lingual surface of epiglottis from primary tumors of the base of the tongue and vallecula does notconsti- tute invasion of the larynx.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절한 임상 및 병리학적 병기를 결정하는 것은 무엇에 중요한가? 적절한 임상 및 병리학적 병기를 결정하는 것은 암의 진단, 치료와 연구의 중요한 과정이다. 해부학적 구조와 함께 기타 예후를 결정하는 인자를 포함한 기준에 기초하여 유사한 그룹화를 통해 병기를 분류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예후를 예측하는 것이 병기 결정의 목적이다.
전이성 림프절의 피막 외 침범에 대한 임상적 결정이 영상검사 단독으로 판단하기 충분치 않기 때문에 추가되어야 하는 자료는? 전이성 림프절의 피막외 침범에 대한 임상적 결정을 위해서 영상검사 단독으로 판단하기 충분하지 않다. 신체 검사와 함께 (예를 들어 조직의 고정, 피부, 근육의 침범, 신경의 이상 등) 영상의학적 소견이 의해 뒷받침되는 명확한 ENE만을 ENE 양성으로 판단하도록 한다.5)병리학적인 피막외 침범은 간질 반응(stromal reaction)의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림프절 내에서 섬유막을 뚫고 주변 결합 조직으로의 암이 전이된 경우로 정의된다.
HR-HPV 검출을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HR-HPV 검출은 in situ hybridization (ISH)에 의해 조직에서 수행 할 수 있지만, 현재까지 비용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점, 많은 나라들에서 검사가 가능하지 않은 점, 그 외 다양한 문제로 보편적으로 사용하지는 않는다. 이에 종양 억제 단백질 p16 (cyclin-dependent kinase 2A)의 과발현이 HPV 관련 발암기전을 간접적으로 나타내 주는 지표 (biosurrogate marker)로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검사(immunohistochemistry)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Doescher J, Veit JA, Hoffmann TK. [The 8th edition of the AJCC Cancer Staging Manual : Updates in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HNO. 2017. 

  2. Haughey BH, Sinha P. Prognostic factors and survival unique to surgically treated p16+ oropharyngeal cancer. Laryngoscope. 2012;122 Suppl 2:S13-33. 

  3. Crescenzi D, Laus M, Radici M, Croce A. TNM classification of the oral cavity carcinomas: some suggested modifications. Otolaryngol Pol. 2015;69:18-27. 

  4. Wreesmann VB, Katabi N, Palmer FL, Montero PH, Migliacci JC, Gonen M, et al. Influence of extracapsular nodal spread extent on prognosi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Head Neck. 2016;38 Suppl 1:E1192-1199. 

  5. Prabhu RS, Magliocca KR, Hanasoge S, Aiken AH, Hudgins PA, Hall WA, et al. Accuracy of computed tomography for predicting pathologic nodal extracapsular extension in patients with headand- neck cancer undergoing initial surgical resection.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14;88:122-129. 

  6. Spiro RH, Huvos AG, Wong GY, Spiro JD, Gnecco CA, Strong EW. Predictive value of tumor thickness in squamous carcinoma confined to the tongue and floor of the mouth. Am J Surg. 1986;152:345-350. 

  7. Faraji F, Eisele DW, Fakhry C. Emerging insights into recurrent and metastatic human papillomavirus-related or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Laryngoscope Investig Otolaryngol. 2017;2:10-18. 

  8. Husain ZA, Chen T, Corso CD, Wang Z, Park H, Judson B, et al. A Comparison of Prognostic Ability of Staging Systems for Human Papillomavirus-Related Or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JAMA Oncol. 2017;3:358-365. 

  9. Kwon HJ, Brasch HD, Benison S, Marsh RW, Itinteang T, Titchener GW, et al. Changing prevalence and treatment outcomes of patients with p16 human papillomavirus related or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New Zealand. Br J Oral Maxillofac Surg. 2016;54:898-903. 

  10. Rettig EM, Wentz A, Posner MR, Gross ND, Haddad RI, Gillison ML, et al. Prognostic Implication of Persistent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DNA Detection in Oral Rinses for Human Papillomavirus-Related Oropharyngeal Carcinoma. JAMA Oncol. 2015;1:907-915. 

  11. Chaturvedi AK, Engels EA, Pfeiffer RM, Hernandez BY, Xiao W, Kim E, et al. Human papillomavirus and rising oropharyngeal cancer incidence in the United States. J Clin Oncol. 2011;29:4294-4301. 

  12. Mehanna H, Jones TM, Gregoire V, Ang KK. Oropharyngeal carcinoma related to human papillomavirus. BMJ. 2010;340:c1439. 

  13. Thomas J, Primeaux T. Is p16 immunohistochemistry a more cost-effective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human papilloma virus-associated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Ann Diagn Pathol. 2012;16:91-99. 

  14. Dufour X, Beby-Defaux A, Agius G, Lacau St Guily J. HPV and head and neck cancer. Eur Ann Otorhinolaryngol Head Neck Dis. 2012;129:26-31. 

  15. Schlecht NF, Brandwein-Gensler M, Nuovo GJ, Li M, Dunne A, Kawachi N, et al. A comparison of clinically utilized human papillomavirus detection methods in head and neck cancer. Mod Pathol. 2011;24:1295-1305. 

  16. Lassen P, Eriksen JG, Krogdahl A, Therkildsen MH, Ulhoi BP, Overgaard M, et al. The influence of HPV-associated p16-expression on accelerated fractionated radiotherapy in head and neck cancer: evaluation of the randomised DAHANCA 6&7 trial. Radiother Oncol. 2011;100:49-55. 

  17. Keller LM, Galloway TJ, Holdbrook T, Ruth K, Yang D, Dubyk C, et al. p16 status, patholog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biomolecular signature, and long-term outcome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s of unknown primary. Head Neck. 2014;36:1677-1684. 

  18. Motz K, Qualliotine JR, Rettig E, Richmon JD, Eisele DW, Fakhry C. Changes in Unknown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at Initial Presentation in the Era of Human Papillomavirus. JAMA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6;142:223-228. 

  19. Lydiatt WM, Patel SG, O'Sullivan B, Brandwein MS, Ridge JA, Migliacci JC, et al. Head and Neck cancers-major changes in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eighth edition cancer staging manual. CA Cancer J Clin. 2017;67:122-137. 

  20. Huang SH, O'Sullivan B. Overview of the 8th Edition TNM Classification for Head and Neck Cancer. Curr Treat Options Oncol. 2017;18:40. 

  21. Mirzamani N, Salehian P, Farhadi M, Tehran EA. Detection of EBV and HPV in nasopharyngeal carcinoma by in situ hybridization. Exp Mol Pathol. 2006;81:231-234.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