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잎 첨가가 제빵 특성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tus leaf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read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2, 2017년, pp.266 - 273  

박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능성 제빵 소재로써 연잎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연잎 분말을 1, 2 및 3%를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면서 제빵 특성 및 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연잎 분말의 조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10.68, 3.40 및 22.31%로 나타났으며, 연잎 분말 95% 에탄올 추출물 1%(w/v) 농도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270.85{\mu}g/mL$였으며, 0.1%(w/v)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90.1%를 나타내었다. 연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과 식빵의 pH는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다. 반죽의 부패 팽창도는 LLP-1과 대조구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연잎 분말 첨가 식빵의 굽기 손실률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 식빵의 무게는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부피는 감소하였다. 식빵의 경도는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도 높았다. 연잎 분말 첨가 식빵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7.08-40.13%와 $615.01-885.13{\mu}g/mL$의 범위를 나타내어 대조구에 (9.26% 및 $472.20{\mu}g/mL$)에 비해 높았으며,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연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가 3.6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LLP-1(3.56)으로 나타났으나, 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식빵의 기능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연잎 분말은 1% 첨가하였을 때가 가장 적당하다고 판단되며, 최대 2%를 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bread containing lotus leaf powder (in ratios of 0, 1, 2, and 3% of the total flour). The pH of dough and bread were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lotus leaf powder increased. The volume of doug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연잎을 이용한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연잎의 지질 저하효과(1,5), 연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6)와 항균효과(7), 연근, 연잎, 조릿대의 대사성 질환 완화 작용(8) 등이 있으며, 식품에 이용한 연구로는 연꽃과 연잎으로 제조한 연엽주(9), 연잎차(10), 연잎 절편(11), 연잎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12,13), 어묵(14), 국수(15) 등에 대한 연구가 있으나, 연잎 분말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의 예는 아직 드문 실정이다.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연잎의 이용분야 확대 및 다양한 식빵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잎분말을 밀가루 대신 일정비율로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면서 연잎분말이 제빵 특성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이란 무엇인가? 연(Nelumbo nucifera)은 수생식물 중 부엽식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로써 꽃은 관상용과 차제(茶劑)로 이용되어 왔으며, 잎과 뿌리는 식용하여 왔다(1). 연잎은 하엽이라 하여 맛이 쓰고 성질이 유하며 예로부터 출혈성 위 궤양이나 위염, 치질, 출혈, 설사, 두통, 어지럼증, 토혈, 산후 어혈치료 야뇨증, 해독작용에 쓰며, 민간치료제로도 사용되어 왔다(2).
연잎 분말 첨가 식빵 제조 시, 식빵의 기능적 특성, 관능적 특성을 고려했을 때 적당한 연잎 분말 첨가량은? 05). 식빵의 기능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연잎 분말은 1% 첨가하였을 때가 가장 적당하다고 판단되며, 최대 2%를 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민간치료제로써 연잎이 효능을 보이는 병징은? 연(Nelumbo nucifera)은 수생식물 중 부엽식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로써 꽃은 관상용과 차제(茶劑)로 이용되어 왔으며, 잎과 뿌리는 식용하여 왔다(1). 연잎은 하엽이라 하여 맛이 쓰고 성질이 유하며 예로부터 출혈성 위 궤양이나 위염, 치질, 출혈, 설사, 두통, 어지럼증, 토혈, 산후 어혈치료 야뇨증, 해독작용에 쓰며, 민간치료제로도 사용되어 왔다(2). 연잎에서 분리된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nelumboside, nuciferine, coclaurine 등의 alkaloid류, gallic acid와 methyl gallate 등의 aromatic acid류 및 quercetin, isoquercitrin, hyperoside, rutin, kaempferol 등의 flavonoid류가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im SB, Rho SB, Rhyu DY, Kim DW (2005)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on hyperlpidemic and atherosclerotic bio F1B hamster. Kor J Pharmacogn, 36, 229-234 

  2. Kong MH, Yeo SH, Choi JH, Choi HS, Jeong ST (2011) Characteristics of the Yakju fermented with differentlyprocessed lotus lea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911-917 

  3. Cho EJ, Yokozawa T, Rhyu DY, Kim SC, Shibahara N, Park JC (2003) Study on the inhibitory effects of Korean medicinal plants and their main compounds on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Phytomedicine, 10, 544-551 

  4. Kashiwada Y, Aoshima A, Ikeshiro Y, Chen YP, Furukawa H, Itoigawa M, Fujioka T, Mihashi K, Cosentino LM, Morris-Natschke SL, Lee KH (2005) Anti-HIV benzylisoquinoline alkaloids and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Nelumbo nucifera, and structure-activity correlations with related alkaloids. Bioorg Med Chem, 13, 443-448 

  5. Shin MK, Han SH (2006) Effect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leaf powder on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diet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 202-208 

  6. Lee KS, Kim MG, Lee KY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82-186 

  7. Lee KS, Oh CS, Lee KY (2006) Antimicrobial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19-223 

  8. Ko BS, Jun DW, Jang JS, Kim JH, Park SM (2006) Effect of Sasa Borealis and white lotus roots and leaves on insulin action and secretion in vitro.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14-120 

  9. Lee HK, Choi YM, Noh DO, Suh HJ (2005) Antioxidant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lotus liquor (Yunyupju). Int J Food Sci Technol, 40, 709-715 

  10. Kim DC, Kim DW, In MJ (2006) Preparation of lotus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163-164 

  11. Han KY,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leaf Jeolpyu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604-1611 

  12.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tteok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433-442 

  13. Son KH, Park DY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 prepared using different amounts of mulberry leaf powder and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977-986 

  14. Shin Y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paste containing lotus (Nelumbo nucifera) leaf powder. Koran J Food Cookery Sci, 23, 947-953 

  15. Baek WH (2008) Physic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ate of lotus leaf powder and extract. Master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Korea, p 1-45 

  16. MFDA (2002) Food Standard Codex.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won, Korea, p 301 

  17.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0. Bae JY, Park LY, Lee SH (2008)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on making wheat flour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08-913 

  21. Chung HC, Lee JT, Kwon OJ (2004)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G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201-1205 

  22. Kim HY, Oh MS (2001) Comparisons of bread baking properties using domestic and imported flour and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Korean J Dietary Culture, 16, 27-32 

  23. Kim EJ, Kim SM (1998)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42-547 

  24. Yu SK, Shin YM Kim MR (200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 substituted with green barley. Chungnam J Human Ecology, 19, 64-71 

  25. Lee KS, Kwon YJ, Lee KY (2008)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vitamin, mineral and antioxidative effect of the lotus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622-1626 

  26. Jo KH, Pae YR, Yang EJ, Park EJ, Ma SJ, Park YS, Chung DO, Jung ST (2006) Major constituents and bioactivities of tea products by various manufacturing. Korean J Food Preserv, 13, 596-602 

  27. Yang HC, Heo NC, Choi KC, Ahn YJ (2007) Nutritional composition of white-flowered and pink-flowered lotus in different par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14-19 

  28. Bing DJ, Chun SS (2013) Quality and consumer perception of white bread baked with Hallabong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306-312 

  29. Yoon MH, Jo JE, Kim DM, Kim KH, Yook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J Korea Soc Food Sci Nutr, 39, 1340-1345 

  30. Tae MH, Kim KH, Yook HS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burdock (Arctum lappa L.)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826-1831 

  31. Hong SY, Shin G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garlic powder. Korean J Food Nutr, 21, 485-491 

  32. Bae JH, Woo HS, Choi HJ, Choi C (2001) Qualities of bread added with Korean persimmon (Diospyros kaki L. folium) leaf powder. J Koean Soc Food Sci Nutr, 30, 882-887 

  33. Shittu TA, Raji AO, Sanni LO (2007) Bread from composite cassava-wheat flour: I. effect of baking time and temperature on some physical properties of bread loaf. Food Res Int, 40, 280-290 

  34. Jung DS, Lee FZ, Eun JB (2002) Quality properties of bread made of wheat flour and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32-237 

  35. Bae JH, Woo HS, Choi HJ, Choi C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bread added with onion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24-1128 

  36. Pomeranz Y, Shogren MD, Finney KF, Bechtel DB (1977) Fiber in breadmaking-effects on functional properties. Cereal Chem, 54, 25-41 

  37. He H, Hoseney RC (1992) Effect of the quantity of wheat flour protein on bread loaf volume. Cereal Chem, 69, 17-19 

  38. Im MH (2011) Growth characteristics and major nutrient component of white lotus cultivated in Muan. Ph D.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Korea, p 50 

  39. Yook HS, Kim YH, Ahn HJ, Kim DH, Kim JO, Byun MW (2000)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and qualities of bread prepared with dietary fiber purified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378-395 

  40. Park CH, Hur JM, Song KS, Park JC (2007) Phenolic compoungds from the leaves of Nelumbo nucifera showing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Kor J Pharmacogn, 38, 263-269 

  41. Yoon HS, Kim JW, Kim SH, Kim YG, Eom H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Aronia powder (Aronia melanocarp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73-280 

  42. Park LY (2015) Effect of Houttuynia cordata Thumb.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Korea J Food Sci Technol, 47, 75-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