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원 대상 학교안전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분석
A Needs Assessment for Teachers' School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0 no.1, 2017년, pp.70 - 80  

황영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강형구 (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Recently, various accidents and incidents occurred in our school environment, making it necessary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y in school safety management.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eeds of teachers related to school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development.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원을 대상으로 한 요구 분석을 통해 교원의 학교안전관리 역량 함양을 위해 요구되는 내용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교원의 학교안전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우선순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기존 Yang 등[3]의 연구에서 수행된 학교 안전지도사 직무분석 결과의 수정 ․ 보완을 통해 학교안전을 위한 교원의 직무역량을 도출하였고, 현장교원을 대상으로 요구도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원 대상 집체 연수과정의 특징은? 이상의 교원 대상 집체 연수과정의 특징을 살펴보면 대상 측면에서는 중앙부처의 경우 교장, 교감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교육청의 경우에는 안전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교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 공공기관에서는 학교현장에 근무하는 다양한 대상별 교육과정을 개설 중에 있었다.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현장에서도 교육청은 물론 민간 기관 또한 교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현재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현장에서도 교육청은 물론 민간기관 또한 교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수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안전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응급처치와 재난안전 등 일부 단일 과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거나 학교안전 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과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심지어 직무연수 이수시간을 충족시키기 위해 원격형태의 강의를 이수하는 교원이 전체 이수자의 50%를 상회하며 그 실효성에도 논란이 일고 있다 [2]. 이는 학교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안전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지 못한 채 지엽적인 측면에서 무분별하게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함에 따른 것으 로 볼 수 있다.
최근 학생과 학교현장을 둘러싸고 각종 사고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 몇 년간 태안 해병대 캠프 실종사고(13.07),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14.02), 세월호 침몰 사고(14.04) 등 학생과 학교현장을 둘러싸고 각종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학교를 둘러싸고 발생하는 사고는 이러한 재난사건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inistry of Education. Plan for prevention of accidents on school. Sejong: Ministry of Educationl; 2015. p. 9-10 

  2. Hwnag SY. Safety program for teacher's training is poor: 57% on-line training [Internet]. Daegu: Maeil Internet News; 2016 [Cited 2017 December 23] Available from: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45826&yy2016 

  3. Yang SS, Lee DW, Lee SJ, Park HJ, Jung PW, Lee NS. A Study on the Plan for Introduction of School Safety Manager Qualification. Research Paper. Chungbuk, Korea: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5 January. Report No.:CR 2015-5. 

  4. Ministry of Educati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ternet]. Chungbuk: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5. [Cited 2016 July 03]. Available from: http://kess.kedi.re.kr/publ/view?survSeq2016&publSeq2&menuSeq0&itemCode02&languageen 

  5. Cho DY. Exploring how to set priority in need analysis with survey.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009;35(8):165-187. 

  6. Song HD, Jang SY, Kim YK. An need assessment of faculty member's job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ing experience.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13;14(4):149-179. http://dw.doi.org/10.15753/aje.2013.14.4.007 

  7. Cho IS, Jung PW. A critical analysis of safety education in school. Journal of Human Rights & Law-related Education. 2015;8(2):43-64. 

  8. Ministry of Education. Measures against the safety on educational part.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4. p. 4-5. 

  9.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chool safety management plan. Gyeonggi: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14. p. 45-158. 

  10. Lee DW, Hwang YA, Lee CH, Kang HG, Kim BR. A study on implementation plan of qualification system. research paper. Seoul: School Safety and Insurance Federation; 2015 November. Report No:2015-05. 

  11. Witkin BR, Altschuld JW. Planning and conducting needs assessments: A practical guide.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5. p. 1-19. 

  12. Choi JI. A Practical Guide of Needs Assessment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Seoul: Hakjisa; 2002. p. 11-22. 

  13. Shin SC. Actual situations and measures of safety education of Korean elementary school: In Comparison with Japan. Journal of Koran Society for Youth Protection and Guidance. 2014;21(4):77-104. 

  14. Lee M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safety concerns affecting students' safety behaviorsof elementary schools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5;22(4):41-56. 

  15. School Safety and Insurance Federation. 2016 Manager training book for safe school. Seoul: School Safety and Insurance Federation; 2016. p.1-238. 

  16. National Civil Defense and Diseaster Management Training Institute. 2017 Training plan. [Internet]. Cheonan: National Civil Defense and Diseaster Management Training Institute; 2017 [cited 2017 January 14]. Available from: http://www.ndti.go.kr/1/2/list.asp?s_edukind12 

  17. Lee DW, Hwang YA, Kim BR, Kang HG. Developing curriculum of continuing education for field trip's safety staff. Research paper.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2016 August. Report No: BD-1608-0001. 

  18. National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2017 Training plan. [Internet]. Daegu: National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2017 [cited 2017 March 19]. Available from: http://www.neti.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