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진촬영을 이용한 1회 섭취 분량 추정의 타당도 연구
Evaluation of a Dietary Assessment Method Using Photography for Portion Size Estimation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2 no.2, 2017년, pp.162 - 173  

손혜린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전공) ,  이승민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길진모 (호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portion size estimation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errors of food and macronutrient intake by photography estimation and 24-hour recall from weighing method. A total of 28 female participants aged 20-24 years old were provided a meal that included rice, chard 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진추정법을 이용한 식이섭취조사법과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측정오차를 비교하여 식이조사방법의 새로운 도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20-24세의 여성 28명이었으며, 각 대상자에게 쌀밥, 근대된장국, 오징어볶음, 잡채, 어묵볶음, 상추겉절이, 김치로 구성된 한 끼의 식사를 제공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성인 여성에게 한 끼의 식사를 제공하고, 이의 섭취량을 실측법, 24시간 회상법, 사진추정법의 세 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여 실측법과 사진추정법 간, 실측법과 24시간 회상법 간의 측정오차를 비교하여 사진추정법에 대한 식이섭취조사방법의 새로운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진추정법에 의한 식이섭취조사의 장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식이섭취조사에 사진을 이용하게 되면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언제나 조사대상자 스스로 식사에 대한 사진을 찍어 기억력으로 인한 오차를 줄이는 등 기존의 식사섭취조사 방법의 제한점을 극복하고, 사진을 전송하여 전문가가 음식의 종류와 양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편리하게 대상자의 식사 섭취량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식이섭취조사를 시행하고 있는 분야는 무엇인가? 특히,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은 비만, 식이요인, 운동부족, 음주, 흡연 등이 위험인자로 보고되고 있으며(Willet 1998), 그 중 식이요인 관련 연구는 만성질환의 예방에 매우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식이섭취조사는 만성질환 관련 식이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부의 영양정책 수립,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소 권장기준 제시, 영양판정을 통한 식이중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항목이다. 이에 일상적인 음식의 종류와 양을 정확히 파악하여 개인이나 집단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한 식이섭취조사가 빈번하게 실시되고 있으나, 조사결과는 여전히 상당한 범위의 오류를 내재하고 있다.
만성질환의 위험인자는 무엇인가? 최근 10여 년 동안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은 암, 심장 및 뇌혈관 질환,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6). 특히,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은 비만, 식이요인, 운동부족, 음주, 흡연 등이 위험인자로 보고되고 있으며(Willet 1998), 그 중 식이요인 관련 연구는 만성질환의 예방에 매우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식이섭취조사는 만성질환 관련 식이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부의 영양정책 수립,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소 권장기준 제시, 영양판정을 통한 식이중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항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lock G. 1982. A review of validation of dietary assessment methods. Am. J. Epidemiol., 115(4):492-505 

  2. Chang UJ, Ko SA. 2007. A study on the dietary intake survey method using a cameraphone. Korean J. Community Nutr., 12(2):198-205 

  3. Foster H, Walsh MC, Gibney MJ, Brennan L, Gibney ER. 2016. Personalized nutrition: the role of new dietary assessment methods. Proc. Nutr. Soc., 75:96-105 

  4. Gemming L, Utter J, Mhurchu CN. 2015. Image-assisted dietary assessment: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J.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115(1):64-77 

  5. Kim HW, Kang MH, Yang EJ, Lee HS. 2013. Nutrition Assessment. Kyomoonsa, Kyonggi-do. pp 28-59 

  6. Kim YY, Kim MH, Choi MK. 2015. Validation of nutrient intake estimation based on one serving size. Korean J. Food Nutr., 28(5):871-879 

  7. Kwon JS, Kim KM, Kim KH. 2010. A study on application of food photographs for estimating individuals' dietary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15(6):760-775 

  8. Lee JE, Ahn YJ, Kim KC, Park C. 2004. Study on th associations of dietary variety and nutrition intake level by the number of survey days. Korean J. of Nutr., 37(10):908-916 

  9. Livingstone MB, Robson PJ, Wallace JM. 2004. Issues in dietary intake assess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British J. of Nutr., 92(Suppl. 2):S213-S222 

  10. Martin CK, Correa JB, Han H, Allen HR, Rood J, Champagne CM, Gunturk BK, Bray GA. 2012. Validity of the remote food photography method(RFPM) for estimating energy and nutrient intake in near real-time. Obesity 20(4):891-899 

  11. Ptomey LT, Willis EA, Honas JJ, Mayo MS, Washburn RA, Herrmann SD, Sullivan DK, Donnelly JE. 2015. Validity of energy intake estimated by digital photpgraphy plus recall in overweight and obese young adults. J. Acad. Nutr. Diet., 115(9):1392-1399 

  12. Rumpler WV, Kramer M, Rhodes DG, Moshfegh AJ, Paul DR. 2008. Identifying sources of reporting error using measured food intake. Eur. J. Clin. Nutr., 62(4):544-552 

  13. Shankar AV, Gittelsohn J, Stallings R, West KP Jr, Gnywali T, Dhungel C, Dahal B. 2001. Comparison of visual estimates of children's portion sizes under both sharedplate and individual-plate conditions. J. Am. Diet. Assoc., 101(1):47-52 

  14. Sharp DB, Allman-Farinelli M. 2014. Feasibility and validity of mobile phones to assess dietary intake. Nutrition 30(11-12):1257-1266 

  15. Subar AF, Crafts J, Zimmerman TP, Wilson M, Mittl B, Islam NG, Mcnutt S, Potischman N, Buday R, Hull SG, Baranowski T, Guenther PM, Willis G, Tapia R, Thompson FE. 2010. Assessment of the accuracy of portion size reports using computer-based food photographs aids in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ed self-administered 24-hour recall. J. Am. Diet. Assoc., 110(1):55-64 

  16. Turconi G, Guarcello M, Berzolari FG, Carolei A, Bazzano R, Roggi C. 2005. An evaluation of a colour food photography atlas as a tool for quantifying food portion size in epidemiological dietary surveys. Eur. J. Clin. Nutr., 59(8):923-931 

  17. Wang DH, Kogashiwa M, Kira S. 2006.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for evaluating individual's dietary intake. J. Am. Diet. Assoc., 106(10):1588-1593 

  18. Willet W. 1998. Nutritional Epidemiology. 2 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 Williamson DA, Allen HR, Martin PD, Alfonso AJ, Gerald B, Hunt A. 2003. Comparison of digital photography to weighed and visual estimation of portion sizes. J. Am. Diet. Assoc., 103(9):1139-1145 

  20. Yum J, Lee S. 2016.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web-bas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1(5):440-450 

  21. Statistics Korea. 2016.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16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accessed 2017.0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