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인공지반 교목의 탄소저장량 변화
Simulating Carbon Storage Dynamics of Trees on the Artificial Ground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2, 2017년, pp.11 - 22  

유수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송기환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박사무엘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김세영 (한국농어촌공사 전북지역본부 사업계획부) ,  전진형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탄소 도시 실현의 대안으로써 저탄소경관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다중 스케일 차원에서 디자인 요소들의 동태성을 이해해야 하며, 탄소 저장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인공지반 교목의 탄소저장량 변화를 장기적인 측면에서 시뮬레이션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의 과정은 인과지도를 통해 다중 스케일 측면에서 탄소순환의 동태성을 분석하고, 강남구청 본관 옥상공원의 탄소저장량에 대하여 2008년, 2018년, 2028년, 2038년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반 교목과 도시 탄소순환 탄소저장량의 관계에 대한 인과지도 분석결과, 다중 스케일간의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시뮬레이션 모델의 주요변수는 '바이오매스', '탄소저장량', '고사유기물', '탄소흡수량'이 선정되어 모델에 활용되었으며, 적합도$R^2=0.725$(p<0.05)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뮬레이션 모델 결과, 인공지반 교목의 탄소저장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종의 순위가 다양하게 변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홍단풍, 소나무, 자작나무와 같은 수종을 강남구청 본관 옥상공원의 탄소저장량 향상을 위한 수종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저탄소경관 계획 시 식재계획의 기준안 또는 수종 선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uccessfully create a low-carbon landscape in order to become a low-carbon ci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artificial greening's resources on a multi-scale. Additionally, the effects of carbon storage should be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인공지반에 식재되는 교목은 탄소저장 능력이 우수하여 도시내 탄소흡수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내 저탄소경관을 창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공지반 탄소저장 시스템의 동태성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수종별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정량적 데이터로 도출하기 위하여 강남구청 본관 옥상공원을 대상으로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인과지도를 통해 옥상녹화 교목의 탄소저장량과 도시 탄소순환 시스템의 동태성을 분석한 결과, 다중 스케일 측면에서 교목의 탄소저장량 변화는 옥상녹화와 같은 작은 공간부터 대기 중 탄소량까지 영향을 주는 피드백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과지도 결과를 바탕으로 ‘바이오매스’, ‘탄소저장량’, ‘고사 유기물’, ‘탄소흡수량’과 같은 모델 변수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중 스케일 차원에서 저탄소경관을 조성하기 위하여 옥상녹화 중에서도 도시공원 내 인공지반의 환경과 가장 유사하게 조성될 수 있는 혼합형 및 중량형 옥상녹화의 교목을 대상으로 탄소저장량을 산정하였다. 구체적인 대상지는 2008년 준공된 강남구청 본관 옥상공원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중 스케일 측면에서 인공지반 교목의 탄소 저장량과 도시의 탄소순환 관계에 대한 시스템 범위를 설정하고 동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첫째, 교목 및 고사 유기물 축적에 의한 탄소저장량 기작과 관련된 문헌을 분석하였다. 둘째, 공간 스케일에서 인공지반의 탄소저장 능력이 대기 중 탄소량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 , 1998).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공지반 교목의 수종별 탄소저장량과 고사 유기물에 의한 탄소흡수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관련 수식을 고찰하고, 모델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다중 스케일 차원에서 인공지반 교목 식재 사례로 옥상녹화를 선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전제하에 관련 수식을 탐색하였다.
  • 또한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질적방법과 양적방법을 융합한 방법론으로, 질적방법으로써 인과지도 작성을 통한 시스템의 동태성 분석 단계가 있으며, 양적방법으로써 시뮬레이션 모델링 단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과정에 따라 옥상녹화 수목의 탄소저장량 변화를 시뮬레이션 평가하고자 하였다. 첫째, 옥상녹화 교목의 탄소저장능력이 다중 스케일 차원에서 도시의 탄소순환과 어떠한 인과순환 관계를 형성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Vensim PLEx32를 활용하여 인과지도를 작성하고, 모델에 적용 가능한 변수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 스케일 차원에서 저탄소경관 창출을 위해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하여 인공지반 교목이 가지고 있는 탄소순환 시스템의 동태성을 분석하고, 탄소저장량 변화를 장기적인 측면에서 시뮬레이션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의 세부 목적은 첫째, 다중 스케일 차원에서 시간변화에 따른 인공지반 교목과 토양의 탄소저장관계에 대해 시스템 사고로 분석한 뒤, 컴퓨터 모델링을 위한 변수를 도출하는 것이다.
  • 둘째, 도출된 변수를 바탕으로 인공지반 교목 탄소저장량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셋째, 장기적인 측면에서 인공지반 교목의 수종별 탄소저장량 변화를 시뮬레이션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공지반 교목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탄소저장량 변화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다중 스케일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저탄소경관을 창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종을 선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 스케일 차원에서 저탄소경관 창출을 위해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하여 인공지반 교목이 가지고 있는 탄소순환 시스템의 동태성을 분석하고, 탄소저장량 변화를 장기적인 측면에서 시뮬레이션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의 세부 목적은 첫째, 다중 스케일 차원에서 시간변화에 따른 인공지반 교목과 토양의 탄소저장관계에 대해 시스템 사고로 분석한 뒤, 컴퓨터 모델링을 위한 변수를 도출하는 것이다. 둘째, 도출된 변수를 바탕으로 인공지반 교목 탄소저장량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첫째, 인공지반 교목의 식재 초기에는 자연지반과 생장률에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제한다(Cho, 2010; Suchocka, 2013). 둘째, 인공지반과 자연지반 토양의 품질 수준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Kang et al., 20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리협정이 시사하는 장기목표는? 신기후체제를 알리는 파리협정에서는 과학적 기반을 바탕으로 완화와 적응에 초점을 맞추며 저탄소 배출과 기후 탄력적 개발이라는 장기 목표를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응하여 우리 사회는 저탄소 도시를 실현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및 사업들을 진행해오고 있다. 특히 조경공간은 다양한 식물재료와 토양재료를 활용하여 옥상녹화에서부터 공원 및 도시 전반의 녹지체계까지 다중 스케일의 저탄소경관을 제공하고 있다(Demuzere et al.
저탄소경관이란? , 2014). ‘저탄소경관’이란 탄소저장량을 증가시켜줄 수 있는 요소들로 이루어진 경관을 의미하며(Kim et al., 2010; Zhang and Sui, 2010; Beringer et al.
저탄소경관으로 사용되는 교목의 역할은? 저탄소경관은 다중 스케일 차원에서 기후변화 시대에 저탄소 도시를 실현시킬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다. 특히 인공지반에 식재되는 교목은 탄소저장 능력이 우수하여 도시내 탄소흡수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내 저탄소경관을 창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공지반 탄소저장 시스템의 동태성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수종별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정량적 데이터로 도출하기 위하여 강남구청 본관 옥상공원을 대상으로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hn, G. Y., S. W. Han and E. H. Lee(2011) The analysis of instantaneous $CO_2$ uptake and evapotranspiration of herbaceous plants for artificial roof greening.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1): 91-101. 

  2. Bennett, E., G. Cumming and G. Peterson(2005) A systems model approach to determining resilience surrogates for case studies. Ecosystems 8(8): 945-957. 

  3. Beringer, J., L. B. Hutley, J. M. Hacker, B. Neiniger and U. K. T. Paw (2011) Patterns and processes of carbon, water and energy cycles across northern Australian landscapes: From point to region.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1(11): 1409-1416. 

  4. Bianchini, F. and K. Hewage(2012) How "Green"are the green roofs? lifecycle analysis of green roof materials. Building and Environment 48: 57-65. 

  5. Castleton, H. F., V. Stovin, S. B. M. Beck and J. B. Davison(2010) Green roofs; building energy savings and the potential for retrofit. Energy and Buildings. 42: 1582-1591. 

  6. Cho, S. H.(2010) Comparative Study on the Growth Condition of Landscape Woody Plants according to the Ground Structure of Apart- ment Complex, Incheon, Kore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Korea. 

  7. Choi, H. S., K. G. Kim and S. Y. Hong(2004) A study of selecting target species for rooftop greening construction from urban ecological network point of view.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3): 18-31. 

  8. Costanza, R., D. Duplisea and U. Kautsky(1998) Ecological modelling on modelling ecological and economic systems with stella. Ecological Modelling 110: 1-4. 

  9. Currie, B. A. and B. Bass(2008) Estimates of air pollution mitigation with green plants and green roofs using the UFORE model. Urban Ecosystem 11(4): 409-422. 

  10. Demuzere, M., K. Orru, O. Heidrich, E. Olazabal, D. Geneletti, H. Orru, A. G. Bhave, N. Mittal, E. Feliu and M. Faehnle(2014) Mitigating and adapting to climate change: Multi-functional and multi-scale assessment of green urban infrastruc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46: 107-115. 

  11. Duran, E. J. A. and C. A. Paucar(2009) System dynamics urban sustainability model for puerto aura in Puebla, Mexico. Systemic Practice and Action Research 22: 77-99. 

  12. Fong, W. K., H. Matsumoto and Y. F. Lun(2009) Application of system dynamics model as decision making tool in urban planning process toward stabilizing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cities. Building and Environment 44: 1528-1537. 

  13. Forrester, J. W.(1961) Industrial Dynamics. Cambridge: The MIT Press. 

  14. Gangnam-gu Office(2008) Plant Lists of Rooftop Park. Planting Plan Map. 

  15. Guo, H. C., L. Liu, G. H. Huang, G. A. Fuller, R. Zou and Y. Y. Yin(2001) A system dynamics approach for regional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A study for the lake Erhai Basi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1: 93-111. 

  16. Han, J., Y. Hayashi, X. Cao and H. Imura(2009) Application of an integrated system dynamics and cellular automata model for urban growth assessment: A case study of Shanghai, Chi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1(3): 133-141. 

  17. Jeong, M., S. W. Han, J. S. Kim and J. S. Song(2013) Selection of native herbal plants capable to survive year-round in roof garden adopting extensive green roof system in the central district of Korea. Flower Research Journal 21(4): 172-181. 

  18. Jim, C. Y. and S. W. Tsang(2011) Ecological energetics of tropical intensive green roof. Energy and Buildings 43: 2696-2704. 

  19. Jo, H. K. and T. W. Ahn(2000) Indicators of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tree growth in natural ecosyste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14(3): 175-182. 

  20. Kang, M. S., E. Y. Lee, J. M. Lee, and M. N. Kim(2015) Improvement of soil quality for artificial planting’s ground with large integrated underground parking lot in apartment complex. LHI Journal 6(1): 31-39. 

  21. Korea Environment Institute(2009) Low Carbon Land­Use Planning Strategies Taking into Account Carbon Sinks such as Vegetation and Soils (I). Research Report to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2. Korea Environment Institute(2010) Low Carbon Land Use Planning Strategies Taking into Account Carbon Sinks such as Vegetation and Soils (II). Research Report to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3. Kim, J. and Y. Nam(2014) A study on the planning factors of domestic and foreign carbon neutral city for carbon reduction.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9(10): 103-112. 

  24. Kim, D. H.(2000) A simulation method of causal maps: NUMER.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1(2): 91-111. 

  25. Kim, D. H., T. H. Moon and D. H. Kim(1999) System Dynamics. Seoul: Daeyoung. 

  26. Kim, W., W. Kim, Y. Byun and J. Kim(2010) A Study on Ensuring Carbon Reservoir and Reducing Carbon Emissions Plan. Research Report to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7. Lee, G. G.(2003) Sustainability Indicators of Greenspace in Apartment Sites. Ph. 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8. Lee, H. S. and H. M. Kang(2009) Inside Statistic Analysis & SPSS. Paju: Idambooks. 

  29. Lee, S. J., G. S. Park, D. K. Lee, S. W. Jang, H. G. Lee and H. W. Park(2015) A comparative study on carbon storag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tion soil for extensive green rooftop used in Korea.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1): 115-125. 

  30. Matlock, M. D. and R. A. Morgan(2011) Ecological Engineering Design: Restoring and Conserving Ecosystem Services. New Jersey: Wiley & Sons. 

  31. McPherson, E. G. and P. J. Peper(2012) Urban tree growth modeling. Arboriculture and Urban Forestry 38(5): 172-180. 

  32. Mesimakia, M., K. Hauru, D. J. Kotze and S. Lehvavirta(2016) Neo-spaces for urban livability? Urbanites'versatile mental images of green roofs in the Helsinki metropolitan area, Finland. Land Use Policy 61:587-600. 

  33. Moon, T. H.(2007) A Sustainable City through System Thinking. Paju: Jipmoon. 

  34. Oberndorfer, E., J. Lundholm, B. Bass, R. R. Coffman, H. Doshi, N. Dunnett, S. Gaffin, M. Kohler, K. K. Y. Liu and B. Rowe(2007) Green roofs as urban ecosystems: Ecological structures, functions, and services. BioScience 57(10): 823-833. 

  35. Orsini, F., D. Gasperi, L. Marchetti, C. Piovene, S. Draghetti, S. Ramazzotti, G. Bazzocchi and G. Gianquinto(2014) Exploring the production capacity of rooftop gardens(Rtgs) in urban agriculture: The potential impact on food and nutrition security, biodiversity and other ecosystem services in the city of bologna. Food Security. 6(6): 781-792. 

  36. Park, E. J. and K. Y. Kang(2010) Estimation of C storage and annual $CO_2$ uptake by street trees in Gyeonggi-d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5): 591-600. 

  37. Park, C. W., J. Lee, M. Yi, C. Kim, G. S. Park, R. H. Kim, K. H. Lee and Y. Son(2013) Estimation of change in soil carbon stock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 using KFSC model under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Climate Change Research 4(2): 77-93. 

  38. Park, H. S., K. Oh and S. Lee(2014) Analysing effects of $CO_2$ absorption capability through enhanc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7(4): 1-23. 

  39. Pineiro, G., S. Perelman, J. P. Guerschman and J. Paruelo(2008) How to evaluate models: Observed vs. predicted or predicted vs. observed?. Ecological Modelling 216: 316-322. 

  40. Riwako, T., Y. J. Kim, H. K. Ryoo and D. K. Lee(2014) Analyzing the influence of biomass and vegetation type to soil organic carbon.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1): 123-134. 

  41. Seoul(2011) Green Roof System Standard Detailing Manual. Research Report to Seoul. 

  42. Stave, K. A.(2002) Using system dynamics to improve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decisions. System Dynamics Review 18(2): 139-167. 

  43. Suchocka, M.(2013) Structural soils and other ways of facilitating tree growth in the difficult habitat conditions of cities. T. Bergier, J. Kronenberg, and P. Lisicki eds., Sustainable Development Applications 4. Krakow: The Sendzimir Foundation. pp. 39-49. 

  44. Walkley, A. and I. A. Black(1934) An examination of the Degtjareff method for determining soil organic matter, and a proposed modification of the chromic acid titration method. Soil Science 37: 29-38. 

  45. Whittinghill, L. J., D. B. Rowe, R. Schutzki and B. M. Cregg(2014) Quantifying carbon sequestration of various green roof and ornamental landscape system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23: 41-48. 

  46. Wilkinson S. and T. Dixon(2016) Green Roof Retrofit Building Urban Resilience. UK: Wiley Blackwell. 

  47. Yi, K., C. W. Park, S. R. Ryu, K. H. Lee, M. J. Yi, C. Kim, G. S. Park, R. Kim and Y. Son(2013) Simulating the soil carbon dynamics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central Korea. Scandinav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8(3): 241-256. 

  48. You, S., K. H. Song and J. Chon(2015) A study on the carbon cycle system of urban green roof: Using system dynamics. Proceedings of the 2015 Symposium on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Cheonan: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pp. 139-140. 

  49. Zhang, J. and Y. H. Sui(2010) Research on low-carbon aesthetics built up by landscape design. Proceedings of the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 Applications. New York: S. Baby and Y. Dan. pp. 510-512. 

  50. Zhou, Y., T. Shi, Y. Hu, C. Gao, M. Liu, S. Fu and S. Wang(2011) Urban green space planning based o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and landscape ecology principle: A case study of liaoyang city. Northeast China Chinese Geographical Science 21(4): 465-475. 

  51. https://www.archtoolbox.com/materials-systems/site-landscape/greenroofs.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