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교시설 디자인 지표의 적용 분석 연구 - 경기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sign Indicators of the High School Facilities - Focused on High School in Gyeonggi-do - 원문보기

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24 no.6, 2017년, pp.45 - 53  

조경식 (Dept. of Pedagogy, Graduate school, Dongguk Univ.) ,  아이게림 (Dept. of Pedagogy, Graduate school, Dongguk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improve a school building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facilities of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 - do Province on the basis of the Design Indicator for the Korean Educational Buildings. Two types of high schools were examined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2010년 이후 신·증축 및 개축 고등학교 중 교육부 우수시설학교로 선정된 특수학교포함 고등학교 3곳과 일반시설 학교3곳의 시설비교를 통하여 학교건축 시설 현황분석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현장조사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문헌고찰을 통하여 학교시설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의 틀을 정리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교육부 우수시설학교로 선정된 특수학교포함 고등학교와 일반시설 학교의 시설을 ‘한국 학교시설 디자인 지표’를 통해 비교 분석하고 학교건축 개선방향과 ‘한국 학교시설 디자인 지표’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시설 관련 법규는? 학교시설과 관련하여 『학교시설사업 촉진법』,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건축법』, 『도시계획법』, 『학교보건법』, 『소방법』, 『고등학교 이하 각 학교 설립·운영 규정』등의 법규가 있다. 그 중 1969년 학교시설 및 설비에 관한 『학교시설·설비기준령』이 제정되고 16차례에 걸쳐 개정되었으나 『고등학교 이하 각 학교 설립·운영 규정』이 1997년 개정되면서 폐지되었다(노란 외 2, 2011).
학교시설을 평가하는 도구는? 이후 이화룡, 조창희(2012)도 델파이 설문조사와 AHP기법을 통해 학교시설의 디자인 품질지표를 제시하였으며 두 연구가 동일한 지표를 제시함에 따라 학교시설 평가에 적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학교시설을 평가하는 도구로서 교육부의 ‘우수시설학교 시상’1)과 건축법에 근거한 ‘친환경건축물인증제’2)가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미 개발되어진 ‘한국 학교시설 디자인 지표’는 우수시설학교의 평가방법과 친환경건축인증 평가방법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이 지표를 활용하여 학교시설 설계 시 사용자의 의견수렴과 전문가의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도구3)이나, 개발된 지표가 수용단계에 진입하지 못하고 프로세스가 적용된 사례를 찾기 드물다.
우리나라의 학교시설 디자인의 실태는? 이미 영국을 필두로 한 선진국에서는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사용자 참여 디자인(User Participatory Design)을 수행하고 있으며 체크리스트 형식의 디자인품질지표(Design Quality Indicator)를기반으로 사용자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학교시설 디자인을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학교시설 계획은 최소화된 법적 규제로 발주자와 설계자의 주도하에 공급자 위주로 진행되고 있어서 학교시설의 실제 사용자인 교사, 학생, 학부모, 지역주민의 만족도는 낮은 편이다(박성철 외 6, 2011).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2011년 한국교육개발원 KEDI(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에서 전문가를 활용하여 델파이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국내 교육정책과 학교시설환경을 고려한 ‘한국 학교시설 디자인 지표’를 개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a, In-Cheol,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Excellence Winner Selected Through a Change of the School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0(4), pp.59-62, 2013. 

  2. Jin, Jae-Bong,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of School Facilities,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octorate Thesis, 2015. 

  3. Kim, Chang-Sung, The Analysis on the Assessment Categories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by the Case Studies of Educational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0(2), pp.15-24, 2013. 

  4. Lee, Hwa-Ryong and Cho, Chang-Hee, A Study on Developing the Design Quality Indicators(DQI) for School Building -Using Delphi Survey Method and 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AHP)-,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8(5), pp.69-77, 2012. 

  5. Lee, Ji-eun, A Study on the User-participation Design Process for School, Graduate School, Kwangwoon University, Doctorate Thesis, 2012. 

  6. Lyons, J. B., Do school facilities really impact a child's education issue track: a CEFPI brief on educational facility issues, Council of Educational Facility Planners, International, Scottsdale, AX. ED 458791, 2001. 

  7. Mang, Joon-Ho, Lee, Ho-Jin, Kim, Seong-Joong, Lee, Seung-min and Park, Young-Bin, A study on restructuring of new educational space, Korea institute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2017. 

  8. Noh, Ran, Yoon, Sung-hoon and Jung, Jin-ju, A Study on the Revisions of the School Facility and Equipment Standards with the Changes in Education Curriculum and Legislations of School Facilities and Equip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18(5), pp.23-33, 2011. 

  9. OECD, Building schools for the future in the united kindom, PEP Exchange, 54, 11-13, 2005. 

  10. Park, Sung-Cheol, Cho, Jin-il, Choi, Hyeong-ju, Ro Keun Chul, Jung, Tae-Hwan, Park, Hee-won and Koh, In-Lyong, Development of design quality indicator for the Korean educational buildings, Seoul: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R2011-28, 2011. 

  11. Picus, Lawrence O., Scoott F. Marion, Naomi Calvo, & William J. Glen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chievement and the qual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evidence from wyoming,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80(3), pp.71-95, 2005. 

  12. Seong, Eun-Young, Cho, Sang-Kyu, Ko, Eun-Jeong and Lee, Jin Min, A Study on Strategy and System to Achieve a Well-designed School Building, 2009. 

  13. Yu, Chea-Yong,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esign and Construction Evaluation Policy to Select the Quality Public School Facilities,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Doctorate Thesis, 200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