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직무 장애요인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Barrier Factors Affecting Nutrition Education Jobs of Nutrition Teacher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3 no.2, 2017년, pp.143 - 154  

김지희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진아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barrier factors affecting nutrition education jobs and determining priorities according to frequency of occurrence of obstacles.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on 11 nutrition teachers, and the result are summarized by the phenomenological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양교육 경험이 풍부한 영양교사 전문가집단 11인의 자유로운 토론과 의견 공유를 통해 장애요인과 관련한 의미 있는 진술을 충분히 이끌어 냈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이전 연구에서는 도출하지 못했던 장애요인을 경중에 따라 우선순위를 파악하였으며 영양교육 자료 및 매체의 구체적인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세 가지 영양교육 장애요인은 영양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유사한 연구들의 결과를 통해서 타당성을 뒷받침할 수 있다.
  • 이 중에서도 Van Kaam(1966)의 분석방법은 기술적인 표현들의 목록을 만들고 범주들로 분류하며 발생 빈도에 따라 범주들의 순위를 매길 수 있다(Kim 등 1999).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사 직무수행의 장애요인 및 문제점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Van Kaam(1966)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영양사 직군의 직무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영양교육 직무에 대한 장애요인을 심도 있게 파악함으로써 영양교육 직무 개선 방향 제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사의 영양ㆍ식생활교육 수행에 대한 장애요인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영양교사 직무에 대한 경험과 식견을 지닌 패널 11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FGI)을 통한 현상학적 연구를 진행하고 장애요인의 빈도를 산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 영양교사의 영양ㆍ식생활교육 및 영양상담의 장애요인을 파악하고자 교육 직무수행 과정의 경험에 서 공통의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현상학적(Phenomenological research)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양적연구로 도출하지 못했던 영양교육의 장애요인을 질적 연구방법인 현상학적 연구로 심도 있게 도출하고자 하였다.
  • 영양교육 환경의 한계는 표준 교과과정 및 교과서의 부재, 교육 인프라 미비, 교육시간 미부여 등의 장애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양교육이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제언을 하고자 한다.
  • 2010년 국민영양관리법 제정으로 학교에서의 영양 및 식생활지도가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영양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사가 직면한 영양교육의 장애 요인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도출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영양교육 경험이 풍부한 영양교사 전문가집단 11인의 자유로운 토론과 의견 공유를 통해 장애요인과 관련한 의미 있는 진술을 충분히 이끌어 냈다는 의의를 갖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급식의 주 목적은? 학교급식의 주된 목적이 균형 잡힌 영양공급 외에도 바른 식습관 정립을 위한 영양교육까지 그 역할이 크게 확대되었다. 학교에서는 영양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2006년 학교급식법 개정으로 영양교사를 배치하고 식생활지도와 영양상담을 실시하도록 규정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2014).
영양교사들의 식생활교육을 위한 자료 수집 방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경남지역 초ㆍ중등학교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결과에서도 직접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은 급식관리 업무의 과중으로 인한 수업 준비시간 부족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간접적인 영양교육의 문제점은 영양교육의 효과가 낮다는 것으로 나타났다(Jeong & Lee 2013). 충북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식생활지도와 영양상담의 운영 실태와 인식을 조사한 Kim 등(2013)의 연구에서는 영양교사들이 식생활교육에서 주로 이용하는 자료수집 방법으로 ‘동료 영양교사와의 정보 교환’이 가장 높았으며, 인터넷 자료 이용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생활교육을 위한 별도의 특별실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도 96%가 넘었다.
영양교사의 식생활교육이 이루어지기 힘든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전북지역 영양교사 190명을 대상으로 식생활교육 실태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식생활교육에 필요한 시설과 교육자료가 부족하며, 업무과다로 인한 시간 부족을 식생활교육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았다(Park 2014a). 경남지역 초ㆍ중등학교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결과에서도 직접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은 급식관리 업무의 과중으로 인한 수업 준비시간 부족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간접적인 영양교육의 문제점은 영양교육의 효과가 낮다는 것으로 나타났다(Jeong & Lee 2013). 충북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식생활지도와 영양상담의 운영 실태와 인식을 조사한 Kim 등(2013)의 연구에서는 영양교사들이 식생활교육에서 주로 이용하는 자료수집 방법으로 ‘동료 영양교사와의 정보 교환’이 가장 높았으며, 인터넷 자료 이용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olaizzi P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Valle RS, King M, 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48-71 

  2. Dukes S (1984):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the human sciences. J Relig Health 23(3):197-203 

  3. Giorgi A (1979):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theory. In: Giorgi A, Knowles R, Smith DL, eds. Duquesne studies in phenomenological psychology. 3rd ed. Duquesne UP. Pittsburgh. pp.60-80 

  4. Jeong HS, Lee HR (2013): A study on the conditions of the nutrition educations and the perceptions of the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Gyeongnam area. J Basic Sci 30:41-59 

  5. Kim BH, Kim KJ, Park IS, Lee KJ, Kim JK, Hong JJ, Lee MW, Kim YH, Yoo IY, Lee HY (1999): A comparis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 focused on Giorgi, Colaizzi, Van Kaam methods. J Korean Acad Nurs 29(6):1208-1220 

  6. Kim HJ, Kim HA (2012): Percep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among school administrators, parent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at an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18(4):385-399 

  7. Kim MS, Kim HJ, Lee YE (2013): Operation and perception on dietary life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of elementary school in Chungbuk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2):2049-2067 

  8. Lee EJ (2017): Trends and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research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Pract Art Educ 30(1):83-106 

  9. Lee JS (2015):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utrition teachers in schools. J Humanit Soc Sci Res 16(2): 181-213 

  10. Lee NI (2005): Phenome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hilos Phenomenol Res 24:91-121 

  11. Ministry of Education (2014): 2014 School meal safe operation plan.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p.151 

  12. Moustakas C (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Thousand Oaks. pp.25-27 

  13. Oh NK, Kwon SJ, Kim KW, Son JM, Park HR, Seo JS (2016): Status and need assessment on nutrition & dietary life education among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Korean J Community Nutr 21(2):152-164 

  14. Park ES (2014a): Operation and training demand on dietary life education of nutrition teachers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Hum Ecol 23(1):149-161 

  15. Park JY (2014b): A qualitative study of the identity of clinical dietitians. Masters degree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p.4 

  16. Shin GR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Seoul. pp.234-253 

  17. Van Kaam A (1966): Appl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In: Van Kaam A, ed. Existential foundations of psychology. University Press of America. Lanham. pp.294-329 

  18. You JE, Lee YE, Park EH (2016): Actual status of task performance and need for system improvement for nutrition teach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3):420-4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