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재난에 대한 트위터 여론 수렴 모델: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중심으로
A Collecting Model of Public Opinion on Social Disaster in Twitter: A Case Study in 'Humidifier Disinfectant'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6 no.4, 2017년, pp.177 - 184  

박준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류법모 (부산외국어대학교 동남아창의융합학부) ,  오효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 의료정보융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점차 복잡해져가는 사회구조 속에서 사회적 재난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그 피해 규모 또한 점차 대형화되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추가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체계화된 방법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소셜미디어, 특히 트위터는 신속성 및 확장성이 높아 재난에 대한 대응책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다양한 대중들의 관심이 드러나는 트위터의 여론을 수렴하는 것은 재난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추가적인 피해를 방지하는데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키워드 분석 및 이슈 트윗 추출, 시계열 분석 과정을 통해 사회적 재난에 대한 트위터 여론 수렴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화된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 실제 적용가능성을 보이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bstract should concisely state what was done, how it was done, principal results, and their significance. It should be less than 300 words for all forms of publication. Recently social disasters have been occurring frequently in the increasing complicated social structure, and the scale of da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2011년에 처음 발생하여 2016년까지 효과적인 대응과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지속적으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 트위터 미디어를 대상으로 실제 적용 결과를 보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습기 살균제 사건 관련 트윗을 자동으로 수집하여 키워드 분석 및 이슈 트윗 추출을 수행하고 시계열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즉, 결론적으로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재난 관련 여론을 분석하고 활용하여 재난 대응 체계를 제안한 연구는 현재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여론을 수렴하여 재난에 대한 여론의 관심 및 변화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재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트위터 여론 수렴 방법을 제안한 것으로,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대상으로 제안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수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응 및 조치를 위한 여론 수렴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재난에 대한 여론의 관심 및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재난 발생 이후에 추가 피해를 방지하도록 체계적인 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하는데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 가능함을 보이고자 한다.
  • 이를 위해 2011년에 처음 발생하여 2016년까지 효과적인 대응과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지속적으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 트위터 미디어를 대상으로 실제 적용 결과를 보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응 및 조치를 위한 여론 수렴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재난에 대한 여론의 관심 및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재난 발생 이후에 추가 피해를 방지하도록 체계적인 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하는데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 가능함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1년에 처음 발생하여 2016년까지 효과적인 대응과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지속적으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 트위터 미디어를 대상으로 실제 적용 결과를 보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미디어의 특징은? 한편, 소셜미디어는 정보를 빠르게 확산시키기 때문에 재난 상황을 빨리 파악하도록 도와주며, 다른 미디어 매체보다 근접한 시각에서 자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소셜미디어는 인터넷 상의 관계 형성 및 의사소통의 역할뿐만 아니라 재난 발생에 대한 대응책으로 재조명되고 있다[3].
트위터 자동수집내용을 기반으로 키워드 빈도 분석 및 이슈 트윗 추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한 구체적인 내용은? 첫째, 데이터 수집 기간을 선정하여 수집 대상과 연관된 단어를 포함하는 모든 트윗을 메타데이터와 함께 자동 수집한다. 둘째, 수집한 트윗의 Mention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트위터에서 자주 언급된 주요 키워드들을 선정하여 분석한다. 셋째, 전체 트윗 데이터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이슈 트윗을 추출하여 트위터 여론의 관심이 집중된 주요 이슈들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시계열 분석을 통해 트위터 여론의 관심 및 변화양상과 더불어 다른 매체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이러한 과정은 트위터 여론을 수렴하여 재난에 대한여론의 관심 및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피해확산에 대응하고 추가피해를 예방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사회적 재난의 발생원인 관련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사회적 재난은 단순히 한 가지 특정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기 보다는 자연재난, 인적재난 등과 함께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며, 최근 점차 복잡해져가는 사회구조의 이해관계 속에서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8]. [9]는 사회를 구성하는 직·간접적인 요소들로부터 기인한 1개 이상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피해의 양상과 크기가 변하는 인간의 생명과 재산 그리고 국가나 사회의 항상성을 위협하여 파장이 큰 재해가 사회적 재난이라고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 Y. Kwon, "International Discussion on Disaster Management and Implications for Korea's Disaster Response," Dong-a Law Review, Vol.71, pp.115-146, 2016. 

  2. Y. C. Choung, I. S. Choy, and Y. G. Bae, "Social Security aimed Disaster Response Policy based on Big Data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20, No.4, pp.683-690, 2016. 

  3. H. G. Kim, "Application of Social Media for Responding to a National Disaster,"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5, No.5, pp.147-153, 2011. 

  4. S. H. Park, "Critical Study on the Forming Public Opinion of SNS and Participation Behavior,"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Vol.58, pp.55-73, 2012. 

  5. I. H. Choi and D. S. Han,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Agendas between Politicians Twitters and Traditional News Media,"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Vol.11, No.2, pp.501-532, 2011. 

  6.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Law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n Korea)," Gwacheon: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6. 

  7. Y. J. Hu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direct Trauma Scale of Social Disaster," Ph.D. dissertation, Gye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2016. 

  8. H. J. Jung, "A Study of Acquisition for Disaster Collections on the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 Museum," Ph.D.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2016. 

  9. J. W. Lee, "The Effect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Cooperation on the Business Performance," Ph.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2013. 

  10. Y. M. Cho, "Problems and Lessons Learned through Humidifier Disinfection,"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14, No.2, pp.58- 63, 2016. 

  11. S. H. Lee and G. Song, "Intermedia Agenda-setting between Social Media and Broadcasting News: Focusing on Sewol-ho Disaster Related New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Communication Studies, Vol.58, No.6, pp.7-39, 2014. 

  12. J. B. Kim and G. H. Lee, "Public Opinion and Media : A Study on Pluralistic Ignorance and Third Party Hypothesi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Communication Studies, Vol.31, pp.63-86, 1994. 

  13. J. M. Kang, "An Understanding of the Effect and of Cases in the Process of Political Participation on Smartphone and Governance," Journal of Cyber Society & Culture, Vol.2, No.1, pp.147-163, 2011. 

  14. C. G. Akcora, M. A. Bayir, M. Demirbas, and H. Ferhatosmanoglu, "Identifying Breakpoints in Public Opinion," SOMA '10: Proceedings of the First Workshop on Social Media Analytics, ACM, 2010, pp.62-66. 

  15. J. H. Hong, "The Detection of Public Opinion and Public Opinion Cycle via Aggregated Twitter Opinion and Sentimen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Vol.19, No.3, pp.5-29, 2011. 

  16. K. Starbird, L. Palen, A. L. Hughes, and S. Vieweg, "Chatter on the Red: What Hazards Threat Reveals about the Social Life of Microblogged Information," CSCW '10 Proceedings of the 2010 ACM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ACM, 2010. pp. 241-250. 

  17. S. H. Choi and B. G. Bae, "The Sensing Model of Disaster Issues from Social Bigdata,"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Vol.20, No.5, pp.286-290, 2014. 

  18. J. Y. Yoon, S. J. Kim, B. S. Lee, and B. Y. Hwang,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ocial Signals of Cold Symptoms Extracted from Twitter and the Influence Factor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16, No.6, pp.667-677, 2013. 

  19. H. J. Oh, H. G. Kim, and B. H. Yun, "Continuous Issue Event Analysis in Social Medi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7, No.2, pp.31- 38, 2013. 

  20. H. S. Ha and B. Y. Hwang, "Keyword Filtering about Disaster and the Method of Detecting Area in Detecting Real-Time Event Using Twitter,"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Vol.5, No.7, pp.345-350, 2016. 

  21. Y. C. Hwang and C. Koh, "Analysis of Opinion Social Data on the SNS(Social Network Service) by Analyzing of Collective Damage Repl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11, No.5, pp.41-51, 2013. 

  22. S. H. Lee and S. H. Lim, "Intermedia Agenda-setting Effects: Political Debates on TV and Twitte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No.1, pp.139-149,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