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 향토음식의 품질속성과 대중화 및 관광상품화 방안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연구
Analysi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Quality Attribute, Popularization and Tourism Commercialization Strategy of Pohang Local Food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3 no.3 = no.86, 2017년, pp.227 - 241  

백서영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부) ,  이연정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quality attribute, popularization and tourism commercialization of Pohang local f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efficient marketing direction that serves the popularization an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포항향토음식에 대한 품질속성과 대중화 및 관광상품화 방안의 중요성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포항향토 음식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방향 제시와 대중화 및 관광상품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302 명의 포항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
  • IPA 분석은 고객들이 중시하는 요소와 이들 요소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매트릭스 상의 좌표로 표시하여 식별하는 방법으로 고객만족은 특정속성에 대한 고객의 기대수준과 그러한 속성에 대한  실행도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토음식에 대한 품질속성의 중요도와 실천성 분석연구를 위하여 IPA를 실행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포항 향토음식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포항 향토음식의 품질 속성과 대중화 및 관광상품화 방안에 대한 중요도-만족도의 IPA 분석을 진행하여 향후 포항 향토 음식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방향을 제시 하고, 나아가 포항 향토음식의 대중화 및 관광상품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토음식이 한 지역에서 전국적으로 알려지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한 나라의 고유한 식생활 풍습은 그 민족이 거쳐 온 사회적 환경과 시대적인 배경, 사상의 정서와 의식, 신앙의 영향까지 받으므로 한 시대의 음식은 지역, 시대 또는 문화의 반영이라 볼 수 있다(Lee, Kim, & Kim, 2012). 각 지방의 향토음식은 1900년대 중반까지는 그 지역 안에서만 그 특유의 고유한 특색을 이어왔으나, 급속한 산업의 발전과 교통의 발달로 다른 지방과의 왕래와 교역이 많아지고, 물적 교류와 인적 교류가 늘어나면서 그 지방의 산물과 음식이 전국 곳곳으로 퍼지게 되고, 음식 만드는 솜씨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Han & Song, 2003).
향토음식이 관광자원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역 경쟁력은 국가 경쟁력으로 연결되며, 특히, 음식문화는 자국의 문화를 세계화시키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한다(Ko & Kang, 2004). 향토음식이야 말로 무구한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자연스레 형성된 그 지방의 색깔이 가장 잘 들어나는 문화이며, 특징을 지녔기에 관광객들에게는 다양한 볼거리나 만족을 줄 수 있는 좋은 관광자원이다(Jang & Lee, 2009).
한 민족의 식생활 문화가 역대의 사회 환경 조건의 영향을 받아 변천과 발전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현상은 무엇인가? 전국적으로 일상적인 식생활에서의 음식 법은 공통적인 면이 많이 있지만, 그 지방에서 나는 토산 식품과 특별한 양념이 보태어져 지방마다의 고유한 향토음식이 전수되어 왔다. 그러나 1900년 후반부터 새로운 외래 식품의 유입과 외국의 음식 문화도입, 외식산업의 발달 등이 영향을 받아서 고유한 향토음식은 변형되고, 새로운 향토요리가 개발 되고 있다. 한 민족의 식생활 문화는 그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자연조건에 따라서 기본적인 틀이 이루어지고, 그것이 역대의 사회 환경 조건의 영향을 받으며 변천과 발전을 거듭한다(Ko & Kang,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e, S. E. (2013). Discussion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 of the dance survival audition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popularization of dance - Focusing on .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45(6), 53-79. 

  2. Baek, S. Y., Jang, S. O., & Lee, Y. J. (2016).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intake frequency of Pohang's local foods. Korean Journal of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2(5), 214-230. 

  3. Boo, S. H. (2006). The marketing strategy which applies tourism commercialization process of local festival events. Korean Journal of Tourism Studies 18(Dec.), 77-89. 

  4. Cha, S. B., & Park, K. T. (2003).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local menus using medicinal cooked food in Chonan area.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5(2), 9-22. 

  5. Guadagnolo, F. (1985).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 evaluation and marketing tool.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3(2), 13-22. 

  6. Hammitt, W. E., Bixler, R. D., & Noe, F. P. (1996). Going beyo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analyze the observance-influence of park impacts.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14(1), 45-62. 

  7. Han, G. J., Lim, Y. S., & Kim, H. R. (2007). A study on selection of Kyunggi area traditional Korean foods suitable for standard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and factor analysis of the selections. Korean Journal of Food Cookery Science, 23(4), 511-529. 

  8. Han, K. S., & Song, B. C. (2003). A study on discover and perception of the native local foods in Wonju regioncomparison between residents and cooks-. Korean Journal of Food Culture, 18(4), 365-378. 

  9. Jang, S. O., & Lee, Y. J. (2009). A study of residents' recognition and tourism merchandising inten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Yeongcheon region. Korean Journal of Food Cookery Science, 25(4), 452-466. 

  10. Jang, S. O., & Lee, Y. J. (2015).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n-line word of mouth, value, satisfaction, loyalty and popularization of Yaksun food. Korean Journal of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1(3), 53-67. 

  11. Jung, W. S., & Hwang, S. J. (2014). A study on the percepti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local traditional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Kyungsan city-.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1), 120-132. 

  12. Jung, Y. M. (2016). The effect of Korean culture familiarity of foreign tourists on the Korean consumer behavior. Korea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5), 197-205. 

  13. Kim, G. H., & Jo, M. S. (2002), A study on determination factors for traditional food development in Jeju. Korean Journal of Culture & Tourism, 4(1), 115-138. 

  14. Kim, H. C. (2009).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erceptions of healthy menu, concerns about festival food,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visiting. Korean Journal of Tourism Sciences Society, 33(4), 357-379. 

  15. Kim, H. C. (2014). 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motivation of Korean local food customers -focus on Wando tourist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39 (2), 1-16. 

  16. Kim, H. C. (2015). Dietary lifestyl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food-related lifestyl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17(2), 164-183. 

  17. Kim, M. J., & Jeon, H. M. (2013). A study on effects of native local foods selection attributes in Gyeong-Ju areafocusing on Byulchaeban-. Korean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28(5), 111-129. 

  18. Kim, Y. S., & Jeong, B. G. (2016). A study on facts of the user experience in online stores - Focusing on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K-sale day-. Korean Journal of Design Culture, 22(1), 53-62. 

  19. Ko, B. S., & Kang, S. W. (2004). A study on the perception for regional food in Dae-gu area.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0(4), 15-30. 

  20. Kwon, S. J., & Lee, J. H. (2004).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of the northern part of Gyongsang-bukdo and their commercialization.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19(1), 49-60. 

  21. Lee, A. J., Chang, M. H., & Baek, N. G. (2007). A study on consumer's choice attributes of Korean style restaurants based on consumer's dining-out motives. Korean Hotel Resort Association, 6(2), 209-220. 

  22. Lee, J. C., & Nam, T. Y. (2006). A study on recognition & preference of traditional foods. The Korean Journal of Tourism Information, 24(0), 1-22. 

  23. Lee, S. H., Kim, S. H., & Kim, Y. K. (2012) A study in the effects on the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restaurants menu on revisit intention -Centering on Korean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Paris, Franc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2), 34-50. 

  24. Lee, Y. H., & Park, D. H. (2014). A study of the effect on chinese tourists consumption behavioral intentions of Korean food related on their familiarity with the Korea Wave -b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16(1), 97-117. 

  25. Lee, Y. J. (2006). Analysis of current use of local food of adults in Gyeongju classified by age. Korean Journal of Food Culture, 21(6), 577-588. 

  26. Lee, Y. J. (2006). The impact of recognition for local food on the frequency of visiting for local food restaurants -Focusing on residents in Kyungsangdo areas.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22(6), 840-848. 

  27. Lee, Y. J., & Choi, S. K. (2004).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for native foods in Gyeongju area. Korean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7(1), 157-174. 

  28. Lee, Y. J., & Kim, S. C. (2008). A study of residents consciousness of local food menus excavation and development in Gyeongju areas. Korean Journal of Food Cookery Science, 24(4), 549-559. 

  29. Lewis, D. M. (1981). Determinants of reproductive success of the white-browed sparrow weaver, Plocepasser mahali. Behavioral Ecology and Sociobiology, 9(2), 83-93. 

  30. Martilla, J. A., & James, J. 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Journal of Marketing, 77-79. 

  31. Min, K. H.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foods and tourism merchandising in Gimje area.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4(3), 295- 309. 

  32. Min, K. H.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foods and tourism merchandising in Gimje area. Korean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4(3), 295- 309. 

  33. Moon, S. S. (2012).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wareness of native local food: Centering around Jeongeup area.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26(6), 435- 445. 

  34. Oh, H. (2001). Revisit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urism Management, 22, 617-627. 

  35. Ophuis, A. M., & Trijp, H. C. (1995). Perceived quality: A market driven and consumer oriented approach. Food Quality & Preference, 6(1), 108-120. 

  36. Park, G. T. (2011).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wareness of native local foods -Centering around Gimhae, Gyeongnam Province-. Korean Journal of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7(2), 98-110. 

  37. Yang, I. S., Chang, H. J., Shin, S. Y., & Chung, L. N. (2004). Inbound tourism product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Korean Journal of Food Service Management, 7(3), 87-116. 

  38. Zikmund, W. G. (1987). Business research methods. chicago. Dryden Press, 92. 

  39. https://ko.wikipedia.org/wiki/ 

  40. http://phtour.pohang.go.kr/phtour/yeongil_bay/area/pohang_lif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