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PLC기반의 필드버스 교육 장비 및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PLC-based Fieldbus Educational Equipment and Curriculum for building Smart Factory 원문보기

JPEE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9 no.1, 2017년, pp.49 - 56  

오재준 (오산대학교 기계과) ,  최성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Industry 4.0으로 인해 제조업에 대한 생산성 향상과 고객만족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관심이 매우 높고 정부 지원에 따른 구축도 활발하다. 특히,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통합과 이를 위한 필드버스 통신기술은 필수적이다. 필드버스는 특정 밴더 시스템에 구속받지 않는 개방형 제어시스템으로서 타사 제품과의 호환성,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 원격진단 등의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필드버스를 학습하기 위한 교육 장비와 실습을 위한 교육과정 및 예제가 전무하여 산업현장에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해 필요로 하는 실무 능력 향상에 많은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산업현장에 적합한 PLC와 통신기술을 선정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필드버스 교육을 위한 PLC기반의 필드버스 교육 장비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Ethernet IP, Profibus DP, Modbus, CC-Link, Device Net의 다양한 필드버스를 구현하였다. 또한, Ethernet IP를 통한 데이터 수집과 모니터링으로 분산된 필드기기의 제어와 원격진단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due to Industry 4.0, there is a great interest in smart factory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construction is also actively pursued by government support. In particular, data integration and fieldbus communication technology to buil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해 필수 요소기술인 필드버스를 학습하기 위한 교육 장비를 개발하였다. 교육 장비의 전체 크기는 687 × 638 × 538이며, 국내 점유율이 높은 3종의 Mitsubishi, Siemens, LS산전 PLC와 국내산업에 적합한 표 1의 특성을 가진 5종의 필드버스 통신카드로 구성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해 필수적인 필드 버스를 학습할 수 있도록 선행연구의 직무분석과 교육과정설계에 따른 PLC기반의 필드버스 교육 장비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다양한 PLC와 통신카드를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실습 예제를 구현하였다. 특히, 개발된 장비는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사용중인 PLC와 필드버스 통신기술을 중심으로 제작하여 피교육자가 교육을 이수 후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다.
  • 선행연구에서는 DACUM기법을 활용하여 실무적인 필드버스 교육을 위한 국내의 반도체, LCD, 자동차 산업과 다양한 물류시스템 및 소규모 제어시스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필드버스 통신기술 선정과 직무분석을 수행하여 Ethernet IP, Profibus DP, Modbus, CC-Link, Device Net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PLC기반의 필드버스 학습을 위한 교육 장비를 개발하고 이 장비를 이용한 교육과정을 제안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지향해야하는 생산체계는 무엇인가? 스마트팩토리는 제품의 기획, 설계, 생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을 정보통신기술로 통합하고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미래형 공장이다.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위해서는 IoT(Internet of Things), CPS(Cyber Physical System) 등을 기반으로 제조의 모든 단계가 자동화, 정보화되고, 가치사슬 전체가 하나의 공장처럼 실시간 연동되는 생산체계를 지향해야 한다[1]. 이때 IoT와 CPS에 앞서 필요한 핵심기술은 생산시스템을 통합하는 필드버스이다.
스마트팩토리란? 0을 주창하면서 본격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스마트팩토리는 제품의 기획, 설계, 생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을 정보통신기술로 통합하고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미래형 공장이다.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위해서는 IoT(Internet of Things), CPS(Cyber Physical System) 등을 기반으로 제조의 모든 단계가 자동화, 정보화되고, 가치사슬 전체가 하나의 공장처럼 실시간 연동되는 생산체계를 지향해야 한다[1].
산업현장의 사용자는 공장자동화를 구축함에 있어서 저비용 고효율의 생산성이 높은 시스템을 구축해야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어떤 제어시스템이 필요한가? 산업현장의 사용자는 공장자동화를 구축함에 있어서 비용은 가장 적게 들면서 시스템의 고성능과 다기능, 신뢰성, 유연성을 제공하는 효율적이고 생산성 높은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필드계층의 데이터와 상위 비즈니스계층을 통합하고 특정 밴더의 시스템에 구속 받지 않는 개방형 제어시스템이 필요하다. 필드버스를 적용함으로써 타사 제품과의 상호 호환성, 전선 결선 비용 감소와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 증대, 분산된 필드기기의 제어기능, 유지·관리 측면에서의 원격진단 및 필드기기의 자기 진단기능 등을 기대할 수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J. S. Kim, "Big data analysis for smart factory implementation in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process," Ph. D.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Chungcheongbuk-do, 2017. 

  2. J. S. Oh, D. H. Kwon, S. H. Hong, and T. W. Kim, "Fieldbus standardization promotion status and technology forecast," Monthly Instrument Technology, 2012. 

  3. M. B. Lee and Y. S. Moon, "Introduction and advantages of fieldbus," Monthly Instrumentation Technology, 2002. 

  4. S. J. Ki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LC experiment KIT,"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y,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Gyeongsangbuk-do, 2009. 

  5. W. S. Jang, "Development of educational PLC device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16. 

  6. S. Y. Lee and D. P. Jeon, "The development of PLC programming education system based on distanc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Society, vol. 11, no. 5, pp. 78-85, 2006. 

  7. E. Han, S. M. Park, and S. E. Ho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plc laboratory for industrial automation training and training," Journal of the Academic-Industrial Science Society, vol. 11, no. 1, pp. 101-106, January,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