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론을 활용한 해양 측량 및 GIS 현황과 발전방향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marine surveying and GIS using drones 원문보기

방송과 미디어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v.22 no.2, 2017년, pp.53 - 66  

이재빈 (국립목포대학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승열 등(2016)은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연안촬영을 실시하고 적조를 탐지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높은 해상도를 가진 무인항공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가시광영역의 분광밴드를 이용한 무감독 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조를 탐지하고 적조의 해수면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보고하였다. 국외의 대표적인 연구사례로는 Apostolos Papakonstantinou 등(2016)이 상용 카메라를 탑재한 수직 이착륙 회전익 드론을 활용하여 3차원 연안측량을 실시하고 해안선을 추출하였다.
  • 상대적으로 레저용으로 활용되는 회전익 드론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저가이며 수직이착륙이 가능하다는 점과 조정이 간편하다는 점 또한, 갑작스런 기상변화에 즉각적인 회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고정익 드론에 비해 장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회전익 드론을 활용하여 해양측량을 수행하고 구축된 지형정보들의 정확도를 평가함으로써 저가의 회전익 드론을 활용한 해양측량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2cm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드론을 활용하여 연안 해양지역에 대한 고해상도의 3차원 지형정보의 구축이 가능하며 해안선 추출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Goncalves, J.
  • DGPS측량을 활용한 정확도 평가 결과 10cm의 공간해상도로 제작된 DSM에 대해 5cm이하의 RMSE값을 가지는 수직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정사영상에 대해서는 1pixel 이하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를 통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연안 해양 지역에서 상용드론의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Ian L.
  • 이강산 등(2015)은3D robotics 社의 소형 드론인 IRIS+와 상용 소형 디지털 카메라 GoPro3+를 활용하여 해안선 변화추출을 수행하였다. 총 7회의 촬영을 통해 간조 시부터 만조 시까지 해안선의 변화를 관측하고 활용성을 보고하였다. 연구결과 수시로 변환하는 해안지형의 특성상 해안선을 관측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나 드론을 활용할 경우 신뢰도 있는 해안선 자료의 구축이 가능함을 보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항공법상 드론의 정의는?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 또는 드론(Drone)은 사람이 탐승하지 않는 항공기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항공법상에서는 “사람이 탑승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무인 동력비행장치의 경우 연료의 중량을 제외한 자체중량이 150킬로그램 이하인 무인항공기 또는 무인회전익비행장치, 무인비행선의 경우 연료의 중량을 제외한 자체 중량이 180킬로그램 이하이고, 길이가 20미터 이하인 무인비행선”으로 규정되어 있다.
드론의 장점은? 드론은 항공기나 위성 등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운용에 대한 효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과거부터 정찰이나 표적타격 등과 같은 군사적인 목적으로 많이 활용되어져 왔다. 현재에는 기체 제작기술, 제어기술 및 탑재 센서 기술 등과 같은 드론의 활용성을 증대시키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농업, 기상관측, 통신, 방송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물류운송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관련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지형공간정보를 제작하고 활용하는 분야에서 드론이 기여하는 것은? 이는 드론에 탑재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성능향상과 GPS/INS 등 항법장치의 경량화 및 정밀도 향상, 드론 항공사진처리를 위한 항공사진측량(aerial photogrammetry) 소프트웨어의 보급과 상용화에 기반하고 있다. 드론을 이용하여 지형정보를 구축할 경우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원하는 지역에 대해 원하는 시기에 수cm의 해상도를 가지는 고해상도의 원격탐사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윤부열 등, 2014; 김덕인 등, Colomina, I. and  Molina, P., 2014). 또한 기존의 항공기나 위성을 활용한 원격탐사 기술에 비해 대상지역에 대한 촬영이 용이하며 기체를 원하는 지역으로 조정하기가 용이하고 구름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고도에서 촬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반해 배터리 용량의 제한에 의한 촬영면적의 제한, 탑재 센서의 무게 제한에 따르는 카메라 성능의 제한, 대용량 데이터의 처리의 어려움,카메라 내부표정의 한계, 지상기준점 취득의 어려움 등이 단점들로 고려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윤부열, 이재원, 2014, 무인항공기(UAV)의 공간정보 통합운영을 위한 국내적용 방안,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22권 제2호, pp. 3-9. 

  2. 김덕인, 송영선, 김기홍, 김창우, 2014, 무인항공기의 국토모니터링분야 적용을 위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2, No. 1, pp. 29-38. 

  3. Colomina, I.; Molina, P., 2014, Unmanned aerial systems for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A review. ISPRS J. Photogramm. Remote Sens., Vol. 92, pp. 79-97. 

  4. Pajares, G., 2015, Overview and Current Status of Remote Sensing Applications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s(UAVs), Photogramm. Eng. Remote Sens., Vol. 81, pp. 281-329. 

  5. 국립해양조사원 (2016), 갯골분포도, http://www.khoa.go.kr/kcom/cnt/selectContentsPage.do?cntId31403000 

  6. 신명식, 신정일, 김익재, 서용철, 2016, 연안 해저 재질 분석을 위한 초분광영상의 보정 방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 19, No. 2, pp. 107-116. 

  7. 엄진아, 최종국, 유주형, 원중선, 2010,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변화 모니터링: 울진군 죽변면 연안을 대상으로, 대한 원격탐사학회지, Vol. 26, No. 5, pp. 571-580. 

  8. 최종국, 유주형, 2011,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갯벌 퇴적상 변화 연구, 자원환경지질, Vol. 44, No. 1, pp. 59-70. 

  9. 김미경, 손홍규, 김상필, 장효선, 2013, LANDSAT 영상을 이용한 해안선 자동 추출과 변화탐지 모니터링,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Vol. 21, No. 4, pp. 45-53. 

  10. 김정수, 박경, 2016, 항공LiDAR를 이용한 갯골 횡단면 분석 -갯벌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Vol. 20, No. 2, pp. 67-82. 

  11. 이재원, 최혜원, 윤부열, 박치영, 2014, 항공 Lidar와 멀티빔 음향측심 자료를 이용한 해상과 육상의 통합 지형공간정보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 17, No. 4, pp. 28-39. 

  12. 황창수, 최철웅, 최지선, 2014, 다중시기 항공사진과 KOMPSAT-3 영상을 이용한 진하해수욕장 해안선 변화 탐지,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ol. 30, No. 5, pp. 607-616. 

  13. 안기원, 이효성, 김덕진, 2011,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순천만 갯벌 DEM 제작,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ol. 27, No. 4, pp. 411-420. 

  14. 김백운, 윤공현, 이창경, 2013, 항공사진을 이용한 방포항 인근 해빈의 장기간 해안선 변화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ol. 29, No. 5, pp. 477-486. 

  15. 김범준, 이윤경, 최종국, 2015, 조간대 갯벌에서 무인항공기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ol. 31, No. 5, pp. 461-471. 

  16. 이강산, 최진무, 조창현, 2015,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해안선 변화 추출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Vol. 50, No. 5, pp. 473-483. 

  17. 오승열, 김대현, 윤홍주, 2016, 연근해 양식장 주변 적조 모니터링을 위한 무인항공영상 적용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ol. 32, No. 2, pp. 87-96. 

  18. Apostolos Papakonstantinou, Konstantinos Topouzelis and Gerasimos Pavlogeorgatos, 2016, Coastline Zones Identification and 3D Coastal Mapping Using UAV Spatial Data, ISPRS Int. J. Geo-Inf. 2016, Vol. 5, 75. 

  19. Goncalves, J.A., Henriques, R., 2015, UAV photogrammetry for topographic monitoring of coastal areas. ISPRS J. Photogramm. Remote Sens. Vol. 104, pp. 101-111. 

  20. Ian L. Turner, Mitchell D. Harley, Christopher D. Drummond, 2016, UAVs for coastal surveying, Coastal Engineering, Vol. 114, pp. 19-24. 

  21.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 2005, 조석확폭에 수반되는 조간대 영역 확대의 영향,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Vol. 7, No. 1, pp. 47-5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