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와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과학영재들의 대인관계역량 분석
An Analysis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School and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2, 2017년, pp.383 - 393  

노현아 (전남대학교) ,  최재혁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의 대인관계역량이 서로 다른 집단에서 어떻게 나타나며 어떠한 특징이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들의 대표 또래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학교와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대인관계역량과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6학년 12명, 중학교 1학년 34명, 중학교 2학년 26명으로 총 72명이었다. 이들에게 대인관계역량 검사도구의 동일한 문항에 대해 각각 학교와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자신의 상황을 구분하여 리커트 척도에 따라 응답하게 하였고, 하위역량별로 설문문항과 관련된 학교나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경험을 서술하게 하였다. 이후 과학영재들의 서술내용을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구성하여 연구 대상 중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들은 대인관계역량의 세 가지 역량인 관계형성, 리더십, 협동과 그 하위역량에서 학교에서의 평균이 과학영재교육원 평균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두 집단 모두에서 높은 대인관계역량 점수를 보였으며 학교와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대인관계에 대해 다소 다른 행동과 태도를 보이며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과학영재교육원은 과학영재들이 과학지식과 같은 학문을 배울 수 있는 공간일 뿐 만 아니라 관계형성이나 리더십 협동과 같은 사회적 영역까지도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영재들의 대인관계역량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groups of people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We examine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school and in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인관계역량의 세 가지 역량은 ? 이후 과학영재들의 서술내용을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구성하여 연구 대상 중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들은 대인관계역량의 세 가지 역량인 관계형성, 리더십, 협동과 그 하위역량에서 학교에서의 평균이 과학영재교육원 평균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두 집단 모두에서 높은 대인관계역량 점수를 보였으며 학교와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대인관계에 대해 다소 다른 행동과 태도를 보이며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과학영재들이 영재교육에서 습득한 리더의 모습은 ? 그리고 과학영재들이 영재교육의 목표에 맞게 사회의 리더로서 살아가야 한다면 어떠한 환경, 어떠한 대인관계에서도 발휘될 수 있는 리더십이 있어야 한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리더는 남을 군림하고 명령하는 사람이 아닌 과학영재교육원에서 보여준 것과 같은 다른 친구들을 배려하고 존중하며 함께 하려는 리더일지도 모른다. 과학영재들이 이러한 리더십과 협동을 통해 관계형성을 배울 수 있는 교육환경이 계속해서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그들이 타인과 함께 상호작용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방법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 리더십을 발휘하며 협업하는 방법 등을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적절한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청소년기의 특징은 ? 청소년기에는 부모와의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면서도 비중이 높아진 또래와의 관계형성에 집중하기 시작하여(Suh, Sin, & Yang, 2012) 부모와의 의존적 관계보다는 동등하고 상호적인 또래관계 속에서 여러 삶의 기능을 배우기 때문에 대인관계 중에서도 또래와의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의 일상생활에서 중심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또래집단은 청소년 스스로가 자율적으로 조직하고 만들어내는 사회적 관계집단으로 건전한 성인으로 성장함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가장 중요한 사회화 기관이다(Kim,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dams-Byers, J., Whitsell, S. S., & Moon, S. M. (2004).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academic and social/emotional effects of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grouping. Gifted Child Quarterly, 48(1), 7-20. 

  2. An, K., & Im, B. (2004). Social research method and analysis. Paju: Hakhyunsa. 

  3. Austin, A. B., & Draper, D. C. (1981). Peer relationships of the academically gifted: A review. Gifted Child Quarterly, 25(3), 129-133. 

  4. Baker, J. A., Bridger, R., & Evans, K. (1998). Models of underachievement among gifted preadolescents: The role of personal, family, and school factors. Gifted Child Quarterly, 42(1), 5-15. 

  5. Boyer, G. B. (1999). Turning points in the development of male servant-leaders. Doctoral dissertation, Fielding Institute. 

  6. Choi, H. N., Kim, S. H., & Kim. C, D. (2008). Adolescence's perceptions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9(1), 181-197. 

  7. Chun, Y. R. & Han, K. S. (2012). The Relationship Among Peer Relation Disposi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effort and School Adjustment of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4), 875-892. 

  8. Daft, R. L. (2015). The leadership experience. Australia: Cengage Learning. 

  9. Dodge, K. A., McClaskey, C. L., & Feldman, E. (1985). Situational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3(3), 344-353. 

  10. Feldhusen, J. F., & Moon, S. M. (1992). Grouping gifted students: Issues and concerns. Gifted Child Quarterly, 36(2), 63-67. 

  11. Galbraith, J., & Delisle, J. R. (1996). The gifted kids' survival guide: A teen handbook. P. Espeland (Ed.). MN: Free Spirit Pub. 

  12. Gross, M. U. M. (1989). The pursuit of excellence or the search for intimacy? The forced-choice dilemma of gifted youth. Roeper Review, 11, 189-194. 

  13. Gross, M. U. (2002). Musings: Gifted Children and the Gift of Friendship. Understanding Our Gifted, 14(3), 27-29. 

  14. Han, K. S. & Heo, J. W. (2008). The Personality and Learning Methods of Scientifically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7(1), 169-189. 

  15. Han, S., Kang, S., & Yoo, S. (2005). A Comparison of Leadership Skills and Social Maturity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2(1), 278-299. 

  16. Heider, F. (2013).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NY: Psychology Press. 

  17. Jang, K., Sung, E, Choi, H., Jin, S. H., Kim, K., & Lee, Y. (2015). A Study on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I : ICCS 2016.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1-561. 

  18. Jeon, M. S., & Kwon, I. N.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You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y Progra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6), 149-177. 

  19. Jo, E. M. & Lee, J. Y. (2009).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pathy between the Gifted and the Non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0(2), 1149-1164. 

  20. Johnson, R. B., & Onwuegbuzie, A. J. (2004). Mixed methods research: A research paradigm whose time has come. Educational researcher, 33(7), 14-26. 

  21. Jung, J. & Kim, Y. (2014).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and on the Images of Scientists, Engineers, and Technicia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8), 719-730. 

  22. Kim, D. H. & Kim, J. H. (2011). Social Relations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5(4), 128-168. 

  23. Kim, M. S. (2000). Youth peer group research. Youth behavior research, 5(1), 1-12. 

  24. Kim, M. S. (2009). Development of KEDI Leadership Program for the Gifte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8(2), 171-195. 

  25. Kim, M. S., Cho, S. H., & Jin, S. (2005). Grade and Gender Differences in Creativity and Leadership and the Relationship of the Two Abilities.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19(3), 799-820. 

  26.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0). Study on Gifted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II). (CR2000-14-04). Seoul: Ku, J., Cho. S., Kim, H., Seo, H., Im, H., Jang, Y., & Bang Y. 

  27. Lee, M. R. (2005). Relationships of Self-Esteem with Family-, Friend-, School-, Leisure-, and Jod-Related Variables in Early Adolescence: Focusing on Psitive and Negative Self Evaluations. Studies on Korean Youth, 16(2), 263-293. 

  28. Lee, S. Y. (1999).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personal Relation and Self-Disclosure in Adolescence. Journal of student guidance, 12, 105-117. 

  29. Lee, S. Y., Olszewski-Kubilius, P., & Thomson, D. T. (2012). Academically gifted students' perceive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eer relationships. Gifted Child Quarterly, 56(2), 90-104. 

  30. Lyu, E. J., Kim, J. E., & Paik, S. H. (2011). Review on Science and Invention-gifted Students Having Social and Emotional Problem.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1(3), 659-682. 

  31. Moon, S. M., & Rosselli, H. C. (2000). Developing gifted programs. In K. A. Heller, F. J. Monks, R. J. Sternberg, & R. F.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Giftedness and Talent (2nd ed). New York: Pergamon Press 

  32. Nam, S. I., Kim, Y. B., Hwang, M. H., & Chung, S. K. (2013).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Ability Enhancement Program for the Gifted in the Middle School. Education Research, 61(4), 1087-1109. 

  33.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OCDE-USAID. Recuperado de: http://www.deseco.admin.ch/bfs/deseco/en/index/02. html. 

  34. Park, S., Cho, S., Kim, H., Lee, J., Yoon, Y., Jin, S., & Han, K.(2003).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inciples. Seoul: GyoYukgwahaksa. 

  35. Sayler, M. F., & Brookshire, W. K. (1993). Social, emotional, and behavioral adjustment of accelerated students, students in gifted classes, and regular students in eighth grade. Gifted Child Quarterly, 37, 150-154. 

  36. Schmitz, C. C., & Galbraith, J. (1985). Managing the social and emotional needs of the gifted: A teacher's survival guide. MN : Free Spirit Pub. 

  37. Seong, H. K. & Han, K. S. (2011). Analysis of Conceptual Diagram Regarding the Counseling Needs of Gifted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9), 309-336. 

  38. Shin, H. S., Kim, S. J., & Park, J. (2010). Research on the View of Parents towar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nd parents' science educational participation whose Student have Entered Science-related Special High School after Graduating from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2(1), 27-43. 

  39. Slavin, R. E. (1987). Grouping for instruction: Equity and effectiveness. Equity & Excellence, 23, 31-36. 

  40. Suh, K. H., Sin, H. J., & Yang, S. A. (2012). Relationships between Narcissism, Self-Esteem, Depression, and Happiness among Children in Early Adolesc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10), 101-119. 

  41. Sung, E., Baek, H., & Jin, S. (2014). A Study on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 : ICCS 2016.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1-325. 

  42. Tashakkori, A., & Creswell, J. W. (2007). Editorial: The new era of mixed methods. Journal of Mixed Methods Research, 1, 3-7. 

  43. Terman, L. M. (1925). The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44. Yeo, S. & Kim, Y. (2005).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6(2), 161-175. 

  45. Yoo, M.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s of 'program inquiring into scientist' for enhancing social-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science-related perceptions of the science-gift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46. Yoon, Y. H. (2000).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and counseling for emotional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Psycholog, 19(1), 79-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