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비주얼머천다이징의 뇌 과학적 접근 -fNIRS를 이용한 패션매장의 긍정적/부정적 VM에 대한 뇌 활성 비교-
Neuro-scientific Approach to Fashion Visual Merchandising -Comparison of Brain Activation to Positive/Negative VM in Fashion Store Using fNIR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1 no.2, 2017년, pp.254 - 265  

김형숙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  이진화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a neuro-scientific approach to fashion Visual Merchandising (VM), by researching the brain activation of customers about fashion stores in terms of VM. Study subjects were in 20's-30's residing in Busan and ten ordinary person or fashion industry related indi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라는 의문에서 시작한 것으로 리테일 마케팅과 뇌 과학 분야의 융합연구를 통해 패션 비주얼머천다이징에 대한 새로운 시각 및 방법론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 보고자 진행되었다.
  • 그러나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속도에 비해 패션 비주얼머천다이징과 소비자 행동에 대한 새로운 방법적용 및 과학적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매장 VM에 대한 뇌 활성과 패션매장의 긍정적/부정적 VM가 뇌 반응으로 구별되는지를 알기 위해 VM측면에서 대비되는 패션매장에 대한 소비자의 뇌 활성을 비교하여 패션 VM 연구에 뇌 과학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이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 『의류매장 디스플레이 소도구에 대한 소비자의 시각반응 연구-아이트래커를 활용한 시각행동 중심으로-』(Kim & Kim, 2010),『주시빈도를 적용한 패션 숍 파사드 이미지 분석』(Yeo & Oh, 2013) 등과 같은 패션상업 공간 분야에서의 뇌 융합 연구가 이루어지긴 했으나, 뇌 과학적 측정보다는 눈에 보이는 행동-동선이나 시선추적-쪽에 치중한 연구로 뇌 과학을 직접적으로 접목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상업 공간에 뇌 과학을 접목한 최초의 연구로서 패션 VM에 있어 뇌 과학을 활용한 융합 연구 접근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 VM과 뇌 과학 분야와의 융합 연구에 대한 가능성 탐색을 통해 향후 패션산업의 다양한 문제들을 뇌 과학적 접근을 통해 해결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VM 측면에서 대비되는 패션매장에 대한 소비자의 뇌 활성도를 비교해 봄으로써 패션 비주얼머천다이징의 뇌 과학적 접근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20~30대 일반인 및 패션업계 종사자 10명을 대상으로 VM 측면에서 대비되는 긍정적/부정적 패션매장 사진자극에 대한 뇌 혈류변화를 fNIRS 기기를 통해 측정하여 패션매장 VM 차이에 따른 소비자의 뇌 활성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피험자의 수가 적고 자극물 유형이 패션매장의 윈도우에 국한되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패션매장의 다양한 비주얼머천다이징에 대한 치밀한 연구설계를 전제한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패션 VM 연구에 있어 설문조사나 시장조사와 같은 기존 연구방식에서 벗어나 시대 흐름에 맞는 과학적이고 융합적인 연구 방법 적용으로 향후 패션 VM의 뇌 과학적 접근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고자 한다. 만약 뇌가 패션 리테일 환경에서 소비자와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밝혀내고 그러한 지식의 효과적인 활용에 대해 알게 된다면 미래의 패션 리테일 공간은 소비자에게 더 많은 즐거움을 줄 수 있고 마케터에게는 더 많은 보상을 가져다 줄 것이라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 비주얼머천다이징이란 무엇인가? 패션 비주얼머천다이징은 visual(전달기술로서의 시각화)과 merchandising(상품화 계획)을 통합한 말로써, 상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기획의도를 시각적으로 연출하고 관리하는데 관련된 총괄적 활동이라 할 수 있다(Ahn et al., 1999).
뇌 과학의 어떠한 학문 분야들과 융합하면서 인간에 대한 다양한 탐구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뇌 과학은 아직 미지의 세계인 뇌의 비밀을 벗기려는 학문으로 최근 뇌 과학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활용한 융합 연구가 기존의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뇌 해부학이나 뇌 생리학뿐 아니라 신경교육학(neuro education), 신경심리학(neuro psychology), 신경경제학(neuro economy), 뉴로마케팅(neuro marketing), 뉴로리더십(neuro leadership) 등 다양한 학문 분야들과 융합하면서 인간에 대한 다양한 탐구가 이루어지고 있다(Kim & Lee, 2015). 이들 연구는 미시적인 세포수준에서 거시적인 뇌와 신경계의 발달을 비롯해 점차 뇌의 본질적인 기능에 대한 규명과 인간의 의식현상과 같은 고등 기능에 이르기까지 고차적인 탐구주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국내 VM 연구는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국내 VM 연구는 태동 및 확장기(1987~1995), 전개 및 성숙기(1996~2005), 안전 성숙기 및 복합기(2006~2015)로 나눌 수 있으며, 특히 전개 및 성숙기(1996~2005)에는 기업측면의 비주얼머천다이징 연구와 마케팅, 소비자 행동반응 관련 연구가 많았고, 안전 성숙기 및 복합기(2006~2015)에는 비주얼머천다이징의 디자인 측면과 기능, 마케팅, 소비자 관점에서의 연구를 융 · 복합하는 주제들이 있었다(Cho, 2015). 최근에는 패션브랜드의 영상미디어 VMD 특성에 관한 연구(Kim, 2016)와 같이 공학 분야와 연계한 연구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완구매장 VMD 연구(Shin, 2016)와 같은 인문학적 관점에서의 비주얼머천다이징 융합 연구 등 더욱 다양한 분야와 융합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hn, K. H., Hwang, S. J., & Jung, C. J. (1999). Fashion marketing. Seoul: Soohaksa. 

  2. Amen, D. G. (2002). 당신의 뇌를 점검하라 [Change your brain, Change your life] (H. S. Ahn, Trans.). Seoul: Han-MunHwa Multimedio.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3. Bakamitsos, G. A. (2000). Mood effects on product evaluations: When and how does mood makes a differ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Evanston, IL. 

  4. Bell, J., & Ternus, K. (2006). Silent selling: Best practices and effectives strategies in visual merchandising (3th ed.). New York, NY: Fairchild Books. 

  5. Chebat, J. C., & Michon, R. (2003). Impact of ambient odors on mall shoppers' emotions, cognition and spending: A test of competitive causal theori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7), 529-539. doi:10.1016/S01482963(01)00247-8 

  6. Cho, E. A. (2015).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in visual merchandising design in Korea-Focusing on the journals and dissertations, form 1987 to 2015-.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7. Curtis, E. (2004). Fashion retail (Interior angles) (1st ed.). Hoboken, NJ: John Wiley & Sons. 

  8. Gao, Y.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synesthesia in TV advertisements with the EEG experim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9. Himichi, T., Fujita, H., & Nomura, M. (2015). Negative emotions impact lateral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during theory of mind: An fNIRS study. Social Neuroscience, 10(6), 605-615. doi:10.1080/17470919.2015.1017112 

  10. Hong, S., Lee, J., Heo, J., Baek, H. J., & Park, K. S. (2015). The estimation of activated prefrontal brain area due to the execution of mental tasks using fNIRS.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36(5), 177-182. doi:10.9718/JBER.2015.36.5.177 

  11. Hubert, M., Hubert, M., Florack, A., Linzmajer, M., & Kenning, P. (2013). Neural correlates of impulsive buying tendencies during perception of product packaging. Psychology & Marketing, 30(10), 861-873. doi:10.1002/mar.20651 

  12. Hwang, J. E. (2015). Hypothetical implications of neuroscience for spatial design - Focused on spatial cognition process -. Journal of Digital Design, 15(2), 395-404. doi:10.17280/jdd.2015.15.2.037 

  13. Jang, H. (2012). The effect of the VMD cognition dimensions of fashion stores on consumers' emotional responses and purchase intention-With a focus on the Show-Window Displa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4. Jung, S. A., & Choi, M. Y. (2011). The effects of the VMD of an SPA store on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pre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1(2), 75-95. 

  15. Kahneman, D. (2012). Thinking fast and slow (J. W. Lee, Trans.). Paju: Gimm-Young Publishers. (Original work published 2011) 

  16. Keturah, H. (2014, May 12). 친구인가, 적인가? 뇌는 어떻게 자신의 의사를 배신하는가? [Are you friends or enemy? How does the brain betray its own intentions?]. THE FUTURIST. Retrieved September 10, 2016, from http://blog.naver.com/the_futurist/209789830 

  17. Kim, H. J. (201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media-centered VMD fashion br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8. Kim, J. H., Kim, S. H., Lee, J. H., & Kim, J. Y. (2014). A study on EEG response to a video stimulus to media facades - Two cases of the Galleria Department Store and the Seoul Square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0(9), 107-118. doi:10.5659/JAIK_PD.2014.30.9.107 

  19. Kim, J. I., & Lee, J. H. (2015, December 5). 뇌 과학과 HRD 의 융합: Brain HRD 뇌과학과 HRD의 융합: 뇌과학 기반 인적자원개발인 BHRD의 가능성 탐색 [Convergence of brain science HRD: A study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based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based on human brain concept]. SERI.org. Retrieved September 10, 2016, from http://www.seri.org/fr/fPdsV.html?fno218594&menucode0499&gubun16&no000070 

  20. Kim, J. Y. (2004). Interior color design using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towards user oriented smart environm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1. Kim, Y., & Kim, G. (2010). A study on the consumer's visual reaction about display props of clothing store - Focus on visual behavior using eye-tracker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4(5), 35-48. 

  22. Kim, Y. J. (2011, December 5). 전전두엽의 기능 [Function of prefrontal lobe]. Navercast. Retrieved September 10, 2016, from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 rid133&contents_id6938 

  23. Kim, Y. M., & Chun, C. Y. (2015), Effects of difference between comparable two environments in aspect of the overall comfort on occupant's brain wave pattern. Proceedings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orea, 35(1), 271-272. 

  24. Law, D., Wong, C., & Yip, J. (2012). How does visual merchandising affect consumer affective response?: An intimate apparel experienc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6(1/2), 112-133. doi:10.1108/03090561211189266 

  25. Lea-Greenwood, G. (2009). Fashion marketing communications. In M. Easey (Ed.), Fashion marketing (3rd ed., pp. 218-237). Chichester: John Wiley and Sons Ltd. 

  26. Lee, E. J., & Shin, H. J. (2012, January). 인간을 읽는 뇌 과학, 마케팅과 만나다 [Meet human brain science and marketing]. DBR, 97. Retrieved September 10, 2016, from http://dbr.donga.com/article/view/1202/article_no/4706 

  27. Lee, J. (2014). EEG experimental studies to prove that advertising of visual center is valid and cognitive communication. Korea Design Knowledge Society Journal, 31, 351-358. 

  28. Lee, M. S., & Choi, I. S. (2009). A study on conjoint analysis for clarifying correlation between VM and impulse purchase.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4(1), 61-69. 

  29. Lee, S. H. (2016, February 1). 인공지능 기술개발 어디까지 왔나? (4) [How far have you been develop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4)]. IT DAILY. Retrieved September 10, 2016, from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74917 

  30. Lee, S. H., Ahn, J., Jeong, I., & Kim, K. (2014a). Vitalization of EEG according fear, humor, sex appeal in advertising and the relation to EEG with recall about advertising. Advertising Research, 101, 62-94. 

  31. Lee, S. H., Kim, G. T., Bae, S. B., Jin, S. H., Jang, G. H., Lee, J. H., & An, J. (2014b). A study of effect of classical music on learning: A fNIRS pilot study. Proceeding HCI KOREA 2014, Korea, 2, 877-879. 

  32. Lim, G. C. (2016, January 31). "뇌융합과학은 사회변화 맞는 인간 행복 연구합니다" ["Brain fusion science studies human happiness in response to social change"]. YONHAP NEWS. Retrieved September 10, 2016,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1/30/0200000000AKR20160130048500004.HTML?input1195m 

  33. Liu, X., & Hong, K. S. (2016). Three class classification of fNIRS signals for the detection of RGB color stimuli in the visual cortex. Proceeding 2016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ICCAS 2016), Korea, 1107-1111. 

  34. Park, H. H., Jeon, J. O., & Kwak, W. I. (2007). The influence of perceived quality and VMD fitness of fashion brand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2(1), 55-70. 

  35. Ryu, J. S. (2016). A study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methods in line with indoor color chan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6. Ryu, J. S., & Lee J. S. (2015). Correlation analysis of emotional adjectives and EEG to apply color to the indoor living spac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9(3), 25-35. doi:10.17289/jkscs.29.3.201508.25 

  37.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 J. Song, Trans.). Seoul: new_present. (Original work published 2016) 

  38. Seo, J. E. (2015). The change characteristic of the stimul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brain wave Reaction to the visual stimulation in the space - Focus on the influence of the halogen and wal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4(5), 99-107. doi:10.14774/JKIID.2015.24.5.099 

  39. Shin, S. Y. (2016). A study of VMD in the toy stores through semiotic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40. Sung, Y. S., & Choi, M. (2011). The effect of the appropriateness of gustatory features in ‘multi-sensory' product design on product evaluation: An fMRI stud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4(2), 235-244. 

  41. Wright, L. T., Newman, A., & Dennis, C. (2006). Enhancing consumer empowerment.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0(9/10), 925-935. doi:10.1108/03090560610680934 

  42. Yang, J. S. (2011). A research on influence of VMD strategy of brand store on purchase behavior of consumer-Focusing on fashion brand sto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2), 335-344. 

  43. Yang, S., Lee, E. J., Paik, S. H., & Kim, B. M. (2015). The "Psy" effect: Neuro-vascular responses to Psy's YouTube videos.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30(2), 75-97. doi:10.15830/kmr.2015.30.2.75 

  44. Yeo, M., & Lee, C. N. (2016). Characteristics of the tactile brainwave on the surface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 Focusing on the measurement of ' ${\alpha}$ -wave against ${\beta}$ wav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5(2), 59-69. doi:10.14774/JKIID.2016.25.2.059 

  45. Yeo, M., & Oh, S. A. (2013). Analysis of the fashion shops' images applying gaze, frequenc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2(6), 212-219. 

  46. Yu, S. H. (2015). Study of production of printed media advertisement increasing selling probability using neuromarketing technique - Focused on beauty industry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Yongi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