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review aims to evaluate a risk of bias by risk of bias tool and RoBANS(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 tool for clinical trial papers proving treatment effect of Korean medicines to alopecia and provides the newest reason of effectiveness of herbs to alopec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탈모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한약제제의 임상연구 논문의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나 전자 데이터베이스 검색만 하였으므로 일부 연구가 누락될 가능성이 있고, 비뚤림 위험 평가 항목에서 논문에 언급이 없으면 불확실로 처리했기 때문에 실제 연구 방법의 항목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탈모증에서는 최초로 한약제제의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시행하여 탈모증 분야에서 한약과 관련된 중재법에 대해 연구된 최신의 근거를 종합하고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해당 임상 연구들의 질을 평가함으로써 현재까지의 연구의 질을 객관적인 방법으로 평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탈모증 환자에서 한약제제의 치료효과를 입증한 임상연구 논문에 대하여 Risk of Bias(RoB)와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RoBANS) 도구를 이용한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고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탈모의 한약제제 치료의 효과성에 대해 최신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4편의 무작위 연구에서 모두 무작위 배정순서 방법과 배정순서 은폐를 보고하지 않고 ‘무작위로 배정하였다’라고만 언급하고 있으므로 선택 비뚤림의 잠재적인 위험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연구 디자인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무작위배정과 배정순서 은폐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하여 논문에도 명시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또한 연구 참여자, 연구자, 결과 평가자의 눈가림이 50%에서만 이루어졌는데 눈가림이 적절히 시행되지 않아서 배정을 알고 있으면 이는 연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전원이 모르는 상태를 유지하고 그 과정을 논문에 명시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탈모증의 한약제제 치료 효과의 근거와 연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시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 또한 중국에서 인삼이 배합된 제품과 일본에서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육모제가 개발되고 있으나 탈모 치료에는 미흡한 수준이다34).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탈모증의 한약제제 치료 효과의 근거와 연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모란? 탈모는 유전적 요인, 내분비 이상, 약물, 정신적 스트레스, 잘못된 생활습관 등이 원인이 되어 모발이 정상적으로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로 1일 성장기 모발에서 성모가 150개 이상 탈락되는 것을 말한다1). 통계청 자료2)에 따르면 2014년도 질병 소분류별 다빈도 상병 급여현황에서 남자는 195위, 여자는 249위를 차지할 만큼 흔한 질환이며, 탈모로 고민하는 20세 이상 성인의 수가 350만 명 정도로 탈모는 더 이상 남성만의 질환이 아니라 여성 탈모환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3).
탈모로 고민하는 20세 이상 성인 수는 어느정도인가? 탈모는 유전적 요인, 내분비 이상, 약물, 정신적 스트레스, 잘못된 생활습관 등이 원인이 되어 모발이 정상적으로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로 1일 성장기 모발에서 성모가 150개 이상 탈락되는 것을 말한다1). 통계청 자료2)에 따르면 2014년도 질병 소분류별 다빈도 상병 급여현황에서 남자는 195위, 여자는 249위를 차지할 만큼 흔한 질환이며, 탈모로 고민하는 20세 이상 성인의 수가 350만 명 정도로 탈모는 더 이상 남성만의 질환이 아니라 여성 탈모환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3).
탈모증의 기존 치료 방법중 Finasteride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탈모증의 기존 치료 방법으로는 Minoxidil과 Finasteride가 대표적인데 Minoxidil은 고혈압 치료제로 약물 복용 후 부작용으로 머리, 팔, 다리 등에 털이 자라는 것이 관찰되어 발모제로 개발된 것으로 각질형성세포의 생존과 모낭의 성장기를 연장시켜 모발이 굵고 길게 자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Finasteride는 5α-reductase를 차단시켜 테스토스테론이 DHT로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탈모 치료에 이용된다4). 그러나 Minoxidil은 두피소양증, 홍반, 각질 등의 접촉피부염, 다모증의 부작용이 있고 Finasteride는 성기능 감소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어5,6)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성장에 효과가 있는 한의학적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Noh SS. Color atlas of Dermatology. 2nd ed. Seoul:IBC publisher. 2015:807-15.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Benefits of Frequent disease by Classification of Disease Subcategories(2014). 2014. Available from: URL: http://kosis.kr 

  3. Na HW, Lee CH, Lee MW, Jung HS, Gwon J, Lee GG. Experimental Studies on Hair Growth Effect of Extracts of Cortex Mori Radicis in Hair Removed C57BL/6N Mice.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2006; 20(2):428-35. 

  4. Choi GS. Hair characteristics and androgenetic alopecia in Koreans. J Korean Med. 2013;56(1):45-54. 

  5. Rossi A, Cantisani C, Melis L, Iorio A, Scali E, Calvieri S. Minoxidil use in dermatology, side effects and recent patents. Recent Pat Inflamm Allergy Drug Discov. 2012;6(2): 130-6. 

  6. Di Loreto C, La Marra F, Mazzon G, Belgrano E, Trombetta C, Cauci S. Immunohistochemical evaluation of androgen receptor and nerve structure density in human prepuce from patients with persistent sexual side effects after finasteride use for androgenetic alopecia. PLoS One. 2014;9(6):24. 

  7. Gang SI, Lee JW. Research on Patent Trends of Hair Loss Prevention and Hair Regrowth. J Korean Soc Beauty Art. 2009;3(2):127-32. 

  8. Kim SH, Hwang DS, Lee JM, Lee GS, Lee CH, Jang JB. Recent Acupuncture Therapy for Polycystic Ovary Syndromes : Systematic Review. J Korean Obstet Gynecol. 2014; 27(2):71-82. 

  9. Park TH, Oh CG, Park YR, Yang SB, Kim JH.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Acupuncture for Shoulder Pain Based on Jadad Scale and revised STRICTA recommendations. Korean J Acupunct. 2012;29(1):93-107. 

  10. Gwon YJ, Jo HY, Hwang UW, Jo SH.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Studies for Herbal Medicine of Dementia - based on Korean Literature -. J Oriental Neuropsychiatry. 2010;21(4):151-61. 

  11. Lee DH, Lee JH, Oh YY, Kim NG. Protocol developing :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Tinnitus - a Focus on Methods of Outcome Measurement.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2):186-91. 

  12. Health Insurance Reviews & Assessment Service. HIRA's guidelin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Introduction. 2013. 

  13.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2011:64-91. 

  14. Kim JH, Lee S M, Choi JE, Son SW. Study of the Efficacy of Korean Red Ginseng in the Treatment of Androgenic Alopecia. J Ginseng Res. 2009;33(3):223-8. 

  15. Kim GR. A study on the effect of eclipta prostrata extract and MTS on the improvemnet of scalp health and prevention of hair loss for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Master's dissertation of Konkuk University. 2011. 

  16. Hyun MY, Suk JM, Jung SW, Park JO, Kim BH, Jang JD, et al. The Efficacy of Shampoo Containing Ginseng Radix on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on Hair Growth. J Soc Cosmet Sci Korea. 2013;39(3):187-94. 

  17. An GS, Hwang IC. Hair Loss Prevention and Hair Growth Promotion by Herb Extracts which contain the Cultured Korean Wild Ginseng. J Korean Soc Beauty Art. 2009;10(4):221-6. 

  18. Jung SI. Impact of Ramulus Mori Extract on Hair Loss Treatment. Master's dissertation of Gunyang University. 2008. 

  19. Oh GN, Son SW. Efficacy of Korean Red Ginseng in the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J Ginseng Res. 2012;36(4):391-5. 

  20. Kim HS. A Study on The Effect of Naturopathy for Improving State of Scalp and Preventing Hair Loss. Master's dissertation of Youngsan University. 2011. 

  21. Noh YH, Lee SY, Kim SG, Lee JH, Jung SY, Choi GE. The effect of Artemisia absinthium extract on hair loss improvement. J Korean Soc Cosmetol. 2012;18(2):429-34. 

  22. Kim NG, Doo IS, Moon YJ, Woo WH.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Sangmogen on the Alopecia.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2005:19(1):270-8. 

  23. Oh HJ, Park HG, Lee SY. An assessment of hair loss ameliorating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mino acid and vitamin complex in human subject. Korean J Human Ecol. 2012;21(3):587-96. 

  24. Park DS, Lee JS, Lee JH. Study of the Clinical Efficacy on Hair-Growth Effect of Leaves Extracts of Thuja orientalis L. J Korean Soc Beauty Art. 2012;13(4):93-103. 

  25. Lee JG, Lee JS, Park HJ, Jung HJ, Ha ID, Jo WJ, et al. The Effects of Traditional Oriental Hair Care Products on Alopecia.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3):145-52. 

  26. Kim MY, An BJ. A Study of Hair Loss Prevention and Hair Growth Promotion by Korean Traditional Fomular. Korean J Herbol. 2004;19(2):9-20. 

  27. Hwang CW, Shim JH, Kim ST. The Effect of Hair Growth and Distribution by Sophorae Radix, Panax ginseng, Salvia miltiorrhiza BUNGE Water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 Korea. 2010;36(3):215-9. 

  28. Lee TH, Moon JB, Kim YJ, An GA. Oriental Medicine Therapy in the Treatment of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Korean J Acupunct. 2006;23(1):179-6. 

  29. Hong JA, Gang SJ, Jang JY, Gang YR. A Clinical Trial on Efficacy of Gagamchengyoung-tang(Ji?jianqingying-tang) in the Alopecia Patients with Febrile Tendenc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3;26(2):19-29. 

  30. Lee JH, Jang JY, Yun YJ, Jo AR, Shin HJ, Jung SW, et al. Retrospective Study about the Causes and the Effect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lopecia - Focused on Acquired Febrile Alopecia -.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3;26 (2):30-44. 

  31. Randail VA. Androgen and human hair growth. Clin Endoclinol. 1994. 

  32. Kim MG. Research on the scalp hair clinic product : beauty salon speciality product focus on import brand. Master's dissertation of Konkuk university. 2003. 

  33. Kim GH, Kim GY. The research of hair loss by cosmetological approach. J Korean Soc Cosmetol. 1999;5(1):109-22. 

  34. Park WS, Sung DS, Kim DG, Jo WH, Lee HG, Lee CH, et al. The Effect of Hair Essence (HHRHG0202-80) Containing Five Herbal Extracts on Hair Growth and the Prevention of Alopecia in vitro &vivo. J Korean Oriental Med. 2004;25(1):152-60. 

  35. Hamilton JB. Patterned loss of hair in man : Types and incidence. Ann NY Acad Sci. 1951;53:708-28. 

  36. Norwood OTT. Male pattern baldness : Classification and incidence. South Med J 1975;68:1359-70. 

  37. Ludwig 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androgenetic alopecia(common baldness) occurring in female sex. Br J Dermatol. 1997;97:247-54. 

  38. Park HY. Primary registry of the WHO International Clinical Trial Registry Platform: 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CRIS). J Korean Med Assoc. 2011;54(1):92-7. 

  39. Lee SH, Kim YI, Lim HW, Lee GH, Choi BI. A Study on Management and Report of Adverse Event in Clinical Trials. J Korean Soc Clin Pharmacol Ther. 2011;19(2):98-108. 

  40. Jung HJ, Park JE, Choi SM. Current Status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s and Approvals of Clinical Research in Oriental Medical Hospitals in Korea: A Survey. J Korean Oriental Med. 2010;31(1):122-9. 

  41. Moon JB, Kim YJ, Lee TH. Methods of Evaluating Efficacy of Hair Growth Following Treatment for Alopecia in Oriental Medicine. J Korean Oriental Med. 2006;27(2):57-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