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모증 유발요인과 한의학적 치료 효과에 대한 후향적 연구 - 후천적 열성 탈모를 중심으로 -
Retrospective Study about the Causes and the Effect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lopecia - Focused on Acquired Febrile Alopecia -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6 no.2, 2013년, pp.30 - 44  

이정환 (발머스한의원) ,  장진영 (발머스한의원) ,  윤영준 (발머스한의원) ,  조아라 (발머스한의원) ,  신현진 (발머스한의원) ,  정상욱 (발머스한의원) ,  정연호 (발머스한의원) ,  강여름 (발머스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auses and the effect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lopecia. Methods : 1050 patients with alopecia, who had visited oriental medical clinics from July 2011 to October 2012, were analyzed by self-assessments. And 153 patients of them were 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은 전체 탈모시장에서 한방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고, 탈모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관점 역시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저자는 한의원에 내원한 탈모 환자들의 특성을 조사하고, 그러한 기준을 토대로 한의학적 치료를 시행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모증이란 무엇인가? 탈모증은 모발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부위에서 소실되는 질환으로 주로 두부에 발생한다. 안드로겐성 탈모증은 모든 남녀에서 사춘기 이후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유형의 탈모증으로 남성 호르몬과 유전적인 소인이 중요한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1).
안드로겐성 탈모증의 특징은 무엇인가? 탈모증은 모발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부위에서 소실되는 질환으로 주로 두부에 발생한다. 안드로겐성 탈모증은 모든 남녀에서 사춘기 이후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유형의 탈모증으로 남성 호르몬과 유전적인 소인이 중요한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1). 그러나 현대인의 탈모는 노화나 유전적인 요인뿐 아니라 각종 환경오염, 업무의 스트레스, 식생활 변화에 따른 호르몬 분비에 이상 등 후천적 요인의 영향이 증가하고 있다.
탈모 인구의 증가 원인은 무엇인가? 안드로겐성 탈모증은 모든 남녀에서 사춘기 이후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유형의 탈모증으로 남성 호르몬과 유전적인 소인이 중요한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1). 그러나 현대인의 탈모는 노화나 유전적인 요인뿐 아니라 각종 환경오염, 업무의 스트레스, 식생활 변화에 따른 호르몬 분비에 이상 등 후천적 요인의 영향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국내 탈모 인구의 증가로 탈모 시장은 급팽창하고 있으며 탈모관련 산업은 성장기에 들어섰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anneken S, Ritzmann S, Nothen MM, Kruse R. Androgenetic alopecia: current aspects of a common phenotype. Hautarzt. 2003;54:703-12. 

  2. So HR, We SY, Im EJ. Comparison of Hair Loss Factors by Sex in Seoul and Chungcheon Area. J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11;17(2):286-96. 

  3. Lee JR, Lim EJ. Analysis and Forecast of the Domestic Market for Hair loss.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2009;7(1):153-61. 

  4. Lee JS, Kim SN. Theses: A survey of the status of hair Loss product use, hair Loss treatment and satisfaction Level. J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Business. 2007;11(2):76-91. 

  5. Greenberg JH, Katz M. Treatment of androgenetic alopecia with a 7.5% herbal preparation. J Dermatol Treat. 1996;7:159-62. 

  6. McClellan KJ, Markhan KJ. Finasteride: a review of its use in male pattern hair loss. Drugs. 1999;57(1):111-26. 

  7. Sidney G, Paulo AN, Ricardo S, Nelson RN, Jonathas BS, Andrea GG. Finasteride- Associated Male Infertility. Rev Hosp Clin Fac Med Sao Paulo. 2004;59(4):203-5. 

  8. Kim YJ, Moon JB, Yi TH. The Study of Literature on Meridians and Acupoints about Acupuncture Treatment of Alopecia. J Korean Oriental Med. 2006;27(3):212-21. 

  9. Kang HJ, Kang SH, Lee SS, Cho SH, Park SW. A Clinical Study of Andro-genetic Alopecia.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2004;42(11):1431-9. 

  10. Yi HH, Jeong MY, Kim SJ. Scalp Care & Medical Treatment. Seoul:Cheonglam. 2005: 90-6. 

  11. Paus R, Cotsarelis G. The biology of hair follicles. N Engl J Med. 1999;341:491-7. 

  12. Hamilton JB. The male hormone stimulation is prerequisite and an incitant in common bladness. Am J Anat. 1942;71:451-80. 

  13. Randall VA. Androgens and human hair growth. Clin Endoclinol. 1994;40:439-57. 

  14. Burton JL, Banhalim MM, Meyrick G, Jeans WD, Murphy D. Male-pattern alopecia and masculinity. Br J Dermatol. 1979;100:567-71. 

  15. Ioannides G. Alopecia: a pathologist's view. Int J Dermatol. 1982;21:316-28. 

  16. Son HC, Sim WY. The Expressions of Androgen Receptors and Estrogen Receptors in Bald and Non-bald Area of Androgenic Alopecia.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2002;40(12):1487-92. 

  17. Park MS, Han JS. A Study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with Alopecia and the Causes of Alopecia.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2012;8(2):135-40. 

  18. Lee SM, Yi TH, Keum DH. A Clinical Study on 80 Cases of Alopecia Patients in the Oriental Medicine Clinic. J Oriental Rehab Med. 2005;15(2):141-54. 

  19. Chung JR. Effect of fever in parietal region on the Hair-loss. Kor J Aesthet Cosmetol. 2011;9(2):115-23. 

  20. Han J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 Loss and Scalp Types and the Status of Demodex Infection. Journal of Nambu University. 2007;2(19). 

  21. Jang HY, Choi KH, Kim SH, Kwon KR, Kim BW. Bibliographic Studies of Depilation.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12;5(2): 92-108. 

  22. Huh Joon. DongUiBoGam. Seoul:Bubinbooks. 1999:793-802. 

  23. Oh BG. A Study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hair loss problem and without problem. Seoul:Seokyeong University. 2007. 

  24. Balmer's Medical Committee. Balmer's 5 years research on alopecia - Innovative theory of alopecia: Febrile Alopecia. 1st ed. Suwon:Yeolinsidae. 2012:50-68. 

  25. Lee SW, Ko JM, Lee SY, Lee MH, Kim YJ, Lee SH, et el. Case Reports : A Case Study of Beevenom Effect on Alopecia Universalis Started from Alopecia Areata.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2008;25(6):163-73. 

  26. Kim KW, Seo JC, Lee KM, Jeong TY, Lim SC, Han SW. A Case of Alopecia Areata Treated with Bee Venom and Carthami Flos Herbal Acupuncture. Bibliographic Studies of Depilation. 2004;7(2):91-6. 

  27. Kim NK, Du IS, Mun YJ, Woo WH.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Sangmogen on the Alopecia.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2005;19(1):270-8. 

  28. Lee JH, Kang YR, Jeong YH, Ahn TW. A Case of Extensive Alopecia Areata Treated with Traditional Oriental Hair Care Product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9;22(2):269-80. 

  29. Hwang JS, Lee AR, Lim DJ, Cho HS, Kim KH, Kim G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4;17(3):138-45. 

  30. Yi TH, Moon JB, Kim YJ, Ahn KE. Oriental Medicine Therapy in the Treatment of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2006;23(1):17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