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대 대학생에서 전정계 자극 활동이 시 지각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estibular Stimulation Activity on Visual Percep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Age of Twentie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7 no.1, 2017년, pp.1 - 8  

홍기훈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홍소영 (고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정계 자극 활동이 시 지각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2016년 3월14일부터 5월20일까지 충청남도 A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세 집단을 무작위 선정하여 A는 전정계 자극활동 없이 일반 사무용 의자에 앉아서 시 지각 과제를 수행하였다. 집단 B와 C는 트램폴린에서 뛰기의 전정계자극 활동을 실시한 후 집단 B는 일반사무용 의자, 집단C는 공 의자에서 시 지각 과제 수행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전정자극 활동을 실시한 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집단 간에 시 지각 과제수행시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전정자극 활동을 전혀 하지 않고 사무용의자에 앉은 집단 A는 전정자극 활동을 하고 사무용 의자에 앉아 과제를 수행한 집단 B(p=.037)와 전정자극 활동 후 공 의자에 앉아 과제를 수행한 C와 차이를 나타냈다(p=.000). 그러나 동일한 전정자극 활동을 하고 사무용 의자에 앉은 집단 B와 공 의자에 앉은 집단 C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전정감각 자극활동이 시 지각 과제 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후 대상자의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vestibular stimulation activity on visual perception. Methods : A total of 58 healthy adults in chungnam w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 divided into the total 3 groups and studied. Group A was no vestibular stimulation, they s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전정자극 활동이시 지각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성인의 시 지각 증진을 위한 전정자극 활동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각통합이란 무엇인가? 감각통합은 적응반응을 만들어내기 위해 뇌에서 감각정보를 조직화하는 과정이다(Ayres, 1979). 자신의 신체와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감각들을 조직화하여 환경 속에서 신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Ayres,1989).
전정기관 중 삼반규관의 역할은 무엇인가? 전정감각 수용기는 이석기관(otolithorgans) 및 삼반규관(semicricularcanals)의 기부 팽대부에 위치하는 유모세포이다. 삼반규관은 전정감각계의 동적인 요소를 담당하는데 공간에서의 머리의 움직임, 가속, 감속, 각도, 방향, 머리의 회전등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석기관은 수직적움직임과 공간위치에서 앞과 뒤를 인식하고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Fisher & bundy, 1989). 전정감각이 입력되면 정보를 뇌간과 연결되어 있는 전정신경핵으로 전달된다.
전정계는 안구 운동과 자세 조절에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 삼반규관은 전정감각계의 동적인 요소를 담당하는데 공간에서의 머리의 움직임, 가속, 감속, 각도, 방향, 머리의 회전등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석기관은 수직적움직임과 공간위치에서 앞과 뒤를 인식하고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Fisher & bundy, 1989). 전정감각이 입력되면 정보를 뇌간과 연결되어 있는 전정신경핵으로 전달된다. 전정신경핵은 다른 감각계, 특히 시각계로부터 입력을 받아 안구운동에 영향을 미친다(Bundy et al., 2002). 머리의 자세와 움직임을 통하여 전정감각이 내이에서 발행하면 자극이 전정기전으로 바뀌어 안정된 시야유지와 자세를 잡는데 영향을 미친다(Kandel, Schwartz, &Jessell, 2000). 전정계는 안구운동의 기본회로인 전정 시각계, 자세조절 회로인 전정 척수계, 정서나 자율신경회로인 전정자율신경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안구운동을 조절하고 시각적 집중력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뇌줄기의 그물체에 연결되어 각성 상태를 조절하고 자율신경과 상호작용을 한다(Kim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yres, A. J. (1979).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2. Ayres, A. J. (1989). Sensory integrarion and praxis test(SIPT): manual.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3. Baranek, G. T., Foster, L. G., & Berkson, G. (1997). Sensory defensiveness in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17, 173-185. 

  4. Brandt, T., Glasauer, S., Stephan, T., Bense, S., & Yousry, T. A., Deutschlander, A. et al (2002). Visualvestibular and visuovisual cortical interaction. Annals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956(1), 230-241. 

  5. Brown, C. E., & Dunn, W. (2002).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San Antonio: A Harcourt Assessment Co. 

  6. Bundy, A. C., Lane, J. L., & Murray, E. A. (2002).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2ed). The F.A. Davis Company, Phidelphia, Pennsylvania. 

  7. Burgoyne, M. E., & Ketcham, C. J. (2015). Observation of Classroom Performance Using Therapy Balls as a Substitute for Chair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 and Training Studies, 3(4), 42-48. 

  8. Cardon, G., De Clercq, D., De Bourdeaudhuij, I., & Breithecker, D. (2004). Sitting habits in elementary schoolchildren: a traditional versus a "Moving school".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4(2), 133-142. 

  9. Colarusso, R. P., & Hammill, D. D. (2003).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 manual. Novato, CA: Academic Therapy Publications. 

  10. Cooke, D. M., McKenna, K., & Fleming, J. (2005).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occupational therapy screening tool for visual perception in adults. Scandinavia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2(2), 59-71. 

  11. Dieterich, M., & Brandt, T. (2000). Brain activation studies on visual-vestibular and ocular motor interaction. Current Opinion in Neurology, 13(1), 13-18. 

  12. Fisher, A. G., & Bundy, A. C. (1989). Vestibular stimulation in the treatment of postural and related disorders. In O.D. payton, R.P. Difabio, S.V. paris, E.J.Prostas, & A.F.Vansant(Eds.), Manual of physical therapy techniques(pp.239-258).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3. Granacher, U., Muehlbauer, T., Gollhofer, A., Kressing, R. W., & Zahner, L. (2011). An intergenerational approach in the promotion of balance and strength for fall prevention. Gerontology, 57(4), 304-315. 

  14. Hong, S. Y. (2010). Effectiveness of balance training based on Virtual Reality game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1), 55-64. 

  15. Jang, J. Y. (2007). A study on serious game design for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patients.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16. Jin, H. S. (1991).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traing program on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and related func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tic syndrome.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7. Kandel, E. R., Schwartz, J. H., & Jessell, T. M. (2000). Principle of neural science, (4th ed). New York: McGraw-Hill. 

  18. Kim, H. H., HwangBo, G., Yoo, B. K., & Kim, M. K. (2011). Effects of Vestibule-Oriented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on the Nystagmus, Visual Perception and Balanc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4, 290-302. 

  19. Kim, K. M., Kim, J. M., No, J. S., Park, S. H., Yoo, E. Y., Jang, M. Y. et al. (2008). Sensory Integration and child. Koonja: seoul. 

  20. Kingma, I., & van Dieen, J. H. (2009). Static and dynamic postural loadings during computer work in females: Sitting on an office chair versus sitting on an exercise ball. Applied ergonomics, 40(2), 199-205. 

  21. Kohlmeyer, K. (1998). Evaluation of sensory and neuromusular performance components. In M. E. Neistadt & E. B. Crepeau (Eds.), Willard and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9th ed., pp. 223-259). Philadelphia: Lippnocott-Raven. 

  22. Koppitz, E. M. (1970). Brain damage, reading disability and the bender Gestalt Test.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y, 3, 429-433. 

  23. Law, M. (2005). Appendix E-outcome measures rating form guidelines. In M. Law, C. Baum, & W. Dunn (Eds.), Measuring occupational performance: Supporting best practice in occupational therapy (2nd ed., pp.396-409). Thorofare, NJ: Slack. 

  24. Lee, T, Y. (2012)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Life and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5), 272-279. 

  25. Park, Y. J., & Kong, I. J. (2015). A Systematic review of effects on integration intervention based on vestibular-proprioceptive system for children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3(2), 53-61. 

  26. Pfeiffer, B., Henry, A., Miller, S., & Witherell, S. (2008). Effectiveness of Disc 'O'Sit cushions on attention to task in second-grade students with attention difficulti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3), 274-281. 

  27. Ralph, J. K., Jonathan, M., Langston, J. W., & Craig, V. D. (1987).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A brief but differentiated approach to cognitive assessm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481-482. 

  28. Warren, M. (1993). A hierarchical model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of visual perceptual dysfunction in adult acquired brain injur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7, 42-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