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Life-Space Assessment(LSA)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적합성 검증연구
A Study on Translation Process into Korean Version of the Life-Space Assessment to Assess Community Mobility for Elderl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7 no.1, 2017년, pp.49 - 57  

김정희 (동의의료원 작업치료실) ,  장문영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평가도구인 Life Space Assessment(LSA)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이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내용 타당도와 이해도 검증을 실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원문 LSA을 번역-역번역한 최종 한글 번역본을 6명의 전문가 위원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신입 작업치료사 13명에게 문항에 대한 이해도를 검증을 조사하였다. 내용 타당도와 이해도 검증은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s Validity Index; CVI)를 사용하였다. 결과 : 내용 타당도에 대한 각 문항에 대한 CVI .93~1.00이었으며, 도구 전체 CVI는 .99로 매우 높은 수준의 내용 타당도를 보였다. 또한 내용 이해도 결과는 각 문항 CVI .92~1.00로 분포하였고, 도구 전체 CVI는 .97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검증되었다. 결론 : LSA의 한국어 번역 검증 결과 내용 타당도 및 이해도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검증되어 국내에서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LSA의 수렴타당도, 구성타당도, 신뢰도 검증 등의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create a translation of Life Space Assessment(LSA) for elderly, which was then tested for content related validity and understanding test. Methods : The translation and content validation process involved direct and backward translation, and the collection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LSA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이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내용 타당도 및 이해도 검증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내에 LSA를 소개하고, 임상에서 LSA를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 LSA 평가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실제 일상적인 삶을 영위하는 공간에서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LSA를 번역-역변역 과정 후 내용 타당도와 이해도 검증을 통해 번역의 적합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매우 높은 수준의 내용 타당도와 이해도를 보여 LSA 한국어 번역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실제 일상적인 삶을 영위하는 지역사회 공간에서의 이동성을 측정하는 외국의 평가도구인 LSA를 한글로 번역하고 국내에 적용가능한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어 번역본의 적합성을 내용 타당도와 이해도로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동성은 무엇인가? 이동성(mobility)은 개인이 어디로 움직이거나 이동하는 것이며, 움직임의 빈도(frequency)와 독립도(degree of independence)로 정의된다(Shumway-Cook, & Woollacott, 2001). 이동성은 집이나 지역사회에서 의미 있는 활동을 참여하는데 필수적인 능력이며, 이동성을 측정할 때에는 실제 개인이 활동을 참여하는 생활공간에서 측정하여야 한다(Kumar et al.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에 대한 판별 및 평가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에 대한 판별 및 평가는 신체기능 저하를 예방하고,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Gill, 2010). 노인의 이동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자가 설문지 및 면담을 통한 피검자의 주관적인 신체 수행도를 평가하는 방법과 실제 이동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노인의 이동성과 질병의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에 의하면 개인에게 실질적인 생활환경 내의 지역사회 활동과 참여는 건강과 기능적인 면에서 중요한 요소이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노인의 지역사회 내 이동성 제한은 알츠하이머와 같은 인지손상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유용한 예측인자가 되기도 하고, 임상환경에서 기능적인 건강에 대한 지표로도 제안된다(Boyle, Buchman, Barnes, James, & Bennett, 2010; James, Boyle, Buchman, Barnes, & Bennett, 2011). 또한 노인의 지역사회 활동 참여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및 영적으로 건강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성공적인 노화에 필수적 요소이다(Lee, & Suk,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ker. P. S., Bodner, E. V., & Allman, R. M. (2003). Measuring life-space mobil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51(11), 1610-1614. 

  2. Boyle, P. A., Buchman, A. S., Barnes, L. L., James, B. D., & Bennett, D. A. (2010). Association between life space and risk of mortality in advanced ag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58(10), 1925-1930. 

  3. Curcio, C. L., Alvarado, B. E., Gomez, F., Guerra, R., Guralnik, J., & Zunzunegui, M. V. (2013). Life-Space Assessment scale to assess mobility: validation in Latin American older women and men. Aging Clinical Experimental Research, 25(5), 553-560. 

  4. Dermers, L., Monette, M., Descent, M., Jutai, J., & Wolfson, C. (2002). The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 : Translation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evaluation of Canadian-French version. Quality of Life Research, 11(5), 583-592. 

  5. Forhan, M., & Gill, S. V. (2012). Obesity, functional mobility and quality of life. Best Practice & Research. 27(2), 129-137. 

  6. Freiberger, E., Vreede, P., Schoene, D., Rydwik, E., Mueller., V., & Frandin, K., et al. (2012). Performance-based physical function in older community-dwelling persons : a systematic review of instruments. Age and Ageing, 41(6), 712-721. 

  7. Fried, L., Ferrucci, L., Darer, J,. Williamson, J. D., & Anderson, G. (2004). Untangling the concepts of disability, frailty, and comorbidity: Implications for improved targeting and car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9(3), 255-263. 

  8. Fristedt, S., Kammerlind, A. S., Bravell, M. E., & Fransson. E. I. (2016). Concurrent validity of Swedish version of the life-space assessment questionnaire. BioMed Central Geriatrics, 16(181), 2-6. 

  9. Gill, T. M. (2010). Assessment of function and disability in longitudinal studie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58(2), 308-312. 

  10. Guralnik, J. M., Ferrucci, L., & Simonsick, E. M. (1995). Lower extremity function in persons over the age of 70 years as predictor of subsequent disability. New England Journal Medicine, 332(9), 556-561. 

  11. James, B. D., Boyle, P. A., Buchman, A. S., Barnes, L. L., & Bennett, D. A. (2011). Life space and risk of Alzheimer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cognitive decline in old ag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9(11), 961-969. 

  12. Ji, M., Zhou, Y., Liao, J., & Feng F. (2015). Pilot study on the Chinese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61(2), 301-306. 

  13. Kim, K. E., Park, W. B., Oh, M. K., Kang, E. K., Lim, J. Y., Yang, E. J., et al. (2010). The Effect of Physical Performance and Physical Activity on Quality of Life in Old People: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 Society, 14(4), 212-220. 

  14. Kim, S. M., Rhim, S. Y., Park, S. K., Lee, K. H., Kim, H., B., & Yang, D. C., et al. (2009). The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in Stroke Patients.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3(5), 533-537. 

  15. Kumar, A., Schmeler, M. R., Karmarkar, A. M., Collins, D. M., Cooper, R., Cooper, R. A., et al. (2013).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functional mobility assessment (FMA): a pilot stud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8(3), 213-219. 

  16. Lee, S. H., Suk, M. S. (2015).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n successful aging of elderly : The Mediating Effects of Verification ego-resilie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8012-8020. 

  17.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18. May, D., Nayak, U. S., & Isaacs, B. (1985) The life-space diary: a measure of mobility in old people at home. International Rehabilitation Medicine, 7(4), 182-186. 

  19. Ohnuma, T., Hashidate, H., Yoshimatsu, T., & Abe, T., (2014) Clinical usefulness of indoor life-space assessment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certified as needing support or care. Nihon Ronen Igakkai Zasshi. 51(2), 151-160. 

  20. Oh-Park, M., Hung, C., Chen, P., & Barrett, A. M. (2014). Severity of Spatial Neglect During Acute Inpatient Rehabilitation Predicts Community Mobility After Stroke. National Institute Health of Pubilc Assess, 6(8), 716-722. 

  21. Park, R. J., Son, S. S., Cho, J. S., Oh, H. J., Lee, H. H., & Lee, M. H., et al. (2011). Correlations between SPPB, FRT, and TUG in Hospitalized Frail People : The Timed Up and Go test, the Functional Reaching Test, and the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3(2), 17-21. 

  22. Peel, C., Sawyer B. P., Roth, D. L., Brown, C. J., Brodner, E. V., & Allman, R. M. (2005). Assessing mobility in older adults: The UAB Study of Aging Life-Space Assessment. Physical Therapy, 85(10), 1008-1119. 

  23. Polit, D. F., & Beck, C. T. (2006). The content validity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p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9(5), 489-497. 

  24. Polit, D. F., Beck, C. T., & Owen, S. V. (2007).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0(4), 459-467. 

  25. Portegijs, E., Iwarsson, S., Rantakokko, M., Viljanen, A., & Rantanen, T., (2014). Life-space mobility assessment in older people in Finland; measurement property in winter and spring. BioMed Central Reseach Notes, 30(7), 323. 

  26. Shimada, H., Sawyer, P., Harada, K., Kaneya, S., Nihei, K., Asakawa, Y., Yoshii, C., Hagiwara, A., Furuna, T., & Ishizaki, T. (2010). Predictive validity of the classification schema for functional mobility tests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cline among older adul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91(2), 241-246. 

  27. Shumway-Cook, A., & Woollacott. M. H. (2001).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2nd ed.). New York, Lippincott-Williams & Wilkins, 401-406. 

  28. Snih, S. A., Peek, K. M., Sawyer, P., Markides, K. S., Allman, R. M,. & Ottenbacher, K. J. (2012). Life-space mobility in Mexican Americans aged 75 and older.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60(3), 532-537. 

  29. Sousa, V. D., & Rojjanasrirat, W. (2011). Translation,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instruments or scales for use in cross-cultural health care research: A clear and user-friendly guideline. Journal of Evaluationin Clinical Practice, 17(2), 268-274. 

  30. Suzuki, T., Kitaike, T., & Ikezaki, S. (2014). Life-space mobility and social support in elderly adults with orthopaedic disor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1), 32-38. 

  31. Tinetti, M. E., Speechley, M., & Ginter, S. F. (1988).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9(26), 1701-1707. 

  32. Ware, J. E., & Sherbourne, C. D. (1992).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30(6) 473-483. 

  3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eva, Switzerland: Author. 

  34. Zhi, Y. W., Mohamed, A. H., Fahad, S., Abdul, H. M. Y., & Hisham, A. (2014).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Malaysian version of generic medicines scale. Journal of Medical Marketing, 14(1), 32-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