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한국어판 생활공간 평가(Korean Version of the Life-Space Assessment; K-LSA)의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 검증 연구
Validation Study of Clinical Utility and Usability on Korean Version of the Life-Space Assessment to Assess Community Mobilit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8 no.1, 2018년, pp.1 - 10  

김정희 (인제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장문영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평가도구인 한국어판 생활공간 평가(Korean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 K-LSA)의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 60명을 대상으로 K-LSA의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 검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객관식 문항 및 사용성에 관한 객관식과 주관식 문항을 포함하였다. 객관식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 및 기술 통계로 처리하였고, 사용성에 대한 주관식 문항은 항목별로 공통적인 요소를 모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K-LSA의 임상적 유용성에 긍정적 표현인 '보통(3점)'과 '그렇다(4점)'와 '매우 그렇다'로 응답한 비율이 95~100%이었고, 문항 별 점수 분포가 3.6~4.0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K-LSA의 사용성에 대한 질문에 긍정적 표현인 '보통'과 '쉽다'와 '매우 쉽다'로만 응답한 비율은 88.3~100%이었고, 문항 별 점수 분포가 3.6~4.0점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사용성에 대한 개방형 질문에서 생활공간 범위 3과 4에서 기준의 모호함이 언급되었다. 결론 : K-LSA는 국내 보건의료 분야에서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평가도구로 임상적으로 유용하며, 사용이 용이한 도구이다. 따라서 치료사들이 노인의 사회 참여를 증진시키고, 지역사회 이동을 위한 중재 목표를 세우고, 교육하는데 기초자료로 LSA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study is to validate the clinical utility and us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K-LSA) which is an assessment tool of community mobility of older adults. Methods : Surveys on the clinical utility and usability of the K-LSA are carried out with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임상에서 실제 LSA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추후 예상되는 신체적, 정신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과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가를 대상으로 한국어판 생활공간 평가(Korean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 K-LSA)의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지역사회 이동성을 객관적으로 평가 가능한 한국형 생활공간 평가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선행연구로, 한국어 번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만 이루어진 LSA를 보건의료 기관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에게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 검증 연구는 매우 의미 있는 연구로 사료된다. 따라서 K-LSA를 임상에서 노인이나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평가하거나, 치료 계획 수립에 활용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KLSA를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에게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이 우수히 검증됨으로써 K-LSA 사용자의 편의성과 적합성을 촉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K-LSA 연구는 노인의 사회 참여를 증진시키고, 이를 관리하는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 보건정책 관리자에게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 2014).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분야에서 이동성 관련 대표 전문가 집단인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 60명을 대상으로 K-LSA의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을 검증을 실시하였다.
  • 지역사회 이동성 평가는 개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인 일상생활활동의 참여에 필수적인 영역으로(AOTA, 2010), 집안에서의 이동 뿐 아니라 집 밖 공간으로의 이동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보건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 집의 내 외부 공간, 동네 인근, 다른 동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간으로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한국어판 생활공간 평가((Korean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 K-LSA)의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을 알아보았다.
  • 타 문화권에서 개발된 LSA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하더라도 국내에서 사용할 때에는 문화적, 환경적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Sousa, & Rojjanasrirat, 2011). 즉, 국내 임상 현장에 LSA를 적용하기 전 사용자인 보건의료 임상가를 대상으로 LSA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검증 연구가 필요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LSA의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한다. 첫째, 임상적 유용성(Clinical utility)조사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평가 및 중재에 유용함(usefulness)을 밝히는 절차이다(Doig, Fleming, Kuipers, & Cornwell,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동의 제한이란 어떤 어려움을 말하는 것인가? 이동의 제한(Mobility limitation)은 걷기나 계단 이용하기와 같이 일상적이고 기능적인 이동의 어려움 뿐 아니라 자신이 영위하는 삶의 모든 공간으로의 이동에 제한이 있는 것이다(Prohaska, Anderson, Hooker, Hughes, & Belza, 2011). 노인의 46%는 이동의 제한이 있다고 보고되며, 이동성을 유지한다는 것은 노년의 삶이 보다 독립적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James, Boyle, Buchman, Barnes, & Bennett, 2011).
LSA의 채점 방식은? LSA 개발자 Sawyer Baker 등 (2003)은 채점 방식은 크게 간단 점수(Simple scores)와 복합 점수(Composite Scores; LSA-CS)로 나누어 설명하 였다. 간단점수는 이동의 빈도나 독립성을 고려하지 않은 생활공간 범위를 점수화 하는 방법이다. 간단점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보조기기나 사람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성취 가능한 가장 높은 생활공간 범위를 점수화한 최상위 생활공간(Maximum Life-Space; LS-M)점수가 있고, LS-M점수 범위는 0〜5점이다. (2)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오직 보조기기만의 도움으로 이동 가능한 최대 생활 공간 범위를 보조기기 생활공간(Equipment Life-Space; LS-E)점수라 한다. LS-E점수 범위도 0〜5점이다. (3) 보 조기기나 사람의 도움 없이 스스로 가장 멀리 이동 가능한 최대 생활공간 범위를 독립성 생활공간(Independent Life-Space; LS-I)점수라고 한다. LS-I점수 범위도 0〜5 점이다. 다음은 이동의 빈도나 독립성을 고려한 복합 점수 (LSA-CS)이다. LSA-CS는 각 생활공간 범위 ˟ 빈도 ˟ 독립성으로 얻어진 값의 총합으로, 범위는 최소 0점에서 최대 120점으로 정규 분포를 나타내는 점수 방식이다. LSA-CS는 신체 기능 점수, 우울 지수, ADL/ IADL 기능 점수, 건강 관련 평가 등에서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다(Peel et al.
지역사회 이동성이란? 지역사회 이동성(Community mobility)은 수단적인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중의 하나로 지역사회에서 직접 걸어서 이동하기, 대중교통 이용하기, 자가운전이나 자전거와 같은 개인교통수단 이용하기 등의 능력을 의미한다(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AOTA], 2014). 지역사회 이동성은 개인의 일상적인 삶의 영위뿐만 아니라 일이나 여가와 같은 사회적인 참여에 있어 필수적인 영역이다(AOTA,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Suppl. 1), S1-S48. 

  2.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0). Driving and Community mobil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Supp. 1), S112-S124. 

  3. Choi, H., Kim, D. A., Lee, B. S., Lee, J. A., & Lee, J. J., et al. (2015). Effectiveness Modified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CPAD) to evaluate. Seoul,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4. Cresswell, T. (2010). Towards a politics of mobility.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28(1), 17-31. 

  5. Classen, S. (2010). Special issue on older driver safety and community mobil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2), 211-214. 

  6. Curcio, C. L., Alvarado, B. E., Gomez, F., Guerra, R., Guralnik, J., & Zunzunegui, M. V. (2013). Life-Space Assessment scale to assess mobility: validation in Latin American older women and men. Aging Clinical Experimental Research, 25(5), 553-560. 

  7. Doig, E., Fleming, J., Kuipers, P., & Cornwell, P. L. (2010). Clinical utility of the combined use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nd Goal Attainment Scaling.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6), 904-914. 

  8. Fried, L., Ferrucci, L., Darer, J., Williamson, J. D., & Anderson, G. (2004). Untangling the concepts of disability, frailty, and comorbidity: Implications for improved targeting and car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9(3), 255-263. 

  9. Fristedt, S., Kammerlind, A. S., Bravell, M. E., & Fransson, E. I. (2016). Concurrent validity of Swedish version of the life-space assessment questionnaire. BioMed Central Geriatrics, 16(181), 2-6. 

  10. Gardezi, F., Wilson, K. G., Man-Son-Hing, Marshall, S. C., Molnar, F. J., Dobbs, B. M., et al. (2006). Qualitative research on older drivers. Clinical Gerontologist, 30, 5-22. 

  11. Gill, T. M. (2010). Assessment of function and disability in longitudinal studie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58(2), 308-312. 

  12. James, B. D., Boyle, P. A., Buchman, A. S., Barnes, L. L., & Bennett, D. A. (2011). Life space and risk of Alzheimer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cognitive decline in old ag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9(11), 961-969. 

  13. Jeong, K. H., Oh, Y. H., Kang, E. N., Kim, J. H., & Sun, W. D., et al. (2014). Survey of the elderly in 2014.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4. Ji, M., Zhou, Y., Liao, J., & Feng, F. (2015). Pilot study on the Chinese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61(2), 301-306. 

  15. Kim, J. H., & Chang, M. Y. (2017). A Study on Translation Process into Korean Version of the Life-Space Assessment to Assess Community Mobility for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7(1), 49-57. 

  16. Lee, Y. N., Kim, H., Choi, E. M., & Lee, E. Y. (2017). Content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of 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Test Korean Trans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2), 143-153. 

  17. May, D., Nayak, U. S., & Isaacs, B. (1985). The life-space diary: a measure of mobility in old people at home. International Rehabilitation Medicine, 7(4), 182-186. 

  18. Ohnuma, T., Hashidate, H., Yoshimatsu, T., & Abe, T. (2014). Clinical usefulness of indoor life-space assessment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certified as needing support or care. Nihon Ronen Igakkai Zasshi, 51(2), 151-160. 

  19. Peel, C., Sawyer Baker, P., Roth, D. L., Brown, C. J., Bodner, E. V. & Allman, R. M., et al. (2005). Assessing Mobility in Older Adults: The UAB Study of Aging Life-Space Assessment. Physical Therapy, 85(10), 1008-1019. 

  20. Portegijs, E., Iwarsson, S., Rantakokko, M., Viljanen, A., & Rantanen, T., (2014). Life-space mobility assessment in older people in Finland; measurement property in winter and spring. BioMed Central Reseach Notes, 30(7), 323. 

  21. Prohaska, T. R., Anderson, L. A., Hooker, S. P., Hughes, S. L., & Belza, B. (2011). Mobility and Aging: Transference to Transportation. Journal of Aging Research, 2011(15), 1-3. 

  22. Sawyer Baker, P., Bodner, E. V., & Allman, R. M. (2003). Measuring life-space mobil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51(11), 1610-1614. 

  23. Shin, Y. N., Park, S. H., Lee, J. Y., & Park, J. H. (201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chool Function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4), 27-37. 

  24. Smart, A. (2006). A multi-dimensional model of clinical utility.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8(5), 377-382. 

  25. Sousa, V. D., & Rojjanasrirat, W. (2011). Translation,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instruments or scales for use in cross-cultural health care research: A clear and user-friendly guideline. Journal of Evaluationin Clinical Practice, 17(2), 268-274. 

  26. Umastattd Meyer, M. R., Janke, M. C., & Beaujean, A. A. (2014). Predictors of older adults' personal and community mobility: using a comprehensive theoretical mobility framework. Gerontologist, 54(3), 398-408. 

  27. Wessels, R. D., de Wittte, L. P., Jedeloos, S., van den Heuvel, W. P., & van den Heeuvel, W. J. (2004). Effectiveness of provision of outdoor mobility services and devices in The Netherlands. Clinical Rehabilitation, 18(4), 371-378. 

  28. Williamson, J. D., Espeland, M., Kritchevsky, S. B., Newman, A. B., King, A. C., & Pahor, M., et al. (2009).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in a randomized trial of physical activity: Results of the lifestyle interventions and independence for elders pilot study. Journals of Gerontology, 64(6), 688-694.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Towards a common language for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Geneva, Switzerland: Autho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