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중서부지역 갯방풍의 자생지 생육환경에 따른 재배적성 고찰
Optimum Cultivation Conditions from Habitat Status of Glehnia littoralis in Korean Midwest Region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5 no.2, 2017년, pp.102 - 107  

강희경 (공주대학교 원예학과) ,  김성민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송홍선 (공주대학교 자원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tty acid content and habitat conditions of Glehnia littoralis in the Korean midwest region. Methods and Results: The emergence area of G. littoralis was 36.1 m from the coastline at an elevation of 4.2 m and slope of 4.3%. The soil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중서부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갯방풍의 자생지 분포실태 및 생육환경과 지방산을 분석하여 재배를 위한 생육조건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갯방풍은 한반도 어디에서 자라는가? 한반도의 해안사구에 자라는 식물 중에 잘 알려진 유용식물로서 갯방풍 (Glehnia littoralis Fr. Schm.
갯방풍은 어떠한 약용이 있는가? 갯방풍은 산형과 (Umbelliferae)의 다년초이며, 뿌리를 해방풍이라 하여 한약재로 이용하고 있다 (Seo and Ryu, 1976). 여러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갯방풍은 고혈압, 뇌졸중, 해열, 진통, 신경통 등의 약용 (Bae, 2000)과 더불어 잎줄기의 식용가치가 있어 국내 해안사구에서 소면적으로 재배하고 있는 자원 식물이다.
갯방풍의 자생지는 어떤 원인에 의해 줄어들었는가? 갯방풍은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약관심종 (least concerned) 등급으로 지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국외반출시 환경부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 생물자원으로 지정된 야생식물이지만 해안도로 건설 및 제방시설 구축 등으로 해안사구가 줄어들면서 자생지가 날로 줄어들고 있다 (Kim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llen SE, Grimshaw HM and Rowland AP. (1986). Chemical analysis: In Moore PD and Chapman SB. (ed.). Methods in plant ecology. Blackwell Scientific Publisher. Oxford, England. p.285-344. 

  2. Bae KH. (2000).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 Publishing. Seoul, Korea. p.376-379. 

  3. Boo HO, Tomitaka Y, Ichimura M and Kimura M. (1995).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light on anthocyanin synthesis in Glehnia littoralis Fr. Schm. Journal of Oriental Botanical Resources. 8:135-141. 

  4. Daubenmire RF. (1974). Plants and environment. John Willey and Sons. New York, USA. p.420. 

  5. Kang HK, Kim SM, Han JH and Song HS. (2015). Vegetation and habitat conditions of Peucedanum japonicum in uninhabited islands of Incheo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3:214-222. 

  6. Kim JH, Park SS and Song CK. (2008a). Cultivation limit of Vitex rotundifolia, Tetragonia tetragonoides and Glehnia littoralis at coastal area and physiological vitality of RAW 264.7 cell and HL-60 cel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44-50. 

  7. Kim SM and Song HS. (2009a). Fluctuation of habitat individuals of Glehnia littoralis Fr. Schm. and Peucedanum japonicum Thunb. in Korea. Korean Assoicaition of Societies for Plant Science. Seoul, Korea. p.195-196. 

  8. Kim SM and Song HS. (2009b). Phytosociological distribution and type of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 community in eastern coast of Korea: Analysis by DCA ordina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139-144. 

  9. Kim SM, Shin DI, Song HS and Yoon ST. (2006). Phytosociological distribution and structure of vegetation types of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18:121-127. 

  10. Kim SM, Shin DI, Song HS and Yoon ST. (2008b). Contents of fatty acids and phytosterols of Glehnia littoralis among habitat area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337-340. 

  11. Kim SM, Shin DI, Song HS, Kim SK and Yoon ST. (2005).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in South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3:171-177. 

  12. Lee SB, Park BK and Lee CY. (1996). Distributions, propagations and growth on Glehnia littoralis Schm. et Miq. at western seashore areas of Taean peninsula in Chungnam. Korean Journal Resource Science Research Institute Kongju University. 4:167-180. 

  13. Lee WT and Chon SK. (1984).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On the sand dune vegetation of the western coast.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7:74-84. 

  14. Li HI, Liu TS, Huang TC, Koyama T and Devol CE. (1977). Flora of Taiwan. National Science Council of the Republic of China Press. Taipei, Taiwan. p.951-952. 

  15. Miyawaki A, Suzuki K, Fujiwara K and Okuda S. (1980). Potentielle naturliche vegetation des Chugoku-Gebietes(West Honshu).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6:77-118. 

  16. Nam JY and Ryu KS. (1975).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Korean 'Bang Poong'.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6:151-159. 

  17.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NAAS). (200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1-90. 

  18. Noh KS, Yang MO and Cho EJ. (2002).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Umbelliferaeceae.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18:8-12. 

  19. Park BK and Lee SB. (2000).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lehnia littoralis Schmidt et Miquel at Taean peninsula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12:287-297. 

  20. Seo YK and Ryu KS. (1976). Study on the components of glehniae radix.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7:233-235. 

  21. Song HS and Kim SM. (2013). Adaptation of farm field transplanting and growth habitat of Artemisia capillaris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1:49-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