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s of faecal bacteria in commercial oriental medicine herb products. Methods and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and antimicrobial specificity of Bacillus cereus and other microbes using 106 or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통 한약재에 대한 식중독균의 분포와 식중독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유무를 알아봄으로서 안전한 한약재의 유통을 위한 역학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약재란 무엇인가? 5.)에 의하면, ‘한약재’라 함은 ‘한약’ 또는 ‘한약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약재를 말하고, ‘규격품’이라 함은 ‘한약재의 제조 및품질기준, 포장방법, 표시사항 등의 기준에 적합한 한약재’로정의하고 있다.
한국에서 한약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배경은 무엇인가? 일부 살균효과가 있는 가공공정을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살균과정을 거친 것은 거의 드물기 때문에 한약재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오염수준과 주요 미생물의 모니터링 조사 연구는 한약재의 위생관리 및 오염관리에 있어서 중요하다 (Lee andYoon, 2010). 약용작물의 소비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원료의 생산, 유통 판매과정에서 재래 유통방식의 잔재가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어, 세균이나 곰팡이 독소 오염 등으로 인한 약용작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Kim et al., 2014).
한약재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모니터링이 중요한 까닭은 무엇인가? 일부 살균효과가 있는 가공공정을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살균과정을 거친 것은 거의 드물기 때문에 한약재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오염수준과 주요 미생물의 모니터링 조사 연구는 한약재의 위생관리 및 오염관리에 있어서 중요하다 (Lee andYoon, 2010). 약용작물의 소비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원료의 생산, 유통 판매과정에서 재래 유통방식의 잔재가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어, 세균이나 곰팡이 독소 오염 등으로 인한 약용작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i EJ, Jang SR, Kang OJ and Bang WS. (2013). Antimicrobial activity of Psoralea corylifora, Schisandra chinensis, and Spatholobus suberectus extract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5:495-500. 

  2.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CLSI). (2007).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disk susceptibility tests: Approved standard-ninth edition.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Wayne. PA, USA. CLSI document M2A9. 

  3. Han YS, Kang SJ, Pack SA, Lee SS and Song HJ. (2011).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lower tea extracts against oral bacteria.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27:21-28. 

  4. Kim YR, Ha JH, Kim SR, Park YC, Kim KC, Kim WI, Ryu SH and Kim HY. (2016).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Liriope platyphylla at post harvest environments. Journal of Food Hygiene Safety. 31:99-106. 

  5. Kim YR, Lee KA, Kim SR, Kim WI, Ryu SH, Ryu JG and Kim HY. (2014). Microbial hazard analysi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for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Journal of Food Hygiene Safety. 29:181-188. 

  6. Lee JS and Yoon YS. (2010). Studies on bacterial and fungal contamination in the herbal medicin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4826-4832. 

  7. Park KD and Cho SH. (2010).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Paeonia lactiflora Pall. extract tested against food-putrefactive microorganism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7:706-711. 

  8. Ryu JY, Park YJ and Kim HS. (2011). Antibacterial activity of fermented Korean medicine against 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6:543-551. 

  9. Seo KI, Lee SW and Yang KH. (1999).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6:99-103. 

  10. Shim WB, Kim JS, Kim SR, Park KH and Jung DH. (2013).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distributed in Korean markets.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8:319-323. 

  11. Song MO, Hwang YO, Kim SJ, Ryu SH, Jeong HW, Park JE, Kim DM, Park GY and Choi SM. (2014). Inhibitory effect of antimicrobial food against Bacillus cereus. Journal of Food and Hygiene Safety. 29:211-2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