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18종의 한약재추출물을 제조하여 병원성세균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오배자, 오미자 및 소목 메탄올 추출물은 대부분 균주에 대해 5 mg/mL 수준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나 15여 종의 한약재추출물들은 30 mg/mL 수준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오배자의 S. epidermidis와 Bor. bronchiseptica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0.6 mg/mL로 나타났다. 우수한 항균활성이 확인된 오배자, 소목, 오미자, 황금을 대상으로 극성이 다른 5가지 용매로 순차 분획하여 항균활성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균주에서 EtOAc층이 다른 분획층에 비해 성장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항균력이 우수한 한약재추출물의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증식배지에 0, 100, 300 및 500 ppm의 메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한약재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12시간 이후 급격한 균의 성장을 나타내고 있으나 오배자와 소목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그람 양성균인 S. aureus, S. epidermidis 및 L. monocytogenes는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오배자추출물은 그람음성균인 Sal. Pullorum과 Sal. Choleraesuis의 성장을 저해하였고 Bor. bronchiseptica, E. coli serotype $O_8$은 오배자와 소목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 성장이 다소 저해되었음을 보여주었고,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균의 성장이 강하게 억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18 kinds of Korean medicinal herb extracts were examined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The methanol (MeOH) extracts from Schizandra chinensis, Rhus javanica and Caesalpinia sappan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most pathogenic microorga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 연구되고 있는 항균효과는 주로 식품의 보존성을 높이기 위한 유해균에 대한 항균력에 집중되어 있고 질병에 대한 항균력 측정은 미미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약재를 이용하여 자주 발병하는 병원성 균주에 대한 항균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tuart BL. 1992. The antibiotic paradox: How miracle drugs are destroying the miracle. Plenum publishing Co., New York, NY, USA. p 114-129. 

  2. Brumfitt W, Hamilton-Miller J. 1989.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N Engl J Med 320: 1188-1193. 

  3. Lee BW, Shin DH. 1991.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0-204. 

  4. Beuchat IR, Galden DA. 1989. Antimicrobials occuring naturally in foods. Food Technol 43: 134-137. 

  5. Jung SR. 1993. Antimicrobial activity of commercial medicinal herbs. J Kor Phar Assoc 4: 78-81. 

  6. Shin MG. 1986. Clinical herbal medicine. Younglimsa, Seoul, Korea. p 190-235. 

  7. Jin JI. 1982. Herbal medicine dictionary: Chinese pharmacology dictionary. Kangnamsa, Seoul, Korea. p 235-278. 

  8. Hong MW. 1972. Statistical studies on the formularies of oriental medicine (I): prescription frequency and their origin distribution of herb drugs. Kor J Phamacog 3: 57-64. 

  9. Hwang DY. 1987. Bangyaeghabpeun. Namsandang, Seoul, Korea. p 62-79. 

  10. Kim MS, Lee DC, Hong HE, Chang IS, Che HY, Kwon YK, Kim HY. 2000.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and Indonesian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49-958. 

  11. Park UY, Chang DS, Cho HR. 1992.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s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1: 91-96. 

  12. Chang HS, Choi I.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against Escherichia coli.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s 18: 293-300. 

  13. Choi I, Cho JY, Lim SC.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herb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 Plant Res 19: 491-496. 

  14. Ha JY, Kim TH. 1996. Antibacterial effect of extract from Korean medical plants. Korean J Oriental Medical Pathology 10: 99-104. 

  15. Schwob I, Bessiere JM, Dherbomez M, Viano J. 2002.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f Hypericum coris. Fitoterapia 73: 511-513. 

  16. Talla E, Djamen D, Djoulde R, Tatsadjeu L, Tantoh D, Mbafor JT, Fomum ZT.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Bridelia ferruginea leaves extracts. Fitoterapia 73: 343-345. 

  17. Masika PJ, Afolayan AJ.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plants used for the treatment of livestock disease in the Eastern Cape, South Africa. J Ethnopharmacol 83: 129-134. 

  18. Shin DH, Kim MS, Han JS. 1997.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ir fractionates against food-born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08-816. 

  19. Itokawa H, Hirayama F, Tsuruoka S. 1990. Screening test for antitumor activity of crude Indonesia medicinal plants. Shoyakugaku Zasshi 44: 58-63. 

  20. Piddok LJV. 1990.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68: 307-318. 

  21. Lee MC, Kim GP, Kim SH, Chung NH, Yim MH. 1997.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 from gall-nut and red-grape husk. Korean J Food & Nutr 10: 174-179. 

  22. An BJ. 2001. Effect of inhibition on glucosyltransferas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olyphenol fraction of gallnut and red grape husk.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8: 217-223. 

  23. Lee SH, Lim YS. 1997.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ra chinesis extracts against Listeria monocytogens. Korean J Appl Microbial Biotechnol 25: 229-234. 

  24.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25. Cho SH, Kim YR. 2001.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Scutellariae Radix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64-968. 

  26. Lee JY, Min YK, Kim HY. 2001. Isol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nd antimicrobial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89-394. 

  27. Kweon OG, Son JC, Kim SC, Chung SK, Park SW. 1998.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moutan cortex extract.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5: 281-285. 

  28. Chung KH, Lee SH, Lee YC, Kim JT.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27-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