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해화학물질 대응시스템 적용을 위한 제도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Legal System for Harmful Chemical Substance Response Management Syste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4, 2017년, pp.216 - 223  

옥영석 ((사)방재관리연구센터) ,  이영섭 ((사)방재관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학물질은 전 세계적으로 1,500만 여종 이상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을 정도로 현대사회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물질 중에서 국민의 건강과 환경을 위협하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유해화학물질이 상당수 존재한다. 과거 사례를 통해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인간의 생명에 얼마나 큰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화학물질사고의 특성상 짧은 시간에 큰 피해로 확산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예방하고 사고발생 후에는 즉각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국내의 화학물질에 대한 법제도가 2015년 기준으로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서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과 "화학물질관리법"의 체계로 이원화되었다. 그러나 현행법상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과 화학물질정보처리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화학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화학물질사고 대응시스템이라기보다는 화학물질 정보에 그 목적을 둔 종합정보시스템이기에, 실질적인 사고대응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해화학물질의 정보관리체계, 대응관리체계 및 화학물질 관리 지원 근거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한 현행 화학물질관리법 등의 개정방향과 지자체별 화학물질대응시스템을 개발 운영할 수 있도록 법제도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micals are an indispensable element of modern society to the extent that more than 15 million speci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worldwide. However, among them are chemicals whose toxicityposes a threat to public health and the environment, as illustrated by past cases of chemical accidents, wh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화학물질정보시스템(Chemicals Information System)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는 산업체의「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및 「화학물질관리법」의 이행을 지원하고 국제협력과 종전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시행과정에서 축적된 자료의 활용성을 제고하며, 분산된 화학물질의 정보를 통합하여 일반 국민에게 일원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5].
  • 이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역량이 취약한 중소규모사업장에 대한 안전진단, 화학안전 관리교육 등 기술지원 및 컨설팅으로 화학안전관리 강화 및 안전의식 고취, 화학안전사고 예방을 통한 국민의 생명 및 환경보호를 추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지원사업은 일시적인 아닌 법적근거를 통해 상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화학물질관리법 종합정보시스템(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화학물질정보시스템(Chemical Information System) 등 각종 화학 재난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나, 여전히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해화학누출사고를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자체별 화학물질대응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대응시스템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물질사고의 특성은 무엇인가? 과거 사례를 통해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인간의 생명에 얼마나 큰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화학물질사고의 특성상 짧은 시간에 큰 피해로 확산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예방하고 사고발생 후에는 즉각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국내의 화학물질에 대한 법제도가 2015년 기준으로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서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과 "화학물질관리법"의 체계로 이원화되었다.
화학물질정보시스템의 목적은? 화학물질정보시스템(Chemicals Information System)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는 산업체의「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및 「화학물질관리법」의 이행을 지원하고 국제협력과 종전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시행과정에서 축적된 자료의 활용성을 제고하며, 분산된 화학물질의 정보를 통합하여 일반 국민에게 일원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5].
화학물질사고 발생 추세는 어떠한가? 개정이유에서 밝히고 있는바와 같이 동법의 기능은 화학사고를 대비한 ①예방관리체계의 강화, ②신속한 대응체계의 구축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하지만 산업시설의 대형화, 집중화면서 인간의 생활공간과 밀접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법 개선 등에도 불구하고 화학물질사고는‘13년 86건, ‘14년 105건, ‘15년 111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4]. 그리고 2016년 6월 금산 불산 누출사고를 계기로 실시된 13개 사업장에 대한 점검결과, 46%인 6개 사업장에서는 비상대응계획 개선, 응급조치계획 개선 및 교육/훈련 실시가 필요로 분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Beck, U., Risk "Society: Towards a New Modernity London" Sage, 1992. 

  2.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4 Disaster yearbook", pp. 95, 2014. 

  3.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Internet]. Korea,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accessed Feb. 1, 2017]. 

  4. Korea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Harmful Chemicals Cases of Accidents book, pp. 87, 2015. 

  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NCIS(National Chemical Information System)[Internet]. Korea, c2017[cited 2006 Jan 1], Available From: http://ncis.nier.go.kr, (accessed Feb., 1, 2017). 

  6.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Safe Management of Harmful Chemicals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election Guide", pp. 171-176, 2016. 

  7. J. G. Park, "the improvement of the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 Korea Environment Institute Vol.1, No. 2, 2013. 

  8.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Report, 201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