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년기 활동 참여가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Activity Engagement of Late Adulthood on Life Satisfaction and Ego Integration: Mediating Effect of Life Mean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5, 2017년, pp.100 - 113  

김민희 (한국상담대학원 대학교) ,  이주일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및 한림응용심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활동 참여가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활동 참여와 삶 만족, 활동참여와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은퇴한 55세 이상의 성인 700명(남자 350명, 여자 350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제안된 모형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활동 참여의 수준이 높을수록 삶 만족이 높으며, 자아통합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 참여와 삶 만족, 활동 참여와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노년기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있어서 활동 참여와 삶의 의미가 가지는 역할과 본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ctivity engagement on life satisfaction and ego integration in late adulthood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meaning between activity eng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and ego integration. 700 elderly(359 male, 350 female) who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노인들은 하나의 활동이 아닌 다양한 활동에 동시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활동의 종류를 배타적으로 구분하여 그 영향력을 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활동 참여를 신체 활동이나 자원봉사 등의 특정 활동으로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활동 참여의 수준이 노년기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물론 노년기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건강이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심리적 영역도 중요한데[7], 노년기 삶의 만족, 자아통합감은 노년기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심리적 변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활동 참여가 노년기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편 노년기 활동의 유형보다는 활동의 의미가 더 중요하며[8][9], 활동의 영향력에 있어서 어떤 종류의 활동에 참여하는가는 중요하지 않다[10]는 주장들이 있다.
  • 최근에는 간접효과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검증력을 높이고 일종 오류를 감소시키는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추천한다[48].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1000번의 부트스트래핑을 통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실용적 함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년기 성공적 발달과 삶의 질 향상이라는 중요한 사회적 이슈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년기 안녕감 저하를 예방하고 더 나아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이 되어서도 활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의 활동 참여가 노년기 심리적 안녕감의 지표인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활동 참여-안녕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본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겠다.
  • 전술한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활동 참여가 삶의 의미를 매개하여 노년기 삶의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활동 참여가 노년기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활동 참여와 삶 만족, 자아통합감의 관계를 삶의 의미가 매개하는가? 이며, 본연구의 모형은 [그림 1]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의 활동 참여가 노년기 심리적 안녕감의 지표인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활동 참여-안녕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본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겠다.
  • 한편 노년기 활동의 유형보다는 활동의 의미가 더 중요하며[8][9], 활동의 영향력에 있어서 어떤 종류의 활동에 참여하는가는 중요하지 않다[10]는 주장들이 있다. 이들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해결하지 못한 다음의 몇 가지 연구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첫째, 활동의 종류가 아닌 다양한 활동에 대한 참여 수준이 노년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활동 참여가 신체적 건강이 아닌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활동 참여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가 어떤 역할을 하는가?.
  • 전술한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활동 참여가 삶의 의미를 매개하여 노년기 삶의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활동 참여가 노년기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활동 참여와 삶 만족, 자아통합감의 관계를 삶의 의미가 매개하는가? 이며, 본연구의 모형은 [그림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활동 참여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또 일부연구에서는 신체적 활동(physical activity)이라는 용어로 신체적 움직임을 동반하는 활동을 측정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지 신체적 활동이나 움직임이 아니라 다양한 노년기 활동에 참여하는 것에 초점을 두면서도 수동적으로 시간을 보내는 행위(예, TV시청, 낮잠 등)가 아닌 좀 더 적극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로 활동 참여(activity engagement)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은퇴함에 따라서 노년층 인구의 전망은 어떠한가? 수명 증가는 거의 대부분의 국가에서 발견되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1],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은퇴에 접어들게 됨으로써 노년층으로 들어가는 인구는 더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노인 인구의 증가는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노인 인구의 증가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수명 증가는 거의 대부분의 국가에서 발견되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1],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은퇴에 접어들게 됨으로써 노년층으로 들어가는 인구는 더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노인 인구의 증가는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A. C. Mui, M. Glajchen, H. Chen, and J. Sun, "Developing an older adult volunteer program in a New York Chinese community: an evidence-based approach," Ageing international, Vol.38, No.2, pp.108-121, 2013. 

  2. A. Bowling and Z. Gabriel, "An integrational model of quality of life in older age. Results from the ESRC/MRC HSRC quality of life survey in Britai,"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69, No.1, pp.1-36, 2004. 

  3. S. L. Albrecht, "Reactions and adjustments to divorc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of males and females," Family Relations, pp.59-68, 1980. 

  4.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Vol.37, No.4, pp.433-440, 1997. 

  5. 두송화, 장재윤, "은퇴자들의 심리적 건강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8권, 제2호, pp.99-126, 2015. 

  6. 한태영, 신교수, 이주일, "중고령 근로자의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의 영향요인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2권, 제2호, pp.137-163, 2016. 

  7. C. Melendez, J. M. Tomas, A. Oliver, and E. Navarro, "Psychological and physical dimensions explaining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 structural model examination,"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48, No.3, pp.291-295, 2009. 

  8. J. R. Kelly, Activity and aging: Staying involved in later life, Sage Publications, Inc, 1993. 

  9. Y. Lee and B. McCormick, "Subjective well-being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does leisure contribute?,"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70, No.3, p.5, 2004. 

  10. O. O. Ajoke and O. H. Foluke, "Influence of ego integrity and health status on death anxiety of adults in Ekiti State, Nigeria," IFE PsychologIA: An International Journal, Vol.24, No.1, pp.97-103, 2016. 

  11. E. A. Greenfield and N. F. Marks, "Formal volunteering as a protective factor for older adul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59, No.5, pp.258-264, 2004. 

  12. Y. Li and K. F. Ferraro, "Volunteering and Depression in Later Life: Social Benefit or Selection Process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6, No.1, pp.68-84, 2005. 

  13. M. A. Musick and J. Wilson, "Volunteering and depression: The rol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in different age groups," Social science &medicine, Vol.56, No.2, pp.259-269, 2003. 

  14. V. M. Willigen, "Differential benefits of volunteering across the life cours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55, No.5, pp.308-318, 2000. 

  15. R. D. Putnam,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Vol.6, No.1, pp.65-78, 1995. 

  16. D. Stolle and T. R. Rochon, "Are all associations alike? Member diversity, associational type, and the creation of social capital,"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42, No.1, pp.47-65, 1998. 

  17. J. Lahti, A. Holstila, E. Lahelma, and O. Rahkonen,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all-cause mortality," PloS one, Vol.9, No.7, e101548. 2014. 

  18. N. F. Johnsen, A. Ekblond, B. L. Thomsen, K. Overvad, and A. Tjonneland,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mortality," Epidemiology, Vol.24, No.5, pp.717-725, 2013. 

  19. U. M. Kujala, V. P. Makinen, I. Heinonen, P. Soininen, A. J. Kangas, and T. H. Leskinen, et al., "Long-term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serum metabolome," Circulation, Vol.22, No.127, p.3, 2013. 

  20. D. Deplanque, I. Masse, C. Libersa, D. Leys, and R. Bordet, "Previous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dose dependently decreases ischemic stroke severity," Stroke research and treatment, 2011. 

  21. T. Balboa-Castillo, L. M. Leon-Munoz, A. Graciani, F. Rodriguez-Artalejo, and P. Guallar-Castillon, "Longitudinal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during leisure time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Vol.9, No.1, p.47, 2011. 

  22. P. M. Nakamura, I. P. Teixeira, B. P. C. Smirmaul, E. Sebastiao, C. B. Papini, S. Gobbi, and E. Kokubu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s differently associated with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intensities according to gender: a cross-sectional approach,"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Vol.12, No.1, p.98, 2014. 

  23.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자리사업 참여만족, 경제상태만족, 자기가치감 변화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23-132, 2015. 

  24. W. J. Strawbridge, S. Deleger, R. E. Roberts, and G. A. Kaplan, "Physical activity reduces the risk of subsequent depression for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56, No.4, pp.328-334, 2002. 

  25. K. B. Adams, S. Leibbrandt, and H. Moon,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ocial and leisure activity and wellbeing in later life," Ageing and society, Vol.31, No.4, pp.683-712, 2011. 

  26. M. Stanley and J. Cheek, "Well-being and older people: A review of the literatur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70, No.1, pp.51-59, 2003. 

  27. E. D.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28. E. Erikson, "Womanhood and the inner space. Identity, youth and crisis," pp.261-294, 1968. 

  29. A. Walker and T. Maltby, "Active ageing: A strategic policy solution to demographic ageing in the European Un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21, No.1, pp.117-130, 2012. 

  30. H. Litwin, "Social Networks and Self-Rated Health A Cross-Cultural Examination Among Older Israeli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18, No.3, pp.335-358, 2006. 

  31. S. I. Hong, L. Hasche, and S. Bowland,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The Gerontologist, Vol.49, No.1, pp.1-11, 2009. 

  32. G. Nimrod and H. Adoni, "Leisure-styl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recent retirees in Israel," Ageing and Society, Vol.26, No.4, pp.607-630, 2006. 

  33. A. Neugebauer, P. P. Katz, and L. A. Pasch, "Effect of valued activity disability, social comparisons, and satisfaction with ability on depressive symptoms in rheumatoid arthritis," Health Psychology, Vol.22, No.3, p.253, 203. 

  34. S. J. Heintzelman and L. A. King, "Life is pretty meaningful," American Psychologist, Vol.69, No.6, p.561, 2014. 

  35. N. Krause, "Longitudinal study of social support and meaning in life," Psychology and aging, Vol.22, No.3, p.456, 2007. 

  36. E. A. McMahan and M. D. Renken, "Eudaimonic conceptions of well-being, meaning in life, and self-reported well-being: Initial test of a mediational model,"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1, No.5, pp.589-594, 2011. 

  37. C. D. Ryff, "Successful aging: A developmental approac," The Gerontologist, Vol.22, No.2, pp.209-214, 1982. 

  38. M. F. Steger, J. R. Mann, P. Michels, and T. C. Cooper, "Meaning in life, anxiety, depression, and general health among smoking cessation pati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67, No.4, pp.353-358, 2009. 

  39. N. Krause, "Meaning in life and mortalit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64, No.4, pp.517-527, 2009. 

  40. P. A. Boyle, A. S. Buchman, L. L. Barnes, B. D. James, and D. A. Bennett, "Association between life space and risk of mortality in advanced ag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8, No.10, pp.1925-1930, 2010. 

  41. N. Mascaro and D. H. Rosen, "Existential meaning's role in the enhancement of hope and prevention of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Vol.73, No.4, pp.985-1014, 2005. 

  42. G. P. Owens, M. F. Steger, A. A. Whitesell, and C. J. Herrera, "Relationships among guilt, meaning in lif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veteran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22, pp.654-657, 2009. 

  43. N. Krause and B. A. Shaw, "Role-specific control, personal meaning, and health in late life," Research on Aging, Vol.25, No.6, pp.559-586, 2003. 

  44. J. A. Hicks and L. A. King, "Positive mood and social relatedness as information about meaning in life,"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4, No.6, pp.471-482, 2009. 

  45. D. Williams, "The impact of time online: Social capital and cyberbalkanization," Cyber Psychology &behavior, Vol.10, No.3, pp.398-406, 2007. 

  46. 김숙향, 황경란,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263-273, 2016. 

  47.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 p.411, 1988. 

  48. K. J. Preacher, and A. F. Hayes,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0, No.3, pp.879-891, 2008. 

  49. X. Sun, H. Lucas, Q. Meng, and Y. Zhang, "Associations between living arrangement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urban elderly people: a study from China," Quality of life research, Vol.20, No.3, pp.359-369, 2011. 

  50. V. Toepoel, "Ageing, leisure, and social connectedness: how could leisure help reduce social isolation of older people?,"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113, No.1, pp.355-372, 2013 

  51. J. S.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pp.95-120, 1988. 

  52. B. Cornwell, E. O. Laumann, and L. P. Schumm, "The social connectedness of older adults: A national profil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73, No.2, pp.185-203, 2008. 

  53. 김정순,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54. 김동배, 신수민, 정규형, "노년기 자원봉사참여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제57권, pp.7-28, 2012. 

  55. Y. Jang, J. A, Mortimer, W. E. Haley, and A. R. B. Graves, "The role of social engagement in life satisfaction: Its significance among older individuals with disease and disabilit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23, No.3, pp.266-278, 2004. 

  56. T. Schnell, "The Sources of Meaning and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SoMe): Relations to demographics and well-being,"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4, No.6, pp.483-499, 2009. 

  57. J. A. Hicks, J. Trent, W. E. Davis and L. A. King, "Positive affect, meaning in life, and future time perspective: an application of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Psychology and aging, Vol.27, No.1, p.181, 2012. 

  58. 이지영, 이가옥,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 제24권, 제2호, pp.193-215, 2004. 

  59. C. Wrosch, R. Schulz, and J. Heckhausen, "Health Stresse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the Elderly A Control-Process Approach,"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13, No.1, pp.17-20, 2004. 

  60. J. C. Goll, G. Charlesworth, K. Scior, and J. Stott, "Barriers to social participation among lonely older adults: The influence of social fears and identity," PloS one, Vol.10, No.2, e0116664, 2015. 

  61. J. Gao, H. Fu, J. Li, and Y. Jia, "Association between social and built environments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mong Chinese older adults-a multilevel analysis," BMC public health, Vol.15, No.1, p.1317, 2015. 

  62. M. Kohli, K. Hank, and H. Kunemund, "The social connectedness of older Europeans: patterns, dynamics and contexts,"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Vol.19, No.4, pp.327-340, 2009. 

  63. K. Hank and M. Erlinghagen, "Dynamics of volunteering in older Europeans," The Gerontologist, Vol.50, No.2, pp.170-178, 2010. 

  64. S. J. Heintzelman, J. Trent, and L. A. King, "Encounters with objective coherence and the experience of meaning in life," Psychological Science, 0956797612465878. 2013 

  65. D. Kahneman and G. Klein, "Conditions for intuitive expertise: a failure to disagree," American psychologist, Vol.64, No.6, p.51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