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중환자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Competence in th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of Seni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2, 2017년, pp.214 - 223  

김두리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임효남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양선이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부) ,  김진일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petence i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of senior nursing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was us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mpetence i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The data were c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중환자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중환자간호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중환자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중환자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중환자간호역량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중 중환자실 실습자신감과 개인적 특성 중 셀프리더십 및 자아존중감이 중환자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환자간호역량을 37.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중환 자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환자간호 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간호역량은 어떻게 구분되어지는가? 중환자실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중환자간호역 량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중환자간호역량은 임상적 역량과 전문적 역량으로 구분된다. 임상적 역량에는 간호제공의 원리, 임상적 가이드라인, 간호중재가 포함되며, 전문적 역량에는 윤리, 법, 의사결정, 업무개발 및 협동이 포함된다(Lakanmaa et al., 2014).
중환자간호에 있어 간호사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중환자간호는 생명의 위협을 받는 대상자에게 전문적인 돌봄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간호사는 고도화된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인 의료기술과 돌봄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중환자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는 감염, 투약, 처치와 같은 환자의 질병관리를 위한 간호 뿐 아니라 대상자의 심리, 사회적 상태에 대한 간호를 수행하므로 다양한 중환자 간호역량의 함양이 요구된다(Kim, Kim, & Lim, 2016; Lakanmaa et al.
중환자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중환자간호는 생명의 위협을 받는 대상자에게 전문적인 돌봄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간호사는 고도화된 지식을 갖추고, 전문적인 의료기술과 돌봄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중환자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는 감염, 투약, 처치와 같은 환자의 질병관리를 위한 간호 뿐 아니라 대상자의 심리, 사회적 상태에 대한 간호를 수행하므로 다양한 중환자 간호역량의 함양이 요구된다(Kim, Kim, & Lim, 2016; Lakanmaa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az, S., Memarian, R., & Vanaki, Z. (2015). Learning challenges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environments: A qualitative study in Iran. Journal of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4. 

  2.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3. Cho, K. H. (2004).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bout job-satisfaction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4.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5. Han, A. L., & Kwon, S. H. (2016).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8(1), 12-21. 

  6. Henry, S. B., LeBreck, D. B., & Holzemer, W. L. (1989). The effect of verbalization of cognitive processes on clinical decision making.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3), 187-193. 

  7. Hur, G. H.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6), 380-408. 

  8. Iacobucci, T. A., Daly, B. J., Lindell, D., & Griffin, M. Q. (2013). Professional values, self-esteem, and ethical confidence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Nursing Ethics, 20(4), 479-490. 

  9. Kang, H. C., Yeon, K. P., & Han, S. T. (2015). A review on the use of effect size i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5), 641-649. 

  10. Kim, J. H., & Park, M. K. (2016). Comparative study on self-leadership, team 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ask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response to clinical train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482-490. 

  11. Kim, J. I., Kim, D. R., & Lim, H. N. (2016). Senior nursing students' perceived competence of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2), 115-124. 

  12. Kim, J. S. (2012).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Health Communication, the Offici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7(2), 94-102. 

  13. Kim, S. O., & Kang, B. H. (2016).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learning self-efficacy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on their self-confide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8), 172-182. 

  14. Kim, S. Y., Kim, E. K., Kim, B., & Lee, E. (2016). Influence of nurses' self-leadership on individual and team members' work role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3), 338-348. 

  15. Lakanmaa, R. L., Suominen, T., Perttila, J., Ritmala-Castren, M., Vahlberg, T., & Leino-Kilpi, H. (2014). Graduating nursing students' basic competence i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3(5-6), 645-653. 

  16. Lee, Y. H. (1993). The relations between attributional style, life events, event attribution, hopelessness and depres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Lewis, R. (2011). Learning the 'SMART' way... results from a pilot study evaluating an interprofessional acute care study day. Nurse Education Today, 31(1), 88-93. 

  18. McCabe, D. E., Gilmartin, M. J., & Goldsamt, L. A. (2016). Student self-confidence with clinical nursing competencies in a high-dose simulation clinical teaching mode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6(8), 52-58. 

  19. Mealer, M., Conrad, D., Evans, J., Jooste, K., Solyntjes, J., Rothbaum, B., et al. (2014).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of a resilience training program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3(6), e97-e105. 

  20. Park, H. S., Kim, K. N., Kang, E. H., Lee, J. M., & Park, S. M. (2011). Lived adaptation experiences of new ICU nurses who are working in a newly established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2), 226-236. 

  21. Park, S. H. (1999).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3(4), 93-112. 

  22. Reader, T. W., Flin, R., Mearns, K., & Cuthbertson, B. H. (2007).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98(3), 347-352. 

  23. Rees, C. S., Breen, L. J., Cusack, L., & Hegney, D. (2015). Understanding individual resilience in the workplace: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f workforce resilience model. Frontiers in Psychology, 6. 

  2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Rubin, R. B., & Martin, M. M. (1994). Development of a measur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11(1), 33-44. 

  26. Shin, S. J., Yang, E. B., Kong, B. H., & Jung, D. Y.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linical critical thinking skills scale.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4(2), 102-108. 

  27. Song, H. J., & Lee, S. M. (2016). The effects of hospital nurse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2(3), 220-229. 

  28. Wahlin, I., Ek, A. C., & Idvall, E. (2010). Staff empowerment in intensive care: Nurses' and physicians' lived experiences. Intensive & Critical Care Nursing, 26(5), 262-269. 

  29. Yoo, S. K., & Sim, H. W. (2002).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s in resilient adolescents in Korea.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6(4), 189-206. 

  30. Yurdanur, D. (2016). Critical thinking competence and dispositions among critical care nurses: A descrip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9(2), 489-4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