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동 간호사의 임상등급 간호역량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e Measurement Scale according to Nurse's Clinical Ladder in General Ward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3, 2014년, pp.257 - 271  

박미란 (강북삼성병원 간호부) ,  김남초 (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done to develop a Nursing Competency Measurement Scale based on the clinical ladders of nurses working in wards. Methods: Thirty clinical experts and 501 ward nurses evaluat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A survey using the Nursing Competency Measure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타당하지 않다’와 ‘매우 타당하지 않다’에 해당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이유나 대안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병동 간호사의 임상등급별 간호역량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시행하였다. 이 도구를 통해 병동 간호사의 임상등급별 간호역량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등급별 전문성 개발을 위한 목표 제시의 준거로 활용함으로써 임상간호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병동 간호사의 간호역량 평가도구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과 간호대학 교수, 임상간호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 병동 간호사 대상의 설문지 조사, 임상등급 4등급 간호사 대상의 자가평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병동 간호사의 임상등급별 간호역량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병동 간호사의 임상등급별 간호역량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병동 간호사의 임상등급별 간호역량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시행하였다. 이 도구를 통해 병동 간호사의 임상등급별 간호역량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등급별 전문성 개발을 위한 목표 제시의 준거로 활용함으로써 임상간호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관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요인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현재 한국의 의료계는 의료기관 인증과 의료시장의 개방 등 의료산업의 경쟁적 상황 속에서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국제적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혁신적인 전략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 있다. 최첨단 의료장비, 전문센터의 활성화, 쾌적한 편의 시설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관리하는 것이 의료기관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가장 핵심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1]. 의료기관의 인적자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력은 간호사이므로 간호사의 임상경험, 기술과 역량, 교육, 전문성에 따라 각 등급을 달리하여 보상함으로써 유능한 간호사를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이들의 잠재력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임상등급이란 무엇인가? 임상등급은 임상 경력과 경험이 증가함에 따라 간호사의 전문적 간호 실무를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간호사가 직접간호(bedside-care)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위적, 경제적으로 보상을 주는 체제를 말한다[18].
경력개발제도의 장점은 무엇인가? 간호사의 역량을 능력별로 차등 보상하는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으로는 경력개발제도가 있다[1,2]. 이제도의 적용을 통해 간호사들은 임상실무능력이 강화되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고 환자 간호의 질적 수준이 높아지며 이로 인한 이직률 감소로 병원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3-5].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경력개발제도는 Zimmer[6]의 보고서와 Benner[7]의 저서에 기초를 두고 있고 Zimmer[6]는 직접적인 환자 간호에 ‘임상등급(clinical ladder)’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ang KS.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2. Carryer J, Russell A, Budge C. Nurses' understanding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Recognition Programme. Nursing Praxis in New Zealand Inc. 2007;23(2):5-13. 

  3. Nelson JM, Cook PF. Evaluation of a career ladder program in an ambulatory care environment. Nursing Economics. 2008; 26(6):353-360. 

  4. Hsu N, Chen BTH, Lee LL, Chen CH, Lai CF. The comparison of nursing competence pre- and post implementing clinical ladder system.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5;14(2):264- 265.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4.00980.x 

  5. To?rstad S, Bjo?rk IT. Nurse leaders' views on clinical ladder as a strategy in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7;15(8):817-824. http://dx.doi.org/10.1111/j.1365-2934.2007.00769.x 

  6. Zimmer MJ. Rationale for a ladder for clinical advancement in nursing practice.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972; 2(6):18-24. http://dx.doi.org/10.1097/00005110-197211000-00008 

  7. Benner P. From novice to expert.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982;82(3):402-407. 

  8. Kwon IG, Sung YH, Park KO, Yu OS, Kim MA. A study on the clinical ladder system model for hospital nurse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1):7-23. 

  9. Drenkard K, Swartwout E. Effectiveness of a clinical ladder program.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5;35(11): 502-506. 

  10. Ward CW, Goodrich CA. A clinical advancement process revisited: A descriptive study. Medsurg Nursing. 2007;16(3):169-173. 

  11. Lacey SR, Teasley SL, Henion JS, Cox KS, Bonura A, Brown J. Enhancing the work environment of staff nurses using targeted interventions of support.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38(7-8):336-340. http://dx.doi.org/10.1097/01.Nna.0000323942.04888.36 

  12. Colavecchio R, Tescher B, Scalzi C. A clinical ladder for nursing practice.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974;4 (5):54-58. 

  13. Reid RT. Practitioner competency assessment and career ladders as a recruiting and retention tool. Respiratory Care Clinics of North America. 2004;10(2):173-195. http://dx.doi.org/10.1016/j.rcc.2004.01.003 

  14. Sievers V, Stinson S. Excellence in forensic practice: A clinical ladder model for recruiting and retaining sexual assault nurse examiners (SAN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JEN. 2002; 28(2):172-175. 

  15. Liu M, Kunaiktikul W, Senaratana W, Tonmukayakul O, Eriksen L. Development of competency inventory for registered nurse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cale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7;44(5):805-813.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6.01.010 

  16. Streeter BL. A clinical advancement program for registered nurses with an outpatient focus. Gastroenterology Nursing. 2007;30(3):195-200. http://dx.doi.org/10.1097/01.SGA.0000278168.28306.9f 

  17. Kang YS, Lee SJ, Kim IJ, Ahn KH. A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of nursing competence for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3):219-228. 

  18. Shapiro MM. A career ladder based on Benner's model. An analysis of expected outcom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8;28(3):13-19. 

  19. Carper B. Fundamental patterns of knowing in nursing. A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78;1(1):13-23. 

  20. Park KO, Park SA, Park SH, Lee EH, Kim MA, Kang WH. Revision of performance appraisal tool and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1):70-80. 

  21. Park SH, Park K-O, Park SA. A development of career ladder program for nurse in a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4):624-632. 

  22. Riley JK, Rolband DH, James D, Norton HJ. Clinical ladder: Nurses' perceptions and satisfier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39(4):182-188.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19c9cc0 

  23. Jung SW. A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RNs about the adoption of the clinical ladder system. The Korean Nurse. 2005; 44(6):69-82. 

  24. Park K-O, Yi M. Nurses' experience of career ladder programs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581-592. http://dx.doi.org/10.4040/jkan.2011.41.5.581 

  25. Kim H. Developing and verifying validity of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operating room nurses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0. 

  26. Choi J-S, Eun Y. A study on the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clinical ladder of operating room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6;12(1): 60-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