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가 인식에 따른 농촌경관 색채계획 방향 설정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ural Landscape Color Plan according to the Expert Perception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3 no.1, 2017년, pp.31 - 40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한채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임창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미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진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권순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ople are making efforts multilaterally to create agricultural landscape beautifully. Still in farming villages, however, large-scale facilities or houses are disharmonized with natural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outer colors, mostly primary colors, not considering natural environment. The mai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촌마을 환경색채의 전반적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재 농촌마을 색채의 만족도, 조화 정도, 규제 및 통일성 필요정도, 관광산업에 도움 되는 정도, 주민들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농촌지역의 색채특성과 인식을 파악하여 농촌경관의 색채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특히 태양광판의 설치가 이루어진 에너지사업 마을과 태양광판의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자연스러운 농촌마을, 즉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을 대상으로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농촌경관색채를 조사·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농촌경관색채의 계획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 특히 급증하는 태양광판 설비 등으로 인해 농촌경관색채의 변화가 나타남에 따라, 자연경관과 인공경관과의 조화로운 경관색채를 모색하는 일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에너지 사업이 들어가 있는 마을과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색채의 특성과 인식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조사와 분석을 통해 유형별 농촌마을의 경관색채 방향 및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한편 농촌경관 색채계획의 전문가 인식 조사만을 다루었다는 점과, 실제 적용을 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 특히 태양광판의 설치가 이루어진 에너지사업 마을과 태양광판의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자연스러운 농촌마을, 즉 에너지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을 대상으로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농촌경관색채를 조사·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농촌경관색채의 계획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색채가 농촌의 경관자원으로서 핵심적인 요소인 이유는? 전국적으로 농촌경관의 유지, 창출, 보존을 통해 농촌지역의 난개발을 해소하고, 농촌 다운 양호한 경관형성을 위한 다양한 시도와 제도화의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음에 따라(Park, 2010) 살고 싶은 농촌, 찾아가고 싶은 농촌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름다운 농촌경관 조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색채는 경관의 전체적인 이미지에 큰 영향을 주게 되므로(Lee, 2011) 농촌의 경관자원으로서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또한 경관색채계획은 20세기 후반에 서구에서 시작되어 아시아에서는 1980년대 중반부터 일본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으며(Lee, 2014), 그 지역이 지향하는 이미지 및 정체성을 확립하는 역할을 함에 따라 색채를 계획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된다.
농촌의 유형에 따른 자연과 조화되는 이미지에 따라 색채 모델을 계획하여야 하는 이유는?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농촌경관 색채는 에너지 사업이 들어가 있지 않은 마을이 농촌의 이미지를 더 잘 반영하고 있으며, 농촌마을 유형에 따른 상징색채와 이미지는 에너지 사업 유무에 따라 상반된 특징을 보였다. 에너지 사업이 들어간 마을은 시설물의 영향으로 무채색 계열의 색채가 주를 이루 었고, 에너지 사업이 들어가지 않은 마을은 자연 환경 요소가 두드러져 녹색 계열과 황색 계열이 함께 나타났다. 미래 농촌마을의 이미지는 “조화로운”, “자연적인”, “전원적인”이 대체로 높게 나타나 자연과의 조화를 가장 중요시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색채 계획 시 자연과 조화로울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색채를 배색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농촌마을 경관 색채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하나, 앞으로의 개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농촌의 유형에 따른 자연과 조화되는 이미지에 따라 색채 모델을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최근 농촌 추세는? 최근 농촌은 삶터, 일터, 쉼터로서의 복합기능이 가능한 활력공간으로 점차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농촌체험, 힐링, 귀농·귀촌 등의 사회적 관심 역시 더불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국적으로 농촌경관의 유지, 창출, 보존을 통해 농촌지역의 난개발을 해소하고, 농촌 다운 양호한 경관형성을 위한 다양한 시도와 제도화의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음에 따라(Park, 2010) 살고 싶은 농촌, 찾아가고 싶은 농촌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름다운 농촌경관 조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irren, Faber, 1982, Light, Color, and Environment, New York: Van Nostrand and Reinhold Company. 

  2. Cho, J. K., Rhee, J. S., 2008, A Study on Traditional Colors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Country,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7(9): 54-61. 

  3. Choi, Y. B., 1985, Settlement Zone Set and Categorizat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 Jang, M. J., 2011, A Study on the Stylish Hotel: Focused on the Verbal Image and the Color Image of the "Stylish", Master Degree Thesis, Sook-Myung University, Korea. 

  5. Jang, W. H., 1997, Korea Mountain Regions Seperation and Character Analysis, Doctor Degree Thesis, Kyoung-buk University, Korea. 

  6. Chung, K. W., Moon, S. C., Min, S. K., 1999, The Problems and Classification of Over-Depopulation Areas in Rural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7. Kim, D. S.,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Suggestions for Environmental Color - Focusing on the Phase of Color Planning-Design Proces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5(1): 47-55. 

  8. Kim, E. J., Han, C. W., Lim, C. S., Park, M. J., Choi, J. A., Kwon, S. C., 2016, A Study on the Color Perception in Rural Village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7(S): 573-591. 

  9. Kim, E. J., Han, C. W., Kim, S. B., Lim, C. S., Park, M. J., Kwon, S. C., 2016, An Analysis of Color Current Status for Energy Villages and General Villages in Rural,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8(3): 39-48. 

  10. Kim, H. N., Lee, J. S., Kim, J. H., 2011, Model Development for Color Arrangement of Rural Villages,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011(5): 59-62. 

  11. Kim, H. S., Joo, J. h., Yun, H. J., Kim, N. R., Kim, M. S., 2012,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of Rural Villages on the Basis of Natural Landscapes-Focused 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6(4): 171-183. 

  12. Kim, Y. H., 2006, Color Planning for Improvement of Local Scene - Focused on Color Conditioning Case of an Aream Specific, Geoje-Si, Journal of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3(2): 77-92. 

  13. Lee, D. H., 2008, A Comparative Study of Rural Settlement Conditions by Types of Rural Location-Case Study of Goseong-gun in Gyeongnam Province-, Master Degree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14. Lee, D. J., 2006,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rural village through facility improvement, Doctor Degree Thesis, Mok-Won University, Korea. 

  15. Lee, M. J., and Lee, J. S., 2003, Analysis Opinion and Field Survey for Color Coordination in Rural Are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1): 693-696. 

  16. Lee, J. H., 2014, Storytelling Method Using for the Urban Color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2): 102-111. 

  17. Lee, J. S., 2005, A Direction of the Color Coordination for Landscape Improvement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49(6): 113-118. 

  18. Lee, J. S., Jin, E. M., Jun, T. K., Hong, L. Y., 2010, Survey and Analysis on the State of Environmental Color of Rural Village in Korea,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8): 87-96. 

  19. Lee, Y., 2011, Alternative coloring selection approach for managing rural landscape, Doctor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 Lee, S. H., 2011, Landscape Color Planning of Rural Village with Cultural Climate - Focus on Gum-Cheon Villag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5(2): 17-28. 

  21. Moon, E. B., 2005, A Study on MCC Development for Color Design, Archives of Design Research, 60(5): 219-232. 

  22. Park, N. L., 2016, A study on urban environmental color design of public and environmental : street furniture center in Gang-Nam Garosu-Gil, Master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23. Park, S. J., Yoo, C. G., Lee, C. W., 2005, Case Study of Gum-Nam Road, Gwang-Ju A study on Influence of Exterior color for Buildings on Formation of Streetscape imag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ng, 21(4): 113-120. 

  24. Roh, S. S., and Lee, J. S., 2015, The Interior Color Image and Preference at Middle and High School Classroom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9(4): 69-79. 

  25. Shin, H. C., 1993, A Study on Rural Village and Hous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6. Suh, J. H., 2011, A Study on Improving Rural Landscape's Environmental Color, Korea Design Forum, 33(11): 319-328. 

  27. Yeo, H. S., Dong, S. S., Suh, J. H., 2010, A Study about the Improving Rural Landscape's Environmental Color - Focusing on the Gyeong-Ju Villages Around the Roof Color,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16(12): 63-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