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형계획법과 허프확률모형을 이용한 농촌마을 중심지와 배후지 분석
Analysis of Central Place and Hinterland using Linear programming and Probability Model of Huff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3 no.1, 2017년, pp.53 - 63  

전정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농촌환경자원과) ,  박미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농촌환경자원과)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농촌환경자원과) ,  최진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농촌환경자원과) ,  임창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농촌환경자원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some indicators for evaluating rural settlement conditions have been offered, these indicators could not reflect unique characteristics that rural has its own peculiarities. The rural area is identified with central districts functioned as service provision and hinterlands used its servic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의 인구와 사회적 및 경제적 기능이 소규모로 불규칙하게 분산 분포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농촌은 2·3차 산업을 생산기반으로 하는 도시지역에 비해 인구와 사회적 및 경제적 기능의 집중도가 낮으며 지세, 수계 등과 같은 지형적인 조건으로 인구와 사회적 및 경제적 기능은 소규모로 불규칙하게 분산 분포하게 된다(Kim, 2013). 이로 인하여 사회적 및 경제적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농촌지역의 만족도는 도시지역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Jeon et.
농촌에 이주를 희망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15). 그러나 베이비부머의 귀농귀촌 이주의향과 젊은층에서의 전원적 가치 실현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의 확대로 농어촌공간에 이주를 희망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많은 마을에서는 고령화와 함께 과소화 및 공동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Seong and Lim, 2012).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정주 기능을 재편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농촌마을의 상태를 진단 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이 부족하고, 정부 사업 추진에 따른 성과가 어떠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Kim et.
농촌지역의 고령화와 함께 과소화 및 공동화가 증가됨에 따라 정부는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무슨 지적을 받고 있는가? 그러나 베이비부머의 귀농귀촌 이주의향과 젊은층에서의 전원적 가치 실현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의 확대로 농어촌공간에 이주를 희망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많은 마을에서는 고령화와 함께 과소화 및 공동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Seong and Lim, 2012).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정주 기능을 재편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농촌마을의 상태를 진단 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이 부족하고, 정부 사업 추진에 따른 성과가 어떠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Y. J., Choi, S. M., Yoon, Y. C. and Kim, Y. J., 2007, Central Function Analysis in the Saemangeum Area,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1(1): 29-34. 

  2. Choe, J. H. and Gang, S. G., 2016, Promotion of General Agricultural and Fishery Development Project for the Feeling of Welfare of Rural Communities,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8(2): 52-60 

  3. Choi, J. H., Joo, S. M., 2013,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Distribut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using GIS Spatial Analysis, Journal of Daegu Gyeonbuk Development Institute, 12(2): pp.149-156. 

  4. Gatrell, A. C., Bailey, T. C., Diggle, P. J. and Rowlingson, B. S., 1996, Spatial point pattern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geographical epidemiology,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21(1): pp.256-274. 

  5. Jeon, J. B., Oh, H. K., Park, J. S. and Yoon, S. S., 2015, Traffic Vulnerability Analysis of Rural Area using Road Accessibility and Functionality in Cheongju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1(2), 11-21. 

  6. Jung, D. Y., Kim, S. S. and Kim, K. H., 2009, The Central Place Analysi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the Land Price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7(3): 65-70. 

  7. Kim, D. S., Jeon, T. K. and Bae, S. J., 2010, Development of Settlement Environment Diagnostic Indices for Rural Village Uni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6(3): 27-41. 

  8. Kim, H. C., 2002, Analytical Method and its Application of Urban Centrality in Metropolitan Area : The Case of Daejeo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15(3): 43-61. 

  9. Kim, J. Y., 2013, The direction of activation policies and initiatives in rural centers, he subcommittee discussed the basis for improving living environment of Chungnam Development Committee. 

  10. Kim, J. Y., Lee, S. J., Han, S. O., Oh, H. T and Ko, H. J., 2014 Performance and Strategy of Programs for Rural Center Development, Chungnam Development researcher 

  11. Kim, K. I., 2014, Analysis and Policy on the Rural Settlement System in an Era of the Rural Population Decline,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12. Kim, K. Y., 2011, Identification of Centers using GWR and Spatial Clustering Method : A Case Study o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4(3): 73-86. 

  13. Kim, S. C. and Rhim, B. J., 2016, A Study on the Site Selection of Bank Branches and the Estimation of their Market Share Rate using GIS, 2016, Korea Real Estate Academy Review, 65: 191-205. 

  14. Kim, Y. T., Choi, S. M., Kim, H. G. and Im, S. B., 2014,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System by Rural Village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1): 37-49. 

  15. Lee, B. K., 2008, Applying the L-Index for Analyzing the Density of point Feature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6(2): 237-247. 

  16. Mo, H. R., Park, H. K., Jo, J. H. and Lee, H. S., 2014, A Study on Development of Diagnostic Index for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6): 1925-1935. 

  17. Seong, J. I., Lee, D. P. and Kwon, I. H., 2008, A Study on Policy Directions and Measures for Rural Central Places in Consideration of Transformation in National Spatial Structur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8. Seong, J. I. and Lim, S. A., 2012, The direction of the settlement condition and reorganize rural village, Rural renovation experts on the enactment of the law on the special debate Kit pp.1-37 

  19. Siverman, B. W., 1986,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Chapman and Hall. 

  20. Yoon, C. H. and Kim, C. S., 2003,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Land Value in Daegu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38(2): 99-110. 

  21. Yun, J. W., Kim. U. and Yang, J. Y.,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rban Park Environment easurement Model for Citizens : Focused on the Applicability for Citizens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an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9(4): 129-1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