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공동체 협업활동의 사회연결망분석 - 충남 홍성군 홍동 지역을 중심으로 -
Social Network Anaylsis of Collaborative Activity in Rural Community - Case study of Hong-Dong area in Chungman Province, South Korea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3 no.2, 2017년, pp.9 - 17  

황바람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ural development policy has changed from hardware based development to community revit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cial network of collaborative activity among rural organizations as fundamental of community. The material used in this study is a record of collaborative ac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공동체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활동의 참여 주체(행위자)와 협업 내용을 파악하고 네트워크 구조 및 중심성 분석을 통한 핵심 단체의 선별과 유형별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 본 연구는 농촌 지역 사회에서 소식지를 통해 공유되는 주민 활동이 어떠한 단체를 통해, 어느 장소에서, 어떠한 유형으로 서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지 밝히기 위하여 네트워크 구조, 활동 유형별 집중도, 참여단체별 중심성 특성을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그 결과 연구 대상지인 홍동 지역 공동체에서는 일상적 친목 교류뿐 아니라 지역 학생 및 주민 교육, 환경문제 등 지역 현안의 공동 논의, 공연 전시 등 문화적 교류, 지역 축제, 농업 및 농촌 경관 개선을 위한 노동 공유 등의 활동이 단체 간 협업을 통해 연결망을 구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러한 조직은 농촌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인적, 물적, 문화적 자원과 정보의 부족을 공동체에 기반한 연대와 협력을 통해 극복하고자 노력한다. 여기서 협업 과정을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주변의 참여를 제안하는 그룹(단체)이 나타나고 지역 내 연대망의 양적 확장과 다양성을 높이는 중심(주체)이 형성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핀스가 말하는 지역 공동체는 무엇인가? 리핀스(Liepins)는 지역 공동체를 “문화적, 물질적, 정치적 차원에 걸친 사람들 간의 연결에 대응하는 사회적 구성물”이라 정의하고, 공동체 구성원의 실천(활동)이 지역 공동체의 문화적 의미와 물리적 환경을 형성하는 동시에 영향을 받으며 재구조화 한다고 설명하였다 (Liepins, 2000). 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농촌 지역개발 관점에 적용해 본다면, 주민 간 다양한 관계망의 형성과 확장을 촉진하고 이에 근간한 지역 활동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공동체의 의미와 환경을 발전시켜 나가는 전략을 도출할 수 있다.
오늘날 농촌은 어떤 상황에 놓여있는가? 오늘날 농촌은 농업의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농민 이탈 및 잔여인구의 고령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가속화 되고 있다. 그 결과 지역 사회가 전통적으로 유지해오던 경제, 문화적 체계가 무너지고 자립적인 기능 유지가 어려운 위기에 봉착하였다.
귀농귀촌인의 유입으로 인해 농촌에 나타나는 관심사는 무엇인가? , 2016; Jeong and Jeoung, 2012). 공통의 관심사를 주제로 동아리 성격의 소모임, 공동 학습, 토론회, 지역 축제 등을 주민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커뮤니티 비즈니스, 협동조합과 같은 사회적경제 조직으로 발전한다(Kim and Lim,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rnes, J. A. and Harary, F., 1983, Graph theory in network analysis, Social Network, 5, 235-244. 

  2. Carley, K. M., 2003, Dynamic Social Network Modelling and Analysis: Workshop Summary and Paper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 Choi, S. H., 2009, A Study on the Building of Regional Village Community, K-G Association For Social Scuences, 19(1), 237-268. 

  4. Gu, J. I., 2014, Maeul Mandulgi Network, Center of Urban Regeneration(KRIHS). 

  5. Ha, M. E., 2013, A Study on Changing Process of Community and Spatial Structure by Rural Development Project,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6. Jang, E. S., 2007, The Reconstitution of the Geographical Thinking on the Basis of System Thinking,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5(1), 77-92. 

  7. Jeong, S. H. and Jeoung, H. Y., 2012, The Urban-rural Interchange of Local Residents: In case of the Taniguchi village of Yamagata Prefecture in Japan, Journal of Photo Geography, 22(1), 133-142. 

  8. Kim, J. S. and Lim, J. E., 2015, The Social Economy in Rural Korea and the Policy Direct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9. Kim, J. S., Oh, N. W., Kim, K, I., 2016, Pluriactivities of Family Farms in Rural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0. Kim, K. H., 2015, Formation and Progress of Hongdong Organic Agriculture Community with Focus on the Capability Approach: A Case Study of Munsan Village,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25(2), 57-89. 

  11. Kim, S. J., 2009, A Study on the Practical Strategies for Community Building, Ph. D. Dissertation, Anyang University, Korea. 

  12. Kim, T. G. and Lee, S. K., 2014, A Study on Affecting Factor-Construction of Collaborative Planning Process and Effect on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2), 23-43. 

  13. Kim, Y. R., Park, S. H., Lee, D. P., Sung, J. I., Shin, E. J., Choi, K. E., 2006,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for Korea's Rural Econom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4. Lee, E. J., 2009, The Status of 'Region' in Sociological Researches, Korean Regional Sociology, 10(2), 5-30. 

  15. Liepins, R., 2000, Exploring Rurality Through community: Discourses, Practices and Spaces Shaping Australian and New Zealand Rural communities, Journal of Rural Studies, 16, 325-341. 

  16. Park, B. G., 2012, Looking for More Space-sensitive Korean Studies, The Korean Geographlcal Society, 47(1), 37-59. 

  17. Park, S. W. and Jin, S. A., 2016, From Eco-agriculture to Miss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Hongdong Village in Chungnam, Science & Technology, 213, 38-45. 

  18. Shin, J. H., 2011, A Study on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Master Thesis, Gangnam University. 

  19. Son, D. W., 1995, Social Network Analysis, Kyungmoonsa: Seoul. 

  20. Wasserman, S. and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US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