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PCC 온실가스 산정지침 변화에 따른 농촌지역 벼 재배부문 배출량 및 배출특성 분석
Analysis of Changing for GHG Emissio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Rice Cultivation by IPCC Guideline Improvement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3 no.2, 2017년, pp.75 - 86  

박진선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정찬훈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  정현철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김건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이종식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서교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PCC Guidelines have been updated after the first official announcement to get more precise estimation of GHG emission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lications of the IPCC Guidelines improvements including equations of country-specific parameter values for estimating GHG emissions f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PCC Guideline은 무엇을 해왔는가? 온실가스 산정에 기본이 되는 IPCC Guideline(GL)은 배출원을 구체화 하고, 산정 방법을 세분화 하여 1996 IPCC GL, Good Practice Guideline 2000, 2006 IPCC GL 등 지속적으로 산정 지침을 개선시켜 왔다. 이 중 1996 IPCC GL과 2006 IPCC GL의 궁극적인 차이는 배출원의 추가 또는 삭제, 기본 배출계수의 변화, 물 관리 단계 및 유기물 시용에 따른 보정계수의 추가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는 OECD 가입이후 온실가수 감축 의무와 관련하여 어떤 실정에 처해있는가? 우리나라는 1993년 기후변화협약에 가입한 이래 비부속국가(non-AnnexⅠ)로 분류되어 기후변화 적응에 관한 보고, 계획 수립, 이행과 같은 구체적인 감축 의무는 부여되지 않았으나, OECD 가입 이후 국제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 의무에 대한 부담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Jeong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IPCC GL의 산정식과 계수 변화에 따른 벼 재배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촌 지역의 벼 재배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를 군 단위로 산정한 이유는? 이와 같이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수행되었고, 감축기술에 대한 논의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는 IPCC GL을 기반으로 농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하고, 물 관리 및 시설 보완을 통한 감축방향을 논의하였고, GL의 변화에 따른 분석 및 주요 보정계수의 민감도 분석 등의 수행이 미비한 점이 있다. 또한 농경지를 다수 포함하고 있는 농촌지역의 발생 특성에 따른 현황분석이 미흡하다는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Erda, L., 1993, Agricultural techniques : Factors controlling methane emission, In: L. Gao, L. Wu, D. Zheng and X. Han, ed,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Climate Change, Natural Disasters and Agricultural Strategies, May 26-29, 1993, Beijing, China, China Meteorological Press, Beijing, 120-126. 

  2. IPCC, 199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3. IPCC, 2000, Good Practice Guidance and Uncertainty Management in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4. IPCC,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5. Jeong, H., Kim, G., So, K., Shim, K., Lee, S. and D. Lee, 2010, Assessment on greenhouse Gas ( $CH_4$ ) Emissions in Korea Cropland Sector from 1990 to 2008,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3(6): 911-916. 

  6. Jeong, H., Kim, G., Lee, D., Shim, K. and K. Kang, 2011, Assessment of Greenhouse gases Emission of Agronomic Sector between 1996 and 2006 IPCC Guidelines,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4(6): 1214-1219. 

  7. Jeong, H., Kim, G., Lee, S., Lee, J., Lee, J. and K. So, 2012, Evalu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Cropland Sector on Local Government Levels based on 2006 IPCC Guideline,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5): 842-847. 

  8. Jeong, H., Lee, J., Choi, E., Kim, G., Seo, S., Jeong, H. and C. Kim, 2015, Post-2020 Emission Projection and Potential Reduction Analysis in Agricultural Sector,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6(3): 233-241. 

  9. Lee, D., Jung, S., So, K., Jeong, J., Jeong, H., Kim, G. and G. Shim, 2012, Evaluation of Mitigation Technologies and Footprint of carbon in Unhulled Rice Production, Climate Change Research, 3(2): 129-142. 

  10. MIFAFF, 2014,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eoul Korea.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A Study for Evaluation Management for Post-2020 and GHGs Mitigation Goal. 

  12. Ministry of Environment.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GIR), 2012, 2012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of Korea. 

  13. Ministry of Environment,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GIR), 2015, 2015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of Korea. 

  14. Naser, H.M., O. Nagata, S. Tamura, and R. Hatano. 2007, Methane emissions from five paddy fields with different amounts of rice straw application in central Hokkaido, Soil Science and Plant nutrient, 53: 95-101. 

  15. Neue, H.U. and R. Sass, 1994, Trace gas emissions from rice fields, In: Prinn RG(ed). Global Atmospheric-Biospheric Chemistry, Environmental Science Research 48: 119-148. Plenum Press, New York. 

  16. Parashar, D., Rai, J., Gupta, P. and N. Singh, 1991, Parameters Affecting Methane Emission from Paddy Fields,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Resources, 20(1): 12-17. 

  17. UNFCCC, 2015 Clinate Action Now: Summary for Policymaker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